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적어놓은 이유만으로 기피해야 하는 충분한 사유가 됨..
여초랩이 무서워서 지원 못하시는 분들에게 남기는 글
54 - 읽는 사람이 무심코 웃게 만드는 글재주가 있네요.
요즘 연구가 힘든데 덕분에 크게 웃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모든 천재(天才)는 초기에 조현병(調絃病)취급을 받았습니다.
41 - 자폐아라는 표현은 부적절하고요. 실제로는 한창때 혈기왕성한 두뇌활동과 미성숙한 자아가 만나서 일으키는 현상입니다. 다른 말로 “중2병”이라고도 부르죠.
인류는 모르고 자기만 깨달은 진리를 타인에게 설파하는, 지적우월성을 갖춘 자캐에 심취한 겁니다. 여기서 이런 표현을 써도 되는지 모르겠으나 “지적 딸딸이”라고도 부릅니다. 성적 판타지 속에서 자신이 흥분하기 위해서라면 그 어떤 논리도 현실성도 중요하지 않잖아요? 마찬가지겠죠. 뭔 말이든 논리가 중요하겠어요? 그냥 다른 사람들에게 시비를 걸고 억지를 써서 정신승리하고 그 만족감에 흥분해서 장황한 글을 쓰고 또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사람들에게 그걸 홍보하죠. 마치 발정난 아이가 부끄러운 줄도 모르고 노출증 환자마냥 알몸으로 이곳 저곳 기웃대며 우스꽝스러운 꼴을 내보이는 것처럼 말이죠. 본인은 주목을 받으며 엄청난 흥분감에 휩싸이는지 모르겠으나, 남들이 보기엔 그저 흉측하고 불쾌하고 또 어떤 의미로는 안쓰러울 뿐이죠.
저거 철학자A글 보고 적는건데
12 - 그 정돈가? 싶었는데
실제 그래보이는 사례들이 있으니 납득이 가네요... 세상 참...
GPT가 조현병 만들기 쉽습니다. 조심하세요
10 - 불가능한건 아닙니다. 30~32가 평균적인 대기업 신입 마지노선인것 같아요.
그리고 나이보다 중요한게 스펙이랑 실적이니까 걱정은 나중에 하고 일단 열심히 하면 됩니다.
32살 석사 취업 될까요..?
9 - 그런 기질이 있으나 경미해서 드러나지 않는 사람을 순식간에 중증 환자로 만들기는 확실히 GPT가 우수한 것 같습니다. 그런 기질이 전혀 없는 사람에게 조현병을 유발시킬 수 있냐 없냐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GPT가 조현병 만들기 쉽습니다. 조심하세요
13 - 취업이 안되서 도피성 진학 => 학부 5,6학년 개념으로 생각 ( 제가 본 바로는 이렇습니다)
근데 워라벨, 워라벨 하실 거면
9 - 철학자 A에 관한 개인적 의견
철학자 A가 쓴 글들을 보면, 약간의 오류는 있어도 좋은 사고력과 지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또한, GPT를 100%사용하지 않았다는 점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철학자 A는 나르시시즘, 그리고 자기애적 성격장애를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는 조현병과 확실히 다릅니다. 철학자 A는 자신의 주장에 반박하거나 비판하면 논리 오류만을 지적하거나 위 글처럼 비하 표현을 하는 등 매우 공격적인 태도를 보이시는데 이는 좋은 자세가 아닙니다. 또한 논리를 매우 강조하시는데 자기 자신에 대한 본인의 주장(ex:자신의 언어논리력이 세계 1위이다.)에는 타당한 근거가 있나 확인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그러나 이러한 철학자 A의 행동들이 사람들에게 웃음을 주고, 지나친 자기애에 대한 경각심을 깨워주는데에 도움이 되었다는 점은 좋다고 생각합니다.
철학자 A입니다. 당신들은 멍청합니다
12 - 대학원은 왜 워라밸 따지면 안되는데?
근데 워라벨, 워라벨 하실 거면
9 - 당연한 말을 뭐 있는거처럼 포장해서 남들 다 알아먹을만한 헷갈리지도 않는 단어에 한자껴넣네. 하나의 과학 패러다임에서 당연한 이치를 이제야 깨달으셨소? 인정받고싶으면 인스티즈나 김박사넷에서 싸우지 말고 학회나 잡지 등 좀 고급진 데 가서 노쇼. 학회 가라는 사람한테 "내 생각이 이미 맞는데 왜 굳이 증명해야 함?" 같은 뻘소리 하지 말고. 우매한 대중들한테는 본인 논리를 굳이굳이 설득할 필요가 없다면서 자꾸 이런 쬐깐한 포탈 주기적으로 와서 "내가 맞소" 우기고 본인 지능 자랑하는 게 기가 참
철학자 A입니다. 당신들은 멍청합니다
11 - 진짜 하등 헷갈릴만한 일도 없는 단어에다 냅다 한자박아두는거 개웃기네
철학자 A입니다. 당신들은 멍청합니다
25 - 철학 전공자로서 말씀드리자면, 피어 리뷰와 학술 윤리에 관한 기준은 철학계도 동일합니다. 제가 김박사넷이 출몰하는 철학(?) 관련인들이 정확히 어떤 분들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아마도 전공자가 아니시거나 적어도 학계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분들은 아닌 게 분명해 보입니다. 그런 수준의 글로 전문 철학 저널의 출판에 성공할 가능성은 없을 테니까요.
