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저는 서성한 아래의 인서울 학교에서 학부 석사 하고 Top 3에서 미박 고년차입니다. 아쉽게도 글쓴이분이 적어주신 것과는 다르게 저는 학교의 역사가 되진 않았습니다. 제 지인들정도만 알지 학교에선 아무 관심도 없습니다.
제가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의 학부에서 경험한 것들과 매년 다양한 학교(서울대부터 서성한까지)에서 들어오는 신입생들 인터뷰를 해본 경험을 바탕으로 좀 추가해보자면,
학부가 좋으면 합격확률이 높냐? -> No.
학부가 안좋으면 합격확률이 낮냐? -> No.
제가 나온 학부 레벨에서는 애초에 유학 준비하는 분위기나 시스템 자체가 아예 없고, 학생들 계획에 유학이란 옵션 자체가 없습니다. 좀 야망이 있다 하는 애들이 그나마 SPK를 목표로 대학원 준비를 합니다. 학부 레벨이 높아질 수록 학생들 수준도 높고, 학교차원에서 유학 지원 프로그램이 잘 돼 있어서 학부 저년차 때부터 유학 준비하는 학생의 비율이 높습니다.
학교 레벨이 높을 수록 대학원 연구 환경도 일반적으로 더 좋기 때문에, 학부연구생도 더 좋은 환경에서 연구 할 수 있고, 좋은 실적을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학부 간판 자체가 영향력이 크다기 보단 좋은 학부에 좋은 환경과 분위기가 형성되어 있고 지원자 수 자체가 더 많기 때문에 유학생 숫자가 높습니다.
단순 합격률로만 따지면 제가 나온 학부에서는 해당 년도에 저 혼자 유학준비해서 저 혼자 유학나왔으니 제 모교가 합격률은 100%로 SPK보다 합격률이 높습니다.
학부가 낮다고 좋은 학교로 유학 가는게 그렇게 하늘의 별따기인건 아니고, 본인이 정말로 유학에 뜻이 있어서 학부 저년차때부터 잘 알아보고 준비하면 상위학교보다 유학을 잘 가지 못할 이유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단지 주변 환경이 좋지 않아 준비하는 과정에서 상위 학교 학생들보다 노력은 배 이상으로 들겠지만요.
미국 유학에서 학부 중요합니다
17 - 3년이나 준비하면 석사야 거의 무조건 될거에요.. 돈이 문제일 뿐이고 또 가성비도 박사보다 아무래도 안좋으니 그렇게까지 준비하면 박사쪽을 생각하는게 낫겠죠.
인터넷에서는 유독 학부를 근거로 묻는게 많이 보이네요. 하도 사람들이 왈가왈부 많이해서 신경쓰이는 걸 아는데 이는 단언컨대 서울대에 대한 집단적인 과대자아입니다. 예를 들어 "내 같은 실력으로 서울대였으면 미국 대학원을 들어갔는데 한양대여서 못 들어간다"? 이런 건 말이 안되는 핑계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서울대 나오고 박사학위 중인데 주변에서 제대로 아는 사람도 교수든 학생이든 거의 못봤거든요... 딱 자기 제자가 서울대 나왔다 하는 교수만 정확히 그 한국 내 위상을 압니다. 왜냐하면 미국 입장에서는 외국에 서울대급 학교가 100개에 육박하기 때문입니다. 6대륙에서 우리가 이름 아는 어느 나라를 찍어서 최고 학교를 보면 서울대급 아웃풋을 보여줘요.. 심지어 동남아 방글라데시의 최고기술대학도 애들이 영어도 잘하고 수준이 엄청 높습니다.
결론은 학부 신경쓰지말고 하고 싶은대로 도전하세요. 아직 20대초일 듯 한데 가능성은 무궁무진합니다.
한양대 학부 정도면 미국 top 10 석사 가능할까요?
9 - 팔린적이 없는데 뭔 스테디셀러임?
산업공학은 스테디 셀러인듯
23 - 방송나와서 국민들에게 관심을 받게끔 하는 사람도 필요로 하죠. 그래야 여론이 받쳐주고 그분야 연구비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죠.
그런데 박사학위 받고 3개월도 안되서 논문 피인용수1개 밖에 없는 사람이 교수되는건 말이 안되죠. 비교할껄 비교하세요
인천대 신임교수보다
42 - 제대로 알고나 글 쓰세요.
댓글 쓴 분이 알려주셨으면 수정이라도 하든가.
그저 남 비방하기 바쁜 분으로만 보입니다.
그러니 울적할 수밖에요 ^^
고려대학교 박사과정 중 연구논문 7편 썼대고
인천대가 전임교원으로 임용할땐
다른 이유도 있었겠죠.
