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제발 교수님들 창업 이야기 하지마세요 ㅠㅠ

2025.10.28

10

5189

교수님들이 갑자기 왜 창업 이야기 하는지 모르겠음

솔직히 산학협력단이 기술이전 강요하고, 창업 실적 교수보고 채우라 하고, 좀비기업 양산하고 왜그럼?

성공 사례 맨날 들고와서 카이스트 무슨 연구실 어쩌구 스핀오프 어쩌구 하는데

산학과제 할때도 보면 기업보고 여기에 투자해라 저기에 투자해라 하시던 교수님도,

교원 창업하니까 본인 연구와 관련해서 돈이고 뭐고 상관없이 하고 싶은거 ㅈㄴ게 하다가 막판에 있어보이는 보고서 하나 넣고 결과발표하고

투자 못받아서 이 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없는 VC AC 컴퍼니빌더 욕하시다가

큰돈 투자하신 분은 , 갑자기 투자 못받으니까 당장에 돈되는거 해야 한다, BM 피버팅 하시고

남의 돈 투자하신 분은 멋지게 폐업ㅋㅋㅋㅋㅋ

다 좋은데 그 밑에 대학원생은 XXX 어쩌라고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5.10.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3가지 부류임. 1) 교수의 낮은 연봉 때문에 부수입이 필요해서 교원창업을 하는 경우, 2) 은퇴 이후 작은 일거리를 만들기 위해서 시작하는 경우, 3) 기술이 학교에서 사장되는게 너무 아까워서 스타트하는 경우. 1,2번은 최악인 것이고 3번은 기술을 개발한 대학원생과 교수 모두 윈-윈 할 수 있는 좋은 전략인데 문제는 미국처럼 교수가 자문만 해주는 역할로 빠지지 않고 대표를 직접 맡아서 다 이끄려고 하는게 문제임. 교수가 대표를 맡는 순간 대학원생은 어쩔 수 없이 회사의 업무에 개입을 해야하거든요.. VC나 AC의 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건 일부 교수님의 잘못이 있기도 합니다. 기술을 설명하는건 전적으로 교수의 책임이고 그걸로 가치를 평가받는데 어렵게 설명을 했거나, 혹은 애시당초 매칭이 되지않을 파트너를 찾아온거겠죠. 어느 집단을 가도 상위 10% 이내만 경쟁력이 있습니다. 의사도 수술못하는 의사들 너무 많듯이요. 본인이 속한 그룹의 리더인 교수가 경쟁력이 있고 분명한 비전과 철학이 있는지를 항상 지켜보고 판단하시길. 한국의 분위기가 어렵긴하나, 그 명문대를 유학해서 교수하고 있던 교수들도 비슷해지는 것을 보면 결국 근본싸움임.

대댓글 1개

2025.10.29

근본싸움이란게 어떤 의미인지요?

2025.10.28

학교에서 창업하라고 그만 닥달하면 좋겠다… ㅅㅂ

2025.10.29

님이 실패한 곳에 있어서 그렇지 성공했을 때 리턴이 엄청나니까 멈출수가 없는거임

2025.10.29

능력 안되는데 창업하는 교수들 너무 많음

2025.10.29

교수는 창업해도 잃을게 적거든요; 거의 무료 인건비가 있으니 ㅋㅋ 꽁으면 교수해서 똑같이 하세요 기회니까

2025.10.29

교수가 창업하면 학교는 무조건 돈버는구조임
기술이전 몇천만원+사무실임대료+지분
돈한푼 안들이고 최소 수천만원 땡기는 장사임
대한민국 기술창업의 대부분이 교수창업인데 기술창업특성상 R&D비용이 지속적으로 들어가기때문에 수익성은 크지 않음 이를 해결해주는게 연구실 인프라랑 저렴한 비용으로 아웃풋이 나오는 대학원생임

2025.10.29

요즘 나라에서 창업을 엄청 밀고 있음. 예산도 꽤 편성된걸로 알고있고.

목적은 당연히 창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 + 고용효과
어렵게 과제 따내는거보다 창업해서 돈 타먹는게 교수님들 입장에서도 쉬울수도

2025.10.29

국가에서 요즘 창업 밀어주는데
정작 인건비는 쓸 수 없음

그와중에 지원받은 돈 쓰려면 허수아비가 필요해서
형식적으로 인원 채움, 예산 낭비 ㅋㅋ

IF : 2

2025.10.29

ㅋㅋ 이공계에서 교수와 대학은 안할 이유가 없는 로우리스크 하이리턴이 사업입니다. 국가적으로도 대학 연구성과로 기술창업하는게 당연히 장려될 일입니다.

교수 - 싼 인건비로 고급 인력(대학원생) 부려서 회사 운영 가능, 창업한 기업 통해 추가 과제 확보 (산학협력연구과제, 중기부과제 등), 회사 망해도 대학교수라는 안정적 직장은 유지됨
대학 - 회사 지분 일부 받아서 회사 백개중에 한두개만 상장하고 대박터져도 수백억 확보 (예시: 레인보우로보틱스), 성공사례 한두개로 교육부에 대학 성과로 인정 받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