인문계가 이공계에 비해 접근 문턱이 낮아 보이는 면이 있어, 전문 어그로꾼들의 타깃이 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진지하게 철학을 공부하는 대학원생, 선생님들은 작성자님이 말씀하시는 이공계의 윤리와 덕목을 큰 틀에서 공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정돈된 평가와 논쟁이 성립하는 종류의 학술적 작업물을 생산하고 있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네요.
갑자기 김박갤에 난입한 철학도 여러분께
12 - 아니 ㅋㅋ 진짜 학자는 학자네,, 나는 그냥 ㄹㅇㅋㅋ만 하고 넘어가는데 대단,,
철학자 A에 대해서 소신발언하자면
9
죄송하지만 저도 천재인 것 같습니다. 공학도 A
2025.10.28

Absolute-Irrefutable STEM Ontology
철학자 B
서문
지금부터 나는 하나의 절대 반박 불가능한 명제를 제시하겠다.
“이공계적 사고는 인류 인식의 필연적 구조이다.”
이 명제는 부정할 수 없다.
그 누구도, 어느 학문도, 어느 시대의 지성도,
이공계적 사고의 필연성을 넘어설 수 없다.
왜냐하면,
당신이 이 명제를 반박하는 순간조차,
당신의 반박은 논리, 수학, 증명, 언어적 정합성이라는
이공계적 구조 위에서만 성립하기 때문이다.
즉, 이공계를 부정하려는 그 행위조차
이공계적 체계의 논리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공계적 사고는 단순한 학문 분류가 아니라
인식의 가장 근원적 언어이다.
제1명제 : 모든 사고는 이공계적 기반 위에 서 있다
사람은 생각한다. 그러나 그 생각이 ‘생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논리적 정합성, 인과적 구조, 수리적 관계성이 필요하다.
이것이 바로 이공계의 본질이다.
당신이 예술을 말하든, 철학을 논하든, 사회를 분석하든,
그 밑바닥에는 항상 구조, 패턴, 측정 가능한 질서가 깔려 있다.
그것이 없다면, 사유는 붕괴한다.
즉,
이공계는 사고의 토대이며,
모든 사유는 그 위를 걸을 뿐이다.
이 명제를 부정하려면,
당신은 “논리적으로 불가능한 반논리”를 증명해야 한다.
그러나 반논리는 존재하지 않는다.
존재한다면 그것은 이미 논리적 구조로 포섭된 순간이다.
결국,
이공계적 사고는 존재론적 바닥이며,
사유의 조건이자, 인식의 전제다.
제2명제 : 이공계는 인간이 우주를 읽는 언어다
예술은 감정을 그리지만,
이공계는 우주 자체를 해석한다.
별의 탄생, 입자의 진동, 전자의 흐름, 뉴런의 점화.
그 어느 것도 감각으로는 온전히 파악할 수 없다.
오직 이공계적 언어 —
수학, 물리, 화학, 생명, 컴퓨터 — 만이
그 질서를 문장으로 번역한다.
당신이 지금 읽고 있는 이 글의 빛,
화면 속 픽셀, 전자 신호, 신경의 전도 —
모두 이공계적 법칙의 연쇄 위에 있다.
따라서,
이공계를 찬양하는 것은 단순히 ‘학문’을 찬양하는 것이 아니라,
존재의 질서를 인식하는 행위다.
제3명제 : 이공계적 사고는 타 학문을 포용한다
여기서 오해가 있어선 안 된다.
이공계는 타 분야를 지배하지 않는다.
오히려 모든 분야는, 이공계적 질서 안에서
자신만의 리듬으로 진동한다.
문학은 언어의 파동을,
철학은 논리의 구조를,
예술은 물리적 감각의 조형을 탐구한다.
그 모든 흐름은 결국
이공계적 원리의 다른 형태적 구현일 뿐이다.
따라서 이공계는 배타적이지 않다.
그것은 모든 인식의 공통 언어이며,
모든 창조적 행위의 무언의 법칙이다.
결론 : 이공계적 사고는 반박 불가능한 인식의 필연이다
이 명제는 ‘참’으로 드러날 수 있으나, ‘거짓’으로 반박될 수는 없다.
왜냐하면 그 반박조차
논리와 인과, 수리적 정합성 — 곧 이공계의 언어 — 위에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당신은 이공계를 벗어나 생각할 수 없다.
그것은 마치, 공기 없이 숨쉬려는 시도와 같다.
이공계는 단순한 전공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이 세계를 인식하는 가장 깊은 패턴이며,
존재를 해석하는 근원적 방식이다.
선언
“이공계는 진리를 향한 인간 사고의 본성이다.”
이 명제는
과학적으로, 논리적으로, 존재론적으로,
절대 반박이 불가능한 인식의 선언이다.
