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쪽 생각중인데, 조선최강이 유명하다하여 컨택해봤습니다. 관련 논문들읽고 보는데 다들 훌륭하시더라구요.. 사실 학부가 h여서 s로 가고 싶은 마음이 있긴합니다. 자대인h ㅅㅇㄱ 교수님과는 컨택해서 긍정적인 답변 받았지만, s대 계속 도전해보는게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다들 유명하신 분들이라 정말정말 가고싶지만, 간혹 글들보면 네임벨류 얘기가 나와서 갈등이 생깁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2021.08.30
항상 어려운 질문이죠. spk 인기랩에 가는게 당연히 무조건 좋겠지만, 자대생이든 타대생이든 그러리가 힘든게 사실이니까요.
그렇게 되면 spk비인기랩 - 비spk 인기랩 이렇게 고민을 많이 하는데, 정답은 없는것 같습니다. 아마 학과 교수님들한테 해당내용으로 상담받아도 교수님마다 답변이 다를거에요. (물론 해당랩 교수는 무조건 본인랩 추천하겠죠)
장단점 잘 고민해보시고, 후회없는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비spk에서도 정출연 많이가는랩도 분명 있어요. 반대로 spk내에서도 졸업후 사기업 직행인곳들도 있고요.
대댓글 8개
재치있는 시몬 드 보부아르*
2021.08.30
못 믿겠으면 인사혁신처 국가인재데이터베이스, 조선일보 인물DB를 열람해보세요. 정확히는 서울대 출신 교수가 많은 거지 KP 출신 교수가 많은 게 아닙니다. 현실은 KP 출신 교수보다 KY 출신 교수가 더 많습니다. 아무튼 대학원 진학 조언을 한 것이고 학벌 서열화에는 관심 없으니 이쯤 하겠습니다.
2021.08.31
개그하시는거죠? 설마 특정분야로 안보고, 전체졸업생으로 보는건가요? 지금 말하는것만 보면 이공계특성화 대학이랑 종합대학 구분도 안하고 말하는것같아서요. 그리고 비율로 본것도 맞나요? 이공계로만봐도 포공졸업생이 일년에 몇명이고, 연고대 대학원졸업생이 일년에 몇명인지는 알고 비교하는건가요?
쉽게 말씀드릴까요? 카이스트 박사를 하고 교수임용 비율이 20%정도라고 알고있습니다. 프닥/포닥이후로 간경우도 있겠지만 이직을 한것까지 포함해서요. 연고대에서 평균교수임용 비율이 이정도나오나요? 연고대 인기랩을 봐도 20%가 안나올겁니다. 국내박사출신에 한해서 비교할만한 제대로된 데이터 없으면, 그냥 본인이 눈뜨고 어느정도라인 이상 학교들 임용된교수들 학벌한번 봐보세요. 그리고 누구는 학벌서열화에 관심있나요? 제가 답변드린것만해도 비spk도 잘하는곳 많다고했습니다. 하지만 임용만 보면 답은 정해져있습니다.
어떤데이터 갖고 말하는지 모르지만 (적어도 보내주신것에 한해서는 최종학력만 보고 특정학과 비교하는게 불가능하던데요) 제대로 알고 말합시다. 학부만 보고 말하는거면, 당연히 카이스트/포공 출신보다 서울대/연고대 출신이 훨씬많은데 너무 당연한것아닌가요? 임용시장을 조금이라도 경험하셨거나,박사학위자거나, 본인주변에 교수임용이 많이됐으면 절대 spk랑 비 spk랑 네임밸류 차이없다는 개소리 못합니다. 물론 학벌만갖고 실력없는사람들도 당연히 임용안되고, 비spk출신도 실력이 월등하면 임용되지만 평균비율로 보고 말해야죠?
재치있는 시몬 드 보부아르*
2021.08.31
본인이 P 출신이신 걸 길게도 쓰시는 군요?
비율이 어쨋든 현실은 인서울 유명 대학으로 갈수록 S학석박은 간간이 보여도 순수 KP학석박은 찾아보기 힘들고, SKPKY학사-미박(비skp)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학부 서울대 위상에 편승해서 skp 대학원 지상주의 카르텔 만드려 마시고 연구자면 연구자 답게 논문실적으로 승부하시죠.
2021.08.31
k 학석박출신이고, 저제외 연구실박사졸업생 10명중 교수임용 4명입니다. 그중 과기원이나 서성한 교수도 있네요. 저도 이번박사학위받고 내년초 보스턴에서 해외포닥 시작하고요. 본인이야말로 상황 잘보고 말하시는게 좋을것같은데요? 논문으로 승부볼만큼 실적은되니 해외포닥에 왔겠죠?
pk출신 교수를 못봤다는건 댁이 그정도위치에 있어서 아닌가요? 주변에 임용된 케이스가 허다한데 유독 본인만 못보시나보네요. 참고로 쉽게말해서 카이스트 교수만해도 절반은 카이스트 학석박입니다.
