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현재 기계공학과 1학년 학생입니다.
공학도가 추구해야 할 가치는 무엇일까? 내가 하고 싶은 것은 무엇일까? 와 같은 생각을 평소에 자주 하는데 드디어 그 답을 찾은 것 같습니다. 지식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그것도 무한한 우주에 대한.. 음.. 우주선 개발을 한다고 해서 우주에 대해 모든 것을 알 수는 없지만 다른 것도 매한가지라고 봅니다. 완벽이라는 것은 잡을 수가 없으니까요.
아무튼 제가 한국항공우주연구소에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약간 의아한 점이 있었습니다.
정부출연연구소라 당연히 SPK라인이 꽉 잡고 있을 줄 알았는데(정출연이 굉장히 좋다는 말만 들어서 사실 다른 기관은 알아보지 않았습니다.) 잡코리아를 보니 충남권 대학교가 굉장히 많더군요. 대학원 졸업생도 마찬가지입니다.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대전에 있어서 지원률이 적은 건가요? 아니면 관심이 없는 건가요?
아니면 블라인드 채용으로 사람의 역량만을 본다던가 그런거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1.10.21
박사급 인력으로 볼때 학교를 보시는게 좋을것같고, 우선 이런 일회성인것들때문에 순간적으로 특정 연구방향을 결정하시기 보다는 전공공부하면서 잘맞는지부터 알아보세요.
대댓글 1개
2021.10.21
충고 감사합니다. 아직 1학년이라 더 전공을 공부해가면서 알아보겠습니다.
2021.10.21
연구직 뽑는데 블라인드는 의미없구요~ 논문 폰으로 찾아보면 학교 바로 나옵니다.
잡코리아에 어떻게 통계가 나오는지는 모르겠으나 카이스트도 충남권 대학교이죠
딱히 spk만 뽑겠다 이런것은 없지만 논문실적, 능력보고 뽑아놓으면 spk가 대부분입니다
대댓글 4개
2021.10.21
대졸 123순위 한남대 목원대 충남대로 나와있습니다. 대학원도 충남대학교 대학원 고려대(서울)대학원 순이더군요. 서울대도 몇 있지만 PK는 잡코리아에서 집계되지는 않았습니다.
뻔뻔한 백석*
2021.10.21
정출연은 대졸 학사를 연구원으로 뽑지 않습니다. 한남대, 목원대, 충남대 학사졸이 많은 것은 아마 KARI의 재직중인 행정원들이 주로 통계에 잡힌거 같네요. 참고로 대전 정출연에 충대 박사가 많은 것은 몇십년전에 석사로 채용되신분이 재직중에 뒤늦게 충대에서 파트박사를 많이 하시기 때문입니다.
2021.10.21
전혀 현실과 맞지않는 엉터리 통계인듯
공공기관 지역의무채용 있어서 비연구직의 30%는 대전소재대학출신으로 채워야되서 그게 잡힌걸려나?
갑자기 고려대 대학원은 또 뭔소리지ㅋㅋㅋ
요새 채용되는 사람들 통계인지, 수십년간 전체 통계인지 모르겠으나,
엉터리임
2021.10.23
그렇군요 통계가 이상하다보니 질문을 올린 것 같습니다.
나른한 리처드 파인만*
2021.10.21
연구원에서는 연구 일만 있는게 아니라 인사, 회계, 홍보 등등 여러 일을 맡을 인력이 필요합니다. 전문직은 잡코리아에 제대로 뜨지도 않아요.
2021.10.21
대댓글 1개
2021.10.21
2021.10.21
대댓글 4개
2021.10.21
2021.10.21
2021.10.21
2021.10.23
2021.10.21
대댓글 1개
2021.10.23
2021.10.21
2021.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