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공대 분야 고민 (조언 부탁드립니다.)

2022.01.07

14

5502

저는 전자전기공학부로 학부와 이번에 석사까지 마쳤습니다.

석사때의 주제는 반도체 device (Rram, Fefet)를 다루었습니다.

전자과의 메인은 회로라고 생각하지만 소자도 나름 재미있게 했습니다.

고민이 박사를 타대로 진학하려고 하는데 기존의 분야와 전공이 아닌 분야에 흥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재료공학으로 가서 반도체 재료 (2차원 물질, TMD, 등의 thin film 제작 및 특성 분석) 연구를 해보고 싶습니다.

헌데 주위에서는 아무래도 전자과가 좋지 않겠냐

재료공학이나 2차원 물질은 전망이 안좋지 않냐라고 다시 한 번 생각해보라고 해서요

주위의 조언처럼 재료공학이나 2차원 물질 등의 thin film 제작 및 특성 분석의 전망이나 향후 진로가 많이 힘든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IF : 5

2022.01.07

두 쪽 다 겪어본 뒤 다른 두 개의 분야를 접목할 수 있는것 자체는 생각보다 귀하고 좋은 능력입니다. 다만 2D쪽은 좀 아닙니다. 그나마 안정한 그래핀이 언제 나왔는데 아직 어디 있는지 보시면... (그래핀을 큰 주제로 다루던 랩 출신이라 bias가 있을 수 있는 점 참고하세요)

대댓글 3개

2022.01.07

관심있는 연구실은 MBE와 CVD로 TDM, graphene, half Heusler film 등을 증착하는 연구실인데 2D가 생각보다 산업에는 많이 회의적인가 보네요....

IF : 5

2022.01.07

뭐... 그거 하다 칩메이커에 취직해서 다른 주제로 일할거면 크게 상관 없긴 합니다. 저희 랩에도 그래핀하다 졸업해서 그래핀하는 사람 없어요 ㅋㅋ 이럴 경우 다양한 공정 및 물성분석 경험을 어필하는 것과 해당 연구실 졸업생 아웃풋이 좀더 중요하겠구요. 졸업하실땐 어떨지 모르겠지만 일단 지금은 재료쪽이 칩메이커 취직 매우 잘됩니다. 요새 장비사도 엔지니어들 많이 뽑고요.

2022.01.10

결국 재료공학으로는 약간 공정위주의 업무를 하게 되나보네요

2022.01.07

현재 2D TMDC 하고있는 미박입니다.
2D물질은 하지마세요. 아카데미아를 생각하시면 몰라도 인더스트리는 아님..

대댓글 3개

2022.01.07

윗댓에 말씀드린 것처럼
관심있는 연구실은 MBE와 CVD로 TDM, graphene, half Heusler film 등을 증착하는 연구실인데 2D가 생각보다 산업에는 많이 회의적인가 보네요....
물론 아카데미아를 갈 수 있으면 좋겠지만 사실 가능성이 인더스트리보다 훨씬 작다고 생각되어서 고민이네요.
그래도 2D TMDC 하고 계신 분 보니까 부럽기도 합니다ㅠㅠ

2022.01.07

아랫댓에 썼다시피 2D를 웨이퍼스케일로 single crystal로 만들어도 3D material에 비해 특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별로 메릿이 없어요.
싱글크리스탈로 만들어도 특성이 안좋은데, 웨이퍼스케일로 single crystal 2D 그로쓰 하기도 어렵고 상업화하기에는 여러가지 이슈가 많아요.
TMDC가 아카데미아 에서나 재밌는 주제라.. 별로 부러워하지 마세요...ㅋㅋ

2022.01.10

아카데미아는 오직 교수만 해당되는 것인가요?? 연구소의 선행 파트도 해당되는 건가요??

2022.01.07

회사에서도 2D 물질 관심 많아요. 올해 IEDM 논문 보시면 Intel, TSMC가 2D 물질로 소자 만든 논문 발표 했습니다.

대댓글 4개

2022.01.07

인텔이랑 과제중인데, defect 없는 100% single crystal이어도 재료의 intrinsic 특성 자체가 3D 물질에 비해 한참 떨어지기 때문에.. valleytronics같은 아카데미아에서 인기있는 주제면 몰라도 트랜지스터로 쓰기에는 힘들죠.

뭐 commercialize 를 위한 다른 여러가지 이슈들도 있고..

2D 물질을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쓸 용도로 연구하는거라면 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지만.. 2D 반도체소자는 별로..

2022.01.07

뭔가 문제점이 많지만 연구는 계속 하고 있는 그런 상태인가 보군요ㅠㅠ

IF : 5

2022.01.07

저 회사들에 있진 않은데요, 회사에서 보기엔 뭐랄까... 그게 진짜 계속 할만해서라기보다 좀 정치적인 이유로 유지되고 있는 것 같아요. 아주 오랫동안 된다된다 했어서 막 한순간에 버리기도 그렇고, 게다가 이게 딱히 메이저한 주제도 아니라서 포기하라는 압박이 오는것도 아니기 때문에+아직까지 윗선에 약발(?)이 다 떨어지진 않아서 계속 유지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핀이 그나마 이정도고 나머지는 더 그닥... 그리고 아무리 회사에서 낸거라도 논문과 실제 개발에는 엄청난 간극이 있을 수 있습니다. 진짜 2D물질로 뭐 하고있으면 그거 논문 안낼걸요.

2022.01.10

상업화와는 거리가 약간 먼 현실인가 보네요...

2022.01.07

2D가 TSMC나 Intel에서도 논문이 많이 나와서 괜찮은 분야인줄 알았는데 빛좋은 개살구였나보네요. 광학 분야 입장에서 보자면 확실히 매력적인 특성이 보이기는 하는데 문제는 너무 얇고 공정 및 측정도 어려워서 힘들겠더라고요. 장비 단가나 필요 숙련도도 상당하고요. defect에 민감하고 bulky해지면 안 된다는 단점이 좀 큰가 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