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 연구자 모델이 워커홀릭 뿐입니다.

2021.08.30

11

2367

제가 학위할 때 한국 지도교수님은 주 100시간은 일하던 분이었습니다. 너무 대단하셨지만 한국 대학 특성상 여건이 좋지 않았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그 여건하에서도 나름 대단히 해내신거 같은데 포닥 나와보니까 결국 포닥와도 교수는 메일 답 새벽 4-5시에 하는건 비슷하더군요. 연구자로 성공할 수 있는 모델이 정말 이런 모델뿐일까요. 저는 사실 해외 경우는 좀 다를 줄 알았는데 포닥보스도 랩세미나때 조언하는게 결국 연구에 몰입하고 그 분야에 새로나오는 논문 계속 팔로업해야하고.. 논문 쓰고 그랜트 쓰고 연구도 해야하고 행정도 해야하고.. 결국 하다보면 주 80시간 일하는 모델이더라구요. 같은 학과에 Toxic working environment 를 바꾸겠다는 연구실 근무 환경 개선 운동을 하는 교수가 있는데 그 랩은 결국 퍼포먼스가 안나옵니다. 미국에서도 공공연히 minority affirmative action 없는 영어 좀 어눌한 동양 사람이 테뉴어 받으려면 미국 백인 남자애들 대비 실적이 최소 1.5배는 나와야한다고 하고.. 여기서 survive하는 동양계 교수들 보면 한국에 있는 지도교수님 수준 혹은 그 이상 일하더군요.. 연구자로 성공할 길은 오로지 저길뿐일까요. 저는 주 60시간 이상 일하면 효율이 너무 떨어지고.. 체력적으로도 힘들고 제가 눈이 좀 안좋은데 바로 눈에 신호가 오고 약먹으면 우울증으로 연결되고.. 이게 너무 힘듭니다. 그런데 그래서 좀 쉬어가며 하다보면.. 결국 퍼포먼스가 보잘것없는게 보여서 이래서 누가 써줄까 싶고.. 너무 괴롭습니다. 한국에서는 여건은 좀 별로였지만 그래도 원생이 많지 않은 곳이어서 지도교수님이 어지간한 뒤처리를 다 해주던 곳이었는데 여기와보니까.. 중국 베트남 애들 거의 하루 종일 일만하는데.. 저는 평균도 안되요 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상처받은 공자*

2021.08.30

경쟁사회는 결국 어디가나 그렇죠.. 상위 0.1프로 제외하고는 몸으로 열심히 뛰는 수밖에.. 월가 초임들이 120시간씩 일한답니다.. 박사는 양반이죠 ㅎㅎ

2021.08.30

제 예전 지도교수님도 비슷하셨습니다. 그것때문에 이혼당하셨죠...
달리는 니콜라 테슬라*

2021.08.30

전 아카데미아가 그렇게 빡센 곳인 줄 대학원 오기 전까진 몰랐습니다.

2021.08.30

쥐어짜내야 아웃풋이 나오는건.. 보통사람이라면 다 그렇죠.

IF : 1

2021.08.30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천재고 운이 좋은게 아니라면 연구자들은 다 워커홀릭임

2021.08.30

다이아몬드 수저가 아니면 어차피 세상 사는건 빡셉니다. 뭘하건... 워라벨 맞추면서 정년까지 가겠다. 이런건 없습니다.

2021.08.30

실적을 포기하던지 라이프를 포기하던지 둘중 하나죠 ㅠㅠ

IF : 5

2021.08.30

인생에서 중요한 것에 대한 선택을 반드시 해야되는 때가 언젠가는 와요. 그때 나한텐 뭐가 중요한지 잘 생각해보고 결정하시면 됩니다. 어떤 것에도 정답은 없고 나한테 맞는 길만 있을 뿐이라고 생각해요.

대댓글 2개

2021.08.30

공감합니다. 마치 '참된 연구자가 되려면 반드시 인생을 걸어야한다' 라고 말씀하시는분들이 많은데, 사실 정답은 없는듯 해요. 내가 주 60시간만 투자한다면 '주 60시간 투자하는 연구자' 가 되는거고, 주 100시간 투자한다면 '주 100시간 투자하는 연구자' 가 되는거지, 절대적인 좋고 나쁨은 없는듯

IF : 5

2021.08.30

네 동의합니다. 주 100시간 투자하는 연구자가 되면 연구 측면에선 뭐가 더 나오겠지만, 사람에게 주어지는 시간은 누구나 하루 24시간으로 동일합니다. 반드시 다른 쪽에서 tradeoff는 발생할 수밖에 없어요. 그게 본인 건강이 됐든, 가족문제가 됐든, 사회생활이나 다른 어떤 것이 됐든. 이 모든걸 종합해 내가 할 수 있는 것, 원하는 것, 포기할 수 있는 것, 포기가 안되는 것 등등을 같이 놓고 따져본 뒤 결정하시면 되겠습니다. 우리 모두는 연구자이기 이전에 사람이예요.

2021.08.30

저랑 똑같은 고민하셔서 깜짝 놀랐어요... 말씀하신 시간이 출근ㅡ퇴근 사이 시간인가요 아니면 식사시간 같은것을 제외한 순수 근무시간인가요? 후자면 진짜 미쳤네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