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전해 쪽은 아직 블루오션인가요?? 여기서 찾아보니 아직 연두 활발히 안 한다든데... 수전해 쪽 전망이 어떨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2022.01.27
AWE는 식염전해를 기반으로 해서 상용화 단계죠.
PEM라던지 AEM이라던지 아직 개발진척도가 상용화 단계직전 이라서 기업에서도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죠.
더 나아가, 여과없이 직접 해수 전해 기술에 대한 전극개발은 지금 기초단계고 수요가 확실하니 앞으로 더 활발 할 것 같구요.
저는 해외에서 현직으로 연구하고 있어서 가끔 국내 연구개발 동향 조사를 가끔씩 하는데,
국내 대학에서 손에 꼽을 정도로 몇군데 있긴 하지만, 재료연이라던지 에기연에서 활발하게 연구중입니다.
대댓글 1개
2022.01.27
감사합니다!!!!! 더 찾아보겠습니다!
2022.01.27
제가 k대에는 수전해 랩실 찾긴 했는데 여기도 유명한지 여쭤봐도 될까요..? 또한 그러면 학연과정으로 에기연같은 곳에 대학원가는게 나을지요.? 마지막으로 그럼 수전해 연구는 보통 지방에서 이루어지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질문이 너무 많아서 죄송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대댓글 1개
2022.01.27
k에도 수전해를 연구하는 랩실이 여러군데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진학을 기준으로 하신다면 해당 랩의 paper를 참고하시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수전해에도 여러 분야가 있긴 합니다만, 전기분해를 하실지, 아님 광촉매로 하실지, 아니면 분리막 연구를 하실지에 따라서 랩실의 연구방향이 천차만별이라고 생각합니다.
수전해연구는 지방에서도 활발하게 하는 것 같습니다. (GIST, 전북대, 영남대 등등..)
2022.01.27
대댓글 1개
2022.01.27
2022.01.27
대댓글 1개
2022.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