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형 누나 석사 박사 포닥 교수님들 저는 학부생이예여.
인제 4학년이고 대학원 진학을 희망하고 있어서 여러 랩 정보를 찾고 있는데, 문득 궁금한 부분이 있어서 여기서 여쭤봐요.
혹시 선배님들은 랩을 고를 때 "지도교수님의 연세"도 고려하셨나요?
제 미천한 생각으론 연세가 차지하는 부분이 어느 정도 있다고 판단되거든요. 가령, 젊으신 조, 부교수님들은 정교수가 되기 위해서 좀 더 적극적으로 지도해 주신다거나, 지긋하신 교수님들은 연구적 혜안이 높아 항상 배울 점이 정말 많다던가 하는 부분들이요!
이러한 관점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선배님들의 의견을 적어주시면 너무 감사할 것 같아요.
모자란 질문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그럼 다들 행복하세요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2.02.07
중요하지 않음. 테뉴어를 기점으로 열정의 수준이 바뀌는 경우는 꽤 있는데, 그냥 젊든 늙든 그 사람의 본질은 똑같다고 느낌
대댓글 2개
2022.02.07
선배님 의견감사합니다!
만만한 르네 데카르트*
2022.02.07
테뉴어를 기점으로 열정의 수준이 바뀌는 경우는 꽤 있다면 테뉴어 취득과 나이 상관관계가 있으니 중요하지 않나요?ㅋㅋ
2022.02.07
저는 거의 최우선 고려사항이었습니다. 닭이 먼저나 달걀이 먼저냐 급이긴한데 저는 신생랩을 원했기 때문에 저절로 젋은 교수를 찾게 되더라구요. 그리고 젊은 교수일 수록 실적에 목마르기 떄문에 학생에 대한 기대치가 큽니다. 물론 연세 있으신 교수님이라고 그런게 아닌건 아니지만, 아무래도 확률상/구조상 이러하다는 얘기입니다.
덤으로 연세가 지긋이 있으신 분들은 아예 학생은 더이상 안받으시는 분들도 꽤나 많으니 이 점은 유의하세요.
대댓글 3개
2022.02.07
성의있는 답변 감사드립니다!
질문하나 더 드려도 되나요?
혹시 선배님께서는 지도교수님의 명성이 어느정도 연구사회에서 이점으로 적용된다고 생각하시나요?
물론 대학원부터는 학부에 비해 실적, 실력이 중시되지만, 이름을 유독 한국에서 중시하니까요.. 그 점도 궁금합니다!
2022.02.08
명성만으로 본인한테 연구사회에서 이점? 정확히 어떤걸 말씀하시는건지 모르겠는데 어느정도는 있습니다.
오히려 이건 한국에서 느낀게 아니고, 교수 명성에 따라 학술지의 레벨이 좀 왔다갔다해요. 국제적으로 명성이 자자한 교수는 그다지 큰 발견이 아닌데도 IF가 높은 학술지에 논문을 잘 내더라구요. 아무래도 학술지도 에디터(사람)가 판단하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만약 박사를 미국으로 가실거라면 명성은 더 중요해요. 명성 높은 교수한테 추천서 받는게 중요하거든요.
2022.02.08
감사합니다 참고하여서 지혜롭게 결정하겠습니다 ㅎㅎ
2022.02.07
중요함. 보통 나이 많으면 교수는 물론이고 해당 분야 자체가 늙어버려서 연구의 활력을 잃는 경우가 많음. 물론 존경할만한 교수님은 끊임없이 새로운 분야로 나아가는 분도 계시지만, 그리 흔치는 않음.
대댓글 1개
2022.02.08
의견 감사합니다 형님
2022.02.08
교수님이 내가 박사받을때 50대 초중반이 되는 랩이 제일 좋음.
실적 쌓기도 좋고
졸업후 포스닥 나갈때도 소개 받기 쉬우며
임용을 도전할때 쯤이면 도움받기도 상당히 용이하며 적극적으로 밀어줄 때임
2022.02.08
다시말하면 부교수에 테뉴어 받기까지 얼마 안남은 상태가 연구실에 돈도 많고 숙련된 선배도 제법 있으며 교수님도 본격적으로 연구 뿐만 아니라 학계에서도 목소리를 내려고 할 때임 ㅋ
교수님이 너무 어리면 자기 앞길이 바빠서 주변을 돌아보며 지도를 하는데에 한계가 있음.
반대로 퇴임이 얼마 안남으면 논문이 급하질 않으니 일이 늘어지거나 논문 갯수를 채우는데에 어려움이 있고
2022.02.07
대댓글 2개
2022.02.07
2022.02.07
2022.02.07
대댓글 3개
2022.02.07
2022.02.08
2022.02.08
2022.02.07
대댓글 1개
2022.02.08
2022.02.08
2022.02.08
2022.02.08
대댓글 1개
2022.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