이번에 인천대를 알게된 분들도 많더이다.
그리고 지방에 20대 전임교수 종종 있습니다.
문제가 있다면 학교측에 있는 거지
유승민 전.의원이 청탁을 한 것도 아니고
임용된 유승민 딸은 또 뭔 죄?일까 싶습니다.
글쓴님
고.박원순 전 시장 아들이 고려대 전임교수로
임용된 건은 어찌 생각하십니까?
요즘 뉴스에 나오는 인천대 무역학과 교수 특혜 임용
27 - 후배들중 이런 친구들도 많이 봤습니다. 그 친구들 졸업하고 대기업 입사한다음에는 재밌게 잘 다니고있습니다. 돈은 훨씬많이 벌겠죠.
연구를 하다보면 열정이 있을 때도, 없을 때도 있는듯 합니다. 그런데 솔직히 와이프 입장에서는 오히려 본인 목표가 높고 뚜렷해서 본인이 희생해야되는 것보다, 적당히적당히 마인드셋으로 그냥 대기업 취업해서 적당히 살아가는 남편이 훨씬 나을수도있습니다.
저는 제 목표 하나때문에 와이프가 일도 다 포기하고 미국따라나와서 살아간지 벌써 4년짼데, 아직도 미안한 감정이 큽니다. 집에 퇴근해도 집안일도 도와주지만 많은시간 일에 잡혀있고, 포닥할때는 취업까지만 참아줘, 그리고 지금은 태뉴어까지만 참아줘 라는말을 하는데 와이프가 스트레스많이 받아해요.
개인적으로 와이프 입장에서는 남편이 "정출연 > 대기업 > 교수" 순으로 선호할것 같습니다. 이 순서와 비례해서 가정에 충실할 확률도 높고요.
꿈, 목표 의식이 없는 남편 (조언 부탁 드립니다)
8 - 피해야 할 이유는 알겠는데 이러면 etri 지원자들만 불안해지고 저걸 피할 방법이 없음. 어느정도는 초성이라도 특정을 해줘야지
에트리에 학부생 착취하는 연구원 있음 조심해라
9 - 로보틱스, 김씨
에트리에 학부생 착취하는 연구원 있음 조심해라
17 - ㄱㅈㅇ
에트리에 학부생 착취하는 연구원 있음 조심해라
14 - etri 선연출신인데, 솔직히 학부연구생 필요없어도 실장님이 의무감으로 뽑는경우가 대다수였습니다.
학부인턴동기들 야근이 일상이라고 하시는데, 어느팀인지 궁금합니다. 제가 원내에서도 꽤나 유명한 하드워커였고, 당시에는 여자친구(현 와이프)와 떨어져지냈어서 매번 저녁식사하고 9-10시에 퇴근했습니다.
그러다보면 당연스럽게 우리 실뿐 아니라 늦게까지 일하는사람들은 많이들 알게됩니다. 그중 학부연구생이 있는건 정말 한번도 못봤습니다.
에트리가 워낙 규모가 커서 제가 당연히 다 알지는못하고, 분명 실력없는 분들도 많지만 반대로 실력 훌륭한분들도 많이 있습니다. 저도 여러가지 불만족스러워서 나온케이스고 에트리의 여러문제점들을 김박사넷 혹은 하브넷에서도 공유하지만, 이런식으로 일반화 하는 말에는 공감하기가 어렵습니다. 솔직히 학부생들이 전반적인 큰그림 못보시면서 본인의 실력을 유독 높게평가하는 경우일수도 있다고 개인적으로는 생각됩니다 ㅎㅎ
그리고 제가 있던 실을 포함해서 대부분의 인턴들은 솔직히 말해서 하는것없이 그냥 적당히 놀다가 돈벌고 가는경우가 대다수였습니다. 원내에서도 디자인 하는사람이 차라리 도움되지, 학부생들 와봤자 신경만써줘야하고 귀찮다는 평이 정말 많았고요. 본인 주변에 얼마나 열심히하는 사람들이 많았는지 모르고, 얼마나 잘하셨던 학부인턴생들이였는지 모르겠어서 어느 실인지도 궁금하긴 하네요.
에트리에 학부생 착취하는 연구원 있음 조심해라
12 - 논문을 썼으면 후순위 공동 1저자죠. 아이디어와 실험도 중요하지만 논문의 질을 결정하는건 논문의 흐름과 논리입니다
논문만 작성해줘도 공동 1저자 요구할 수 있을까요?
14 - 아니 논문 80%를 본인이 썼는데 뭔 후순위 공동저자임 ㅋㅋ 무조건 맨앞자리 1저자지
다들 간과하는게있는데 실험이나 아이디어가 중요한게 아니고 논문을 직접 '작성'한 기준으로 기여도가 정해지는거임
80% 쓴 본인이 공동1저자 퍼스트, 석사후임이 그 다음임
논문만 작성해줘도 공동 1저자 요구할 수 있을까요?