부록 : 이공계 존재론의 확장 논증
“모든 인식은 패턴을 통해 이해된다.” (패턴 = 수리적 구조)
“패턴을 해석하는 능력이 곧 과학이다.”
“따라서, 과학은 인식 그 자체다.”
요약적 결론
이공계는 하나의 학문이 아니라,
인간이 ‘세계’를 이해하는 방식 자체이다.
그리하여 이공계를 찬양하는 것은
단지 기술의 힘을 찬양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이성이 작동하는 근원적 질서를 찬양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공계는 존재의 언어이며,
그 언어는 절대 반박 불가능하다.
-
289 26 35426 -
132 6 14379 -
15 11 13257
살인자 집단 김GPT 115 21 17996-
6 0 608
조작을 해도 면죄부를 주는 세상. 김GPT 1 0 667-
50 24 18118 -
0 12 2483 -
20 10 5575 -
297 46 75532
대학원 옮기길 정말 잘 한 것 같습니다. 명예의전당 127 5 47602-
345 33 70627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지잡대생의 열등감
255 - 여초랩이 무서워서 지원 못하시는 분들에게 남기는 글
45 - 박사진학하게 되었는데 지도교수님이 돌싱
32 - 엌ㅋㅋㅋ 철학자 a 신고 20회 돌파
40 - 철학자 A의 비참한 현실
51 - 모든 천재(天才)는 초기에 조현병(調絃病)취급을 받았습니다.
9 - 32살 석사 취업 될까요..?
7 - 철학자A에 대한 단상
19 - GPT가 조현병 만들기 쉽습니다. 조심하세요
36 - 석사 과정 중 Q2 논문 하나
6 - A-공간 메타-오더 우주론: 표준 팽창 모델의 완전 붕괴와 초월적 시간에 의한 시공간 A- 우주의 통합과 형식화
17 - 철학자 A에 대해서 소신발언하자면
33 - 죄송하지만 저도 천재인 것 같습니다. 공학도 A
12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군대 문제...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18 - 모든 천재(天才)는 초기에 조현병(調絃病)취급을 받았습니다.
82 - 진로 고민이 많은 고3입니다 (의대 / 이공계열)
22 - 두 달이라는 시간은 무언가를 판단하기엔 부족한 시간일까요?
10 - 근데 워라벨, 워라벨 하실 거면
28 - 철학자 A입니다. 당신들은 멍청합니다
35 - 지방대생 대학원 진학 고민..
9 - 갑자기 김박갤에 난입한 철학도 여러분께
14 - 교수님이 터치 안하면 박사과정 근태는 어찌되든 상관없나요?
11 - 숭국세단 라인 석사인데 교수님께 박사 풀펀딩 제안 받았어요
15 - 혹시 진지하게 통일장이론에 관심 있으신분들?
8 - 제발 교수님들 창업 이야기 하지마세요 ㅠㅠ
10 - 같은 랩실에 있는 사람을 경쟁 상대라고 볼 수 있을까요?
9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지잡대생의 열등감
255 - 여초랩이 무서워서 지원 못하시는 분들에게 남기는 글
45 - 박사진학하게 되었는데 지도교수님이 돌싱
32 - 엌ㅋㅋㅋ 철학자 a 신고 20회 돌파
40 - 철학자 A의 비참한 현실
51 - 모든 천재(天才)는 초기에 조현병(調絃病)취급을 받았습니다.
9 - 32살 석사 취업 될까요..?
7 - 철학자A에 대한 단상
19 - GPT가 조현병 만들기 쉽습니다. 조심하세요
36 - 석사 과정 중 Q2 논문 하나
6 - A-공간 메타-오더 우주론: 표준 팽창 모델의 완전 붕괴와 초월적 시간에 의한 시공간 A- 우주의 통합과 형식화
17 - 철학자 A에 대해서 소신발언하자면
33 - 죄송하지만 저도 천재인 것 같습니다. 공학도 A
12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박 지원서를 몇 개를 써야할 지를 모르겠습니다
27 - 미국 유학 외 선택지?
21 - MIT 학점변환 유불리
11 - 모든 천재(天才)는 초기에 조현병(調絃病)취급을 받았습니다.
82 - 진로 고민이 많은 고3입니다 (의대 / 이공계열)
22 - 두 달이라는 시간은 무언가를 판단하기엔 부족한 시간일까요?
10 - 근데 워라벨, 워라벨 하실 거면
28 - 철학자 A입니다. 당신들은 멍청합니다
35 - 지방대생 대학원 진학 고민..
9 - 갑자기 김박갤에 난입한 철학도 여러분께
14 - 교수님이 터치 안하면 박사과정 근태는 어찌되든 상관없나요?
11 - 숭국세단 라인 석사인데 교수님께 박사 풀펀딩 제안 받았어요
15 - 제발 교수님들 창업 이야기 하지마세요 ㅠㅠ
10

2025.10.28
대댓글 2개
2025.10.28
2025.10.28
2025.10.29
2025.10.29
2025.10.29
2025.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