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이 조건으로 AI 대학원 어느정도(SKP, KY IST)까지 합격 가능한지 봐주시면 감사드립니다.

성급한 아이작 뉴턴*

2022.01.24

9

4145

조건 따질 시간에 연구역량을 키우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부지런한 도스토예프스키*

2022.01.24

백그라운드는 괜찮은거같은데요 설카포부터 연고까지 연구실 서치해서 선호도 순위매기고 컨택해보세요

대댓글 2개

성급한 아이작 뉴턴작성자*

2022.01.24

감사합니다. 연구실 인턴은 하는게 좋을까요? 연구실 경험을 미리 쌓는 것이 중요한지 기초적인 학문에 더 시간을 투자해야할지 고민입니다.
부지런한 도스토예프스키*

2022.01.25

인턴은 무조건하세요 이게 학부를 자연과학햇던 사람들의 문제중 하나인데(저도 그중하나) 너무 근본에 힘을쏟으려해요 이미 ai연구하기에 충분한 수학 백그라운드니 바로 컨택하시는거 추천드립니다

2022.01.24

연구실 인턴 하는게 좋다고 하더라구요. 혹시 해커톤이나 대회 참가 더 할 계획도 있으신가요?

대댓글 1개

성급한 아이작 뉴턴작성자*

2022.01.26

아직은 없습니다 ㅎ

2022.01.25

SKP AI대학원, 전자, 전산에서 Computer Vision 하는 교수 위주로 컨택을 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특히 Computer Vision은 AI application 이기 때문에 AI 대학원 외부 (전자/전산) 교수들이 더 많아요.

말씀하신 3D vision이라는 연구주제는 요새 많이 핫한데요, 생각보다 AI 대학원에서 하는 딥러닝 방법론 위주 연구와는 궤를 달리하는 부분이 있어요.

다만, 가지고 계신 background 로 봤을 땐, AI 대학원에서 AI 이론 or 방법론 중심 연구를 하는 것도 괜찮아 보이네요.

일단 인턴이라도 하면서 분야에 대한 감을 잡아야하지 않나 싶네요.

대댓글 1개

성급한 아이작 뉴턴작성자*

2022.01.26

조언 감사합니다. 분야에 대한 감을 잡는게 우선인 것 같네요! 연구실도 AI 대학원만 생각했었는데 다른 대학원 연구실도 하나씩 찾아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2022.01.25

말씀하시는 원서라는 것들이 어떤걸 말씀하시는 건가요?

대댓글 1개

성급한 아이작 뉴턴작성자*

2022.01.26

대학 교재로 사용하는 책들입니다.
(Ex. Fundamental of ~ and application, ~ Theory)

강의가 아닌 책 위주로 공부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원서라는 단어를 썼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