18 - 당신 어머니의 안부는 님한테 물어보면 되나용?
간혹 교수님이나 대학원생이 어디 회사 연구인턴 이력이 있던데...
8
카이스트 컨택하는데 메일 토요일에 보내도 괜찮나요?
2021.09.18

혹시 모르니까 한 군데 말고 좀 더 컨택하려 하는데 이제 연휴라서 연휴 끝나고 평일이 될 때까지 기다리면 23일 정도까지 밀려나게 되더군요
그냥 연휴 끝나고 보내야 하나 이번 토요일에 바로 메일 보내야 하나 고민되네요
일을 잘 한다는 것. 명예의전당 212 15 22255-
76 61 15561 -
192 29 41919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첫 논문 작성할 때 레퍼런스 정리 꿀팁 (+a)
235 - (장문) 박사과정은 낭만이다
114 -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85 - 1년전 석사과정 중 랩실 때문에 죽고 싶다는 글을 썼었습니다
77 - 수준 떨어지면 읽지마라.
47 - 요즘 뉴스에 나오는 인천대 무역학과 교수 특혜 임용
31 - 수준 떨어지면 읽지마아 2탄
20 - 연대 의과대학 서류 합격했는데 면접 준비 어떻게 하나요..
6 - 교수님 욕만하는 선배
5 - 연대 대학원 서류 탈락했는데 재수해도 가망 없을까요?
4 - 대학원 적응이 안됩니다
4 - 차별과 편애 때문에 정신 나갈거 같아요
11 - 동국대 박사 졸업하면 무시하나요?
6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꿈, 목표 의식이 없는 남편 (조언 부탁 드립니다)
30 - 여기는 똑똑하신 분(합리적추론을 내릴 수 있는 분들이)이 많을 거 같아서 제 선택에 대해
9 - 서울대 공대는 사전 컨택 비중 아예 없으니 구술 합격하면?
7 - 에트리에 학부생 착취하는 연구원 있음 조심해라
12 - 지금의 삼전 하닉 취업 vs 교수 임용 도전
14 - 논문만 작성해줘도 공동 1저자 요구할 수 있을까요?
23 - 저희 교수님은 제가 싫은거겠죠
6 - Spk가능하나요?
6 - 교수님이 타대생 안뽑았으면 좋겠다..
12 - 이마트 정용진 회장한테 뭔가 사기 당한 거 같음.jpg
6 - 석사 논문 마무리 원래 힘든가요?
8 - 왜 편애차별 당하는 사람한테
6 - 국립대랑 사립대 중에 믿을 만한 곳은 어디인가요?
7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첫 논문 작성할 때 레퍼런스 정리 꿀팁 (+a)
235 - (장문) 박사과정은 낭만이다
114 -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85 - 1년전 석사과정 중 랩실 때문에 죽고 싶다는 글을 썼었습니다
77 - 수준 떨어지면 읽지마라.
47 - 요즘 뉴스에 나오는 인천대 무역학과 교수 특혜 임용
31 - 수준 떨어지면 읽지마아 2탄
20 - 연대 의과대학 서류 합격했는데 면접 준비 어떻게 하나요..
6 - 교수님 욕만하는 선배
5 - 연대 대학원 서류 탈락했는데 재수해도 가망 없을까요?
4 - 대학원 적응이 안됩니다
4 - 차별과 편애 때문에 정신 나갈거 같아요
11 - 동국대 박사 졸업하면 무시하나요?
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한양대 학부 정도면 미국 top 10 석사 가능할까요?
13 - 학부 졸업 후 미국 석사 지원 준비 시에 할 만한 것이 있을까요?
10 - UC 데이터 사이언스
13 - 꿈, 목표 의식이 없는 남편 (조언 부탁 드립니다)
30 - 지금의 삼전 하닉 취업 vs 교수 임용 도전
14 - 논문만 작성해줘도 공동 1저자 요구할 수 있을까요?
23 - 저희 교수님은 제가 싫은거겠죠
6 - Spk가능하나요?
6 - 교수님이 타대생 안뽑았으면 좋겠다..
12 - 이마트 정용진 회장한테 뭔가 사기 당한 거 같음.jpg
6 - 석사 논문 마무리 원래 힘든가요?
8 - 왜 편애차별 당하는 사람한테
6 - 국립대랑 사립대 중에 믿을 만한 곳은 어디인가요?
7

2021.09.18
대댓글 1개
2021.09.18
2021.09.18
대댓글 1개
2021.09.18
2021.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