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3학년 학부생입니다. 선배님들께 하나 여쭙고자 하는데, 앞으로 연료전지 분야와 이차전지 분야의 미래를 어떻게 보시나요?

2021.12.14

7

3454

현재 화공과 재학 중이고, 학부 수업을 들으며 연료 전지와 이차전지 분야에 흥미가 생겨 박사까지 진학하고자 하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그래서 관련 랩실에 컨택하기 위해 분야를 선택하려 하는데, 솔직히 짧은 제 생각+나름의 조사 결과로는 두 분야 다 20년 가량은 걱정안해도 될 정도이지만, 이차전지 분야가 규모는 더 크다고 생각됩니다.
그러나 순전히 제 생각이기에 선배님들의 의견을 여쭙고자 이렇게 글을 써봅니다!
답변해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1.12.14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현재 이차전지 배터리 인력부족 현황
학사급~공정분야 : 1,810명
석,박사급~연구, 설계 : 1,013명
( 한국전지산업협회 제공)

배터리 3사 인력양성 협약 현황
LG
연대 ~석박사, 석박통
고대~석박통, 박사

삼성 SDI(10년간 수급계획)
카이스트~석,박사 100명
서울대~석,박사 100명
포스텍~석,박사 100명
한양대 ~학사 200명

Sk온
유니스트 ~석사과정

배터리 3사에서 배터리 인력을 미리 확보 할려고 애쓰는거 보이 향후 배터리 취업 전망은 좋다고 예상되고 2050년 이후로도 배터리는 계속 진화할 것이라는 의견이 많음

대댓글 2개

2021.12.14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산장이며 학위기간 장학금과 생활비를 지급하고 졸업후 해당 기업으로 가야 함.....

2021.12.14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위 협약학교 어디서 석박사 학위를 받더라도 배터리 3사중 한곳은 본인의사만 있어면 간다고 합니다

2021.12.15

현직임 ㅋㅋ 제대로 배터리하려면 박사하지말고 바로 취업하는게 좋음 ㅋㅋ

대댓글 3개

2021.12.15

이유가 뭔가요?

2021.12.15

"본인이 박사학위가 없기 때문"

2021.12.16

ㅠㅠ 안타깝게도 박사학위는 SKP로 있음 ㅋ

그냥 현직있어보니깐 학부 졸업하고 바로 온 애들이 여러 경험들을 했더라고. 비전 제시같은 것도 훨씬 잘하는 것 같고. 물론 제조/기술 말고 개발 얘기임 ㅋㅋ 대학원가서 이상한 교수 만나서 고생하지말고 ㅋㅋ 회사에서 직접 부딪쳐보면서 경험이랑 스킬 늘리는것도 좋은 루트라고 생각함 ㅋ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