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의 모 대학에서 박사과정을 밟고있는 한국 학생입니다.
한국에 정착할 생각은 본래 없었으나 요즘 부모님 일도 있고 해서 한국에서 교수 자리에 도전해보는 것을 생각을 해보게 되었습니다.
제가 듣기로는 한국 교수 임용에 있어서는 미국 박사 학위가 큰 우위를 가진다던데 홍콩 박사 학위 소지자에게도 승산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제 연구실적은 현재 제1저자로 된 논문이 여러 편 있고 모두 제 분야에서 괜찮은 저널에 등재되었습니다.
박사 취득 후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에서 아는 교수님과 2년간 포닥을 할 예정인데 그 후 한국 교수 임용에 도전한다면 어느정도 가능성이 있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1.12.19
가능하면 미국쪽으로 유학가는 게 가능성이 높긴합니다만 이미 영어권경험이 있기 때문에 막스플랑크연구소도 아주 나쁜거 같진 않네요
대댓글 1개
2021.12.19
* 수정: 유학->포닥
이미 영어권경험이 있어서 포닥자리는 논문을 많이 낼 수 있는지를 가장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구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1년에 2-3씩 분야 상위권 저널에 계속 내실 수 있으면 국내 복귀 가능합니다.
2021.12.19
HKU 출신 교수도 있고, 도쿄대 출신 교수도있습니다. 말 그대로 미국박사를 선호할뿐이고, 아시아권대학은 spk정도랑 비슷하게 생각하는것같아요. 대신 spk에서 학위받을때는 연구실선후배들끼리 끌어주는것도 있고 프로젝트하면서 안면식 트는 분들도 많고, 지도교수가 추천해주면서 알게되는 사람들도 있는등 네트워크 형성에 유리할뿐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막스플랑크 포닥은 어느누구든 좋게생각할거에요.
2021.12.19
홍콩대 홍콩과기대면 학위로는 spk급대우는 되지않을까요 대신 네트워크에서 불리한건 맞겟죠
약삭빠른 공자*
2021.12.19
'여러편', '괜찮은 저널' 이라는 정보만 가지고는 어느정도 위치에 계시는지 가늠해보기가 어렵습니다. 비슷한 분야에서 원하는 학교에서 최근 3년 이내에 임용된 조교수 분들 실적하고 본인하고 비교해보시면 어느정도 감이 오시지 싶네요. 그 분들과 실적이 비슷하시다면 꽤나 가능성이 높을겁니다.
IF : 1
2021.12.19
솔직히 거의 불가능. 학부 sky 출신에 미박출신이랑 경쟁해야되는데 님이 운이 정말 좋으면 가능 ㅇㅇ
대댓글 3개
2021.12.19
ㄴㄴ 실적만 좋으면 가능성 많음. 학부 중요하게 보고 미박아님 안뽑는 이상한 학교도 간혹 있진 하지만 그런데 빼면 실적이 매우 우수하면 일단 고려대상이 됨. 그 뒤는 학과에서 원하는 상이랑 얼마나 잘 맞냐지..
IF : 1
2021.12.19
sky 학부 출신 미박들은 실적 안좋을거 같음 ?ㅎㅎㅎ 실적"만" 좋으면 안된다는 걸 아마 인터뷰 하다보면 느낄거임 ㅎㅎㅎ 실력 외에 많은 것이 작용하는게 임용임 에휴 ㅎㅎㅎ
2021.12.20
우선 이공계면 spk라고 하지 sky라고 안하죠.
그리고 대체로 미박보다 국박숫자가 많다보니 임용시장에는 국박이 더 실적좋은 경우가 많아요. (물론 대체로 해외포닥 필수지만)
2021.12.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인구절벽 문제로 10년 뒤에는 한국 대학의 반이 없어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모든 대학이 정원을 조정한다고 해도 학생수가 줄어드니, 교수를 더 뽑기는 힘들어 지는 상황이 오겠죠. 이런 데도 들어온다고요? 만약 한국 교수가 된다고 한들, 일단 들어오면 학교 맘에 안 든다고 다시 외국으로 나가기도 힘듭니다. 저라면 그냥 외국 대학 교수 하렵니다. 홍콩이든, 독일이든.. 미국 대학도 좋고요.
2021.12.19
대댓글 1개
2021.12.19
2021.12.19
2021.12.19
2021.12.19
2021.12.19
대댓글 3개
2021.12.19
2021.12.19
2021.12.20
2021.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