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랩생활하면서 저녁있는 삶+ 편안한 주말 휴식이 가능할까요?

선량한 쇠렌 키르케고르*

2021.10.25

16

5102

요즘 입시시즌이라 그런지 산학장학생 관련해서 질문이 많이 올라오는 것 같아서 제 스펙과 상황을 말씀드리고 개인적인 고민거리도 털어놓으려고 합니다.

저는 우선 yk ssh 중 한 대학의 계약학과 석사전형으로 선발이 되었고 22년 3월 진학 예정 중입니다.
배터리 분야이고 인서울 중-중하위권 학벌에 학점은 4.1입니다. 당시 면접에 수십명 정도가 참석했고 1자리수가 뽑혔습니다.

고민인 점은 대학원 생활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입니다.
솔직히 공부는 좋아하는 편이라 논문 읽기, 수업듣기, 실험하기 위 3가지 분야는 적성에 매우 잘 맞고 잘할 자신이 있습니다.
단, 혹시나 대학원 생활에 자유가 없지는 않을까? 내 삶이 없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많이 드네요. 제가 희망하는 자유의 범위는 일반 직장인들처럼 저녁있는 삶+ 걱정없는 주말 휴식 정도인데 이 내용이 과연 지켜질 수 있을지 걱정이 듭니다. 연구실 출퇴근 시간은 9 to 6이라는데.. 이론적으로 가능하려나요.

막연하고 연구실경험 없는 제게 따끔하고 현실적인 조언을 해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IF : 1

2021.10.25

시간관리는 하기나름이지만 일반 직장인들과 같은 삶을 바라신다면 졸업이 어려우실꺼에요... 배우는 학생이란 것을 잊지마셔요.

대댓글 1개

선량한 쇠렌 키르케고르작성자*

2021.10.25

감사합니다

IF : 2

2021.10.25

연구직이 규칙적인 삶 살기 힘들다보니, 바쁜시기에 몰아서 바쁠거에요.
매일 저녁 있는 삶은 힘들겠지만 근무시간 동안 딴짓안하고 열심히 하신다면 일주일에 이삼일은 저녁있는 삶 살면서도 좋은 결과 낼 수 있습니다.
물론 논문 마감일이나 프로젝트 마감일이 가까워지면 몇주간 쉴틈도 없이 바쁠수 있어요...

2021.10.25

지도교수에 따라 좌우됨. 저녁과 주말이 있는 삶 살면서도 연구 성과 나오면 지도교수도 별 이야기 못하지 않겠음? 다만 어떤 교수들은.. 어 되네? 하면서 더 일을 줄수도 있으니 적당히 엄살 부려야지.

근데 능력 안되면서 저녁과 주말이 있는 삶 살면 성과도 별로 없을텐데 졸업하고 저녁과 주말이 없는 삶을 살 수도 있음. 모두가 그런 삶을 원할텐데 그런 회사나 연구소들은 들어가기 박터질꺼아냐. 성과 없는데 그 경쟁에서 이기고 들어갈 수 있는 든든한 빽이 있음??

대댓글 4개

선량한 쇠렌 키르케고르작성자*

2021.10.25

기업 산학으로 들어간거라 연구소 확정이긴 해요..

2021.10.25

오 좋네. 근데 입사가 끝이 아니란 건 알지? 베스트는 저녁과 주말이 있는 삶 살면서 일과시간에 최선을 다해서 이것저것 습득하고 성과 내는거... 생각보다 대학원 생활하면서 일과시간에 빈틈없이 연구하고 공부하는 사람 본 적 별로 없음...
선량한 쇠렌 키르케고르작성자*

2021.10.25

시간 내 빡세게 한다는 마음으로 해ㅇㅑ겠네요. 하긴 랩은 회사랑 달라서 누가 눈치주는 사람도 없으니 사람들도 쉬엄쉬엄 오래 할 것 같긴 해요
선량한 쇠렌 키르케고르작성자*

2021.10.25

감사합니다. 그냥 삘받아서 근무시간에 노력하고 개인 시간 챙기는 방향으로 해야겠네요

2021.10.25

it쪽은 대체적으로 직장보다 대학원이 여유있었음
대학원 그립다...

2021.10.25

산학마다 다르겠지만 어지간하면 되긴한데 실적 부족하면 입사취소되기도 합니다 그 이유 하나로만 열심히 하는건 아니겠지만 저녁있는 삶 보내는 산학분들은 잘 못 본 것 같아요 그리고 연구실에 산학 아닌 분들이 많은 경우라면 랩 분위기 따라갈 가능성이 높은 것 같아요

IF : 5

2021.10.25

일반 직장인처럼 저녁있는 삶............... - 8시20분 퇴근중인 직장인

2021.10.25

랩실에따라 다름
직설적인 노엄 촘스키*

2021.10.26

저녁 있는 삶과 주말 휴식을 원하시면 공무원을 하세요. 대학원오시면 서로 힘들어집니다.

2021.10.26

그 저녁이 언제부터냐가 문제지. 밤 11시부터 저녁이 시작.

2021.10.26

연구실마다 다르겠지만
spk 자연과학계열입니다.
오전8시출근 오후6~7시퇴근했습니다.
6년동안 주저자 논문 상위저널2편 그냥그냥논문 2편쓰고 졸업했습니다.
자랑글은 아니고요... 연구실에 가정있는 사람들이 많아서 저희는 아침 일찍와서 정말 점심시간 말고 딴 짓 안하고 정신없이 실험, 분석하고 갑니다... 가정을 지켜야하니...
아직 우리나라 대학원에서는 늦게까지 남아야 열심히 한다고 생각했고... 저의 지도교수님도 처음에는 일찍퇴근하는걸 싫어하셨는데... 빨리 퇴근하면서도 논문 잘 쓰니 큰 터치 없었습니다.
물론 실험이 급하거나 졸업이 간당간당 할 경우 밥늦게까지 달리기도 했어요...
암튼 하고싶은말은 꼭 늦게까지 있어야 오래하는게 아니에요.. 대부분 와서 낭비하는 시간이 많아요... 처음부터 늦게 퇴근한다는 생각에 저녁먹고 일 할 계획부터 세우죠...그러면서 자신들은 열심히 한다고 생각하는데 결국 빨리 퇴근해도 집중해서 일 한 시간은 같습니다.
주변 분위기나 눈치때문에 힘들수도있지만 결국 시간이 지나고 성과를 내면 다들 욕하지 못하니 작성자분도 시간관리 잘 하셔서 너무 연구실에서만 시간 보내지 마세요

대댓글 1개

선량한 쇠렌 키르케고르작성자*

2021.10.26

감사합니다. 여러 분들 의견이 맞는 것 같아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