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연구실 선택에 있어서 매우 고민이 되어 질문드립니다.

2021.09.18

20

4097

인서울 공대 4학년입니다.

현재 자대와 타대 석사 진학에 있어서 매우 고민되어 질문드립니다.
희밍 진로는 석사 후 취업하고 결혼한 다음에 미국 박사로 유학가거나 석사 후 바로 유학가는 것입니다. (현재 만나는 여자친구와 결혼 계획이 있습니다.)

1. 자대는 1년넘게 학부연구생을 했고, 부저자로 1점대 SCIE급 논문에 참여했습니다. 여기서 계속 한다면 논문을 많이 써볼 기회가 있을 것 같은데 (이미 4학년 초에 논문을 냈고, 주저자로 리서치논문 2개 리뷰 논문 2개 올해 완료 예정), 석사만 2명있는게 걸립니다.. 박사과정이 없고 그래서 석사들과 저가 멘땅에 헤딩하듯 일을 하고있습니다. 교수님 실적은 좋은편은 아닌데 꾸준히 논문은 내시는 것 같습니다. (IF1~5짜리 논문)
석사2명도 이제 1차학기라서, 실험계획부터 논문작성까지 저 스스로 해야하는데 잘 할수 있을까 두렵고 겁이납니다. 그래도 커리어적 측면에서의 장점은 새로운 대기업과제를 제가 참여하게 되었고(사람도 없는데 과제 따오시는게 신기합니다) 국책과제도 기여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alumni는 그래도 top10 미국대학원간 선배 1분, 박사졸후 대기업, 석사졸후 정출연 부터 중견~대기업까지 다양합니다.

2. 한양/고려대 연구실
spk가기엔 컨택도 늦었고 학점도 부족하여(3.8/4.5) 타대를 알아보았고 면담까지 마쳤습니다. 특히 한양대 교수님은 산학과제가 매우 많고 제가 원하는 분야에서 실적도 뛰어나게 좋습니다. 고려대 교수님은 인성이 매우 좋아보이셨고 실적도 지금 연구실보다 좋은 것 같습니다. 특히 박사/석박통합 과정 선배들도 많아 실험적인 면, 디테일적인 면에서 많이 배울 수 있을 것 같고 체계가 있어보입니다.
한양대 alumni는 전부 대기업이고, 고려대 alumni는 대기업 1 해외탑대학 포스닥 1 정도입니다..

지도 교수님과 의리를 지키느냐, 실적이 좋은 연구실로 새로운 도전을 해보느냐 매우 고민이 많아 vs 질문이 유치한 질문인줄 알면서도 글을 써봤습니다 ㅜㅜ 도움 주신다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0개

2021.09.18

의리가 님 캐리어 책임지지 않습니다

대댓글 2개

2021.09.18

그런가요.. 그래도 국가과제와 대기업 과제가 있어서 제가 학부생때부터 도맡아 한 부분이 있는데 2번보다 별로일까요? 주변 친한 동기선후배가 다 자대라 모르겠네요 ㅜ

2023.11.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인터셉터는 책임져 주나요?
뉘우치는 노엄 촘스키*

2021.09.18

김보성이신가요?

대댓글 1개

2021.09.18

으..으-리!

2021.09.18

의리문제는 좀 아니라고 보지만 한양대 고려대 진학이 꼭 좋을진 의문입니다. 인품이 좋아보이더라도 알수없는거고.. 석사만으로 실적을 좀 내려면 학부인턴한 곳이 유리하죠. 공공기관 취업을 목표로 한다면 요즘은 전면 블라인드고 대기업이라면 고려대 한양대가 조금 나을지 몰라도 저라면 논문 있는 사람을 그래도 뽑을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1.09.18

대기업은 논문보다는 학벌을 본다고 하는데 그 점도 고민되는 점입니다ㅜㅜ (중앙대가 학벌로 메리트가 없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대기업이 인생의 최종 목표는 아니지만, 단기목표중에 하나라서요.

2021.09.18

대기업은 논문보다 학벌이라기보단 석사면 논문은 잘 안보긴 합니다. 그런데 그것도 케바케라 어짜피 거기서도 찍듯이 사람을 뽑아야할 때가 있고 그땐 뭐라도 있으면 작용을 합니다. 그리고 학벌은... 좀 이런 얘기 그렇지만 한양대 고려대 공학석사가 대기업 입사에서 게임체인져로 작용할만한 학벌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냥 손해안본다.. 정도면 비슷비슷해 보입니다.