본인이야말로 임용근처에 발담궈보지도 못했으면서 연고대가 임용에 유리하다는 소리라도 하지마세요. 실적이 중요한건 누가 모릅니까
현 K 총장부터 학부 서울대 나오셨고, 전임교수들도 학부 서울대 출신이 K 출신 대비 2배는 많은데 개소리도 심하셔라. K 학석박 보스턴대 포닥도 구라인지 진실인지 모르겠으나 포닥도 이제 시작하면서 임용이 어쩌구 운운하며 김박사넷 노닥거리는 걸 보니 댁이 교수되기는 어려워 보이네요^^
2021.08.31
5할까진 아니라도 3할은됨. 궁금하면 아누학과나 잡고 교수들 박사학위가 어딘지 보고오세요. 해외유명대 아니면 카이스트박사임. 애초에 연구실을 자대박사출신중 잘햇던 사람으로 물려주는 곳도 많고.
이건 서울대나 포공도 자대 학석박중 잘하는사람 임용 많이하는건 매한가지일거라고 봄.
그냥 쓰잘대기없는소리좀 그만하고 댁 실적이나 관리하세요. 댁이 내 스펙을 믿든 안믿든 상관도안하고 어차피 남은기간동안 논문제출한것 마무리만 하면되서 댁보다는 기간 널럴할때임. 지금시간이니 김박사넷을 하죠. 댁기준에서는 해외대 포닥가는것도 못믿을정돈가보죠?
2021.08.31
됐고 알아서 서울대랑 연고대 열심히 똥꼬빨면서 사세요. 댁말이 다 맞는듯. 내 주변에 유독 아웃라이어밖에 없어서 제가 착각을 했네요. 박사졸업생중 2할밖에 임용안되는 대학에서 앵앵거려서 죄송합니다. 명문대인 연고대에서 학위잘하시고 임용 꼭 하셔요
재치있는 시몬 드 보부아르*
2021.08.30
여기가 과도하게 skp 신성시하는데 현실은 서울대 아니면 크게 네임밸류 없음(통계상 비skp 출신 교수가 더 많음). 아직 학부생이니 랩 논문실적, 연구인프라 판단하기는 어려울테고 그냥 랩 홈페이지에서 alumni 비교해서 output 좋은 데로 가셈.
대댓글 5개
2021.08.30
아 맞아요. 연구 인프라가 제일 궁금한데 인턴중에 장비 열악하거나 자주고장나서 실험 못하는거 계속 봤거든요. 일단 조언 감사합니다!
2021.08.30
통계상 비spk출신 교수가 많다는건 뭔소리임? 정말 이해가 안되서 묻는겁니다. 연구아예안해서 spk출신이 지원도안하는 지방대에서는 해당학교에서 학석박한사람들이 교수임용되기는 하죠. 근데, 교수지원이 되는 라인(대충 인서울 중하위권, 지방국립대까지로 잡아보죠)에서 비spk출신이 spk보다 많다고요? 임용시장에서 몸 조금이라도 담궈보신 분은 절대아닐테고, 뭐 학부생인가요?
2021.08.30
제가 말씀드린 라인대학교들, 그중에서도 최근5~10년내에 임용된사람들 봐봐요. 국내박사면 비spk인사람 찾기가 훨씬 어렵습니다. 상위권 대학으로가면 학석박spk-해외메이저포닥 인 사람들도 떨어지는데요.
2021.08.30
통계가 설마 해외대학도 단순히 비 spk로 친다음에 국내대학이면 네임밸류 상관없다는 말한건 아니겠죠..?
2021.09.01
힉스님 다 두들겨패시넼ㅋㅋㅋㅋㄲ
재치있는 쇼펜하우어*
2021.08.30
설훌..또왔어?
2021.08.30
대학원 생활이랑 실적 모든거는 지도교수님 성향에 따라 다릅니다
여기 김박사넷에서 너무 네임벨류를 마치 평생 가는것 마냥 얘기하는데 개소리고 실적 잘 쌓아서 잘된 사람 학부 불문하고 많아요 실제 대학원생중에 대학원 네임벨류 외쳐대는 사람 없습니다 그러는 순간 ㄱㅂㅅ 취급받아요
김박사넷에 올라오는거 참고만 하고 신봉하진 마세요
얌전한 데이비드 흄*
2021.08.30
SPK에 좋은 교수님 연구실 가면 됩니다. 못가면 자신의 능력을 탓해야죠.
2021.08.3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조선최강이 유명교수면 네분중 갈등이 생기는게 당연하겠지요,,H가도 되고 S가도 되고 두군데 어디가든 교수 , 정출연, 대기업 희망진로에 따라 Alumni 졸업생 취업 루트보고 가시면 될것이고, 가서 실적 잘내면
완하는 희망진로로 갈것 같네요
2021.08.30
대댓글 8개
2021.08.30
2021.08.31
2021.08.31
2021.08.31
2021.08.31
2021.08.31
2021.08.31
2021.08.31
2021.08.30
대댓글 5개
2021.08.30
2021.08.30
2021.08.30
2021.08.30
2021.09.01
2021.08.30
2021.08.30
2021.08.30
2021.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