2021.09.18

예전엔 L사는 선발하는 10개 대학.. 이런게 암묵적으로 있고하던 시절이 있었어요. 그래서 그때는 대학원이라도.. 옮기는게 낫다는 것도 있었는데.. 정작 대기업에서 사람 뽑을때보면 요즘은 그런거보단 분야적합성을 더 봅니다.

대댓글 5개

2021.09.18

대기업에서 논문을 안보면 결국 학부와 학점이겠군요,, 사실상 저도 리서치 관련으로 갈 수 있는 기회를 얻고자 진학하는거지 석사로 뭔가 대단한걸 해보려는 건 아닙니다 ㅎㅎ(그럴 능력도 없구요) 그렇다면 spk급 대학원 석사가 아닌이상 대기업 입사에는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없고 그렇다면 논문을 좀 더 낼 수있는 자대 석사가 낫다는 말씀이실까요??

2021.09.18

세부분야가 어딘가요? 참고로 대기업도 어디냐에 따라 좀 다릅니다..

2021.09.19

세부분야는 화학신소재공학이고 희망 기업은 삼성 하이닉스 입니다..!

2021.09.19

아 희망 연구분야는 박막공정/TFT 쪽이에요

2021.09.19

공정 쪽이면.. 학벌이 좌우되는 폭이 좀 적은 분야입니다. 물론 일부 보는 회사도 있지만 삼성은 상대적으로 덜 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021.09.18

저의 출신 학교별 인상은... 한양대 출신들은 우리나라에서 엔지니어링 회사에서는 좋아합니다. 한국 공대 중 가장 오랴됐다고 요소요소 선후배들도 있어요. 그리고 캡스톤이나 링크사업단.. 이런것도 발달해서 이공계 실무 교육이 잘 되는 학교 같습니다. 반면 중앙대 경희대 시립대.. 출신들은 보면 둥글둥글 모나지 않게 조직에 잘 적응하는 경우들이 많아 인사팀에서 비교적 테클을 걸지 않습니다.

대댓글 1개

2021.09.19

아하 한양대가 역시 산학연계가 잘 되어있더라구요.. 그래서 탐나기도 합니다. 저희학교의 경우에도 더 상위대학에대한 아쉬움? 동경?도 있고 그런것들이 겸손함으로 이어져 둥글둥글한게 아닌가 싶네요 ㅋㅋ 물론 사바사이지만 저나 친구들은 그렇습니다..그래도 인사팀에서 테클은 안건다니 다행입니다

2021.09.19

유학 관점으로 이야기하면 자대요.
어차피 유학에서 서카포 급 아니면 한양/고려 로는 티도 안나고 일저자 논문이 더 중요한데 자대에서 쭉 해서 시간 절약 안하면 타대생이 석사만 해서는 거의 일저자 논문 못 냅니다.

대댓글 3개

2021.09.19

타대생이 석사로 가면 과제나 실험이 주어지지 않나요?

2021.09.19

일은 하지요. 여러 이유가 있을텐데요.

1. 유학갈 석사는 주저자 논문을 쓸 일이 주어지지 않는 경우. 박사과정들 위주로 돌아가는 랩.

2. 1~5점짜리 낼 프로젝트는 시작도 안하는 경우. 큰 프로젝트는 오래 걸려서 2년 내로 퍼블리쉬 못 합니다.

3. 새 멤버가 새 랩에 오면 배우느라 몇 달 지나감. 2년밖에 안되는 석사 기간에 몇 달은 큼

보통 이런 이유 들이지요.
그리고 자대를 가더라도 주저자 논문 낼 것이 한 두 편 각이 나온다면 나머지 에너지는 실패해도 좋으시 5점보다 높은 논문을 낼 프로젝트를 하나 시작하는게 좋습니다. 유학 지원에 주저자가 도움이 되는 것은 맞지만 그게 3편인지 4편인지 보다는 좋은 저널에 낸 것이 있는지가 훨씬 중요하니까요.

2021.09.19

마키아벨리님 답변 감사드립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