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mdpi만 있는 교수

즐거운 피에르 페르마*

2022.02.28

18

6703

mdpi만 내는 교수들도 많은데
그 제자들도 mdpi만 있어도
최근에 국립대 교수 임용 잘만 되는거 같던데

공문도 내지말라고 권고하는정도이던데
너무 무시하는듯???
저널마다 다르지만 리젝률도 제법 높고
리뷰어도 대가들이 많이해주는데??

저 출판사 논문만 있다고
물박사는 아니지않나??

센서들 정도는 괜찮지않음??

지속가능성들은 좀.....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2.02.28

한 해 한 해가 다르게 평가가 안좋아지는 중입니다.
그런 게 없었을 초기에는 다 인정 받고 했겠지요.
어쨌든 현재는 MDPI 만 있으면 물박사 취급 받는 것 맞습니다.

대댓글 1개

즐거운 피에르 페르마작성자*

2022.02.28

공감함
징징대는 버트런드 러셀*

2022.02.28

비슷한급의 다른 저널에 내면 되죠
못된 유클리드*

2022.02.28

널린 게 저널인데 굳이 mdpi에 낼 이유가.. 한 번 내 보면 왜 이상하다고 하는지 이해가 감. 어떻게든 accept을 해 주려는 노력이 보임. 심지어 editor도 아니고 그냥 행정하는 애들이. editor가 뭔가 꺼려하면 editor를 중간에 바꿔버림.

IF : 2

2022.02.28

이제는 mdpi만 가지고 교수되기 쉽지 않아요.
과거 남들 모를때 mdpi로 꿀빨던 시절은 끝났어요.

리젝률이 높은건, 판정이 accept or reject라서 (minor revision 판정이 나도 reject and resubmit으로 나감) 그런거죠. 리젝률이 일정 수치보다 낮아야 scie로 인정이 안되다보니 사용하는 편법이에요.
정확히는 모르지만 최종 억셉률은 말도 안되게 높을 겁니다.

교수 입장에서는 실적 숫자 불릴 수 있는 mdpi가 여전히 유용할 수는 있습니다.
그런데 박사과정 학생 입장에서는 여차하면 물박사로 보이기 싫다면 평판좋은 논문먼저 쓰기 위해 노력하시기 바랍니다.

열심히 연구해서 나름 결과를 냈으나 괜찮은 scie 저널들에 리젝되는 연구들이 종종 있죠. 마음같이 좋은 결과가 안나오거나 최근 연구 트랜드에 잘 안맞다거나 하는 이유로... 그래서 버리기는 아쉬운 논문들이 있어요. 그런 논문들이 mdpi에 내기 적당하다고 보입니다.
그게 아니라 처음부터 mdpi를 타겟으로 연구를 하는건 꼭 피하시기 바랍니다.

대댓글 2개

IF : 2

2022.02.28

다시보니 오타가 많네요;;
그래도 문맥상 글의 요지가 이해가 가는 수준으로 보이니 양해 바랍니다.
즐거운 피에르 페르마작성자*

2022.02.28

꿀빨던시절이 끝난것이길.......

2022.02.28

mdpi 만 가지고 국립대 교수 임용된 케이스가 있나요? 와우.. 궁금하네요

대댓글 1개

즐거운 피에르 페르마작성자*

2022.02.28

ㅎㅎㅎ

2022.02.28

그런데 기존 논문들 논문 프로세스 기간은 개선돼야하는건 맞는 것 같음. 우리분야는 기본 10개월임 ;; ㅠ

2022.02.28

센서스가 괜찮다고요?? ㅋㅋ 이도저도 내기 애매할때 내는정도 수준인데요..

대댓글 3개

즐거운 피에르 페르마작성자*

2022.02.28

센무새들....
센서스는 그중에서 낫다고....

2022.02.28

mdpi에서 센서스면 ieee sensors정도로는 취급한다는거지, 결코 괜찮다는건 아닙니다;
ieee sensors도 솔직히말해서 진짜 애매할때 내지, 차라리 ra-l이나 하다못해 icra/iros에 내는게 훨씬 낫죠. 저희연구실에서는 양쪽저널 모두 아예 써본적이 없긴합니다.
석사과정학생이 프로젝트 실적용으로 낸다고해도 차라리 smart materials and structures나 ra-l에 내라고 할듯하네요.

2022.02.28

그러고보니 저희학과에도 기업에서 오신 교수님이 mdpi에만 내는 연구실이 있긴하네요. 이상하게만큼 학생숫자는 많은편임.
즐거운 피에르 페르마작성자*

2022.02.28

ㅎㅎㅎ 저도 mdpi만 내면 물박사라 생각함...
하이뇌넷에서 mdpi논쟁이 말도안된다 생각해서
엠출판사 감싸주는 실력있는 교수들 비하하고싶어서
글써봄^^

2022.02.28

저는 mdpi에는 안내지만 mdpi가 전부 oa인지는 모르겠지만 제가 출판료가 상당합니다. mdpi만 내시는 분들 대부분이 사정이 있어서 낸다고 생각합니다. 연구실에서 mdpi만 내더라 누구는 mdpi만 내더라 이런 경우는 대부분 과제의 실적 때문이라고 생각하는데 이런 부분에서 봤을때 어디서부터 잘 못 된건지 어디서부터 고처야 하는것인지 모르겠네요. 연구실에서는 실절때문에 그렇다 치더라도 개인이 이미 정년트랙 교수라서 테뉴어 요건 맞춘다고 내는거아닌이상 계속 올라가야할 사람이면 mdpi만 있거나 주가되는건 좋아보이지 않을거 같습니다....

2022.03.16

기본적으로 안내는게 맞습니다만 국내 학계의 너무 지나친 SCIE를 통한 정량화 때문에 내는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CS 분야, 특히 요즘 AI쪽의 경우에는 탑티어 학회에 논문을 내는게 일반적인데, BK에서는 극 소수 오랄 페이퍼만 인정해주는 문제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실적용으로 MDPI 같은 OA 저널을 실적(과제, 승진 등) 때문에 쓰게 되는 경우가 생기더라구요. NeurIPS, CVPR, ACL 포스터는 미인정, MDPI는 인정과 같은 이런 말도 안되는 시스템 때문에 쓰는 경우가 많은듯합니다. 업계에서는 그냥 MDPI는 없는 거나 다름없이 취급하지만 정량 점수를 채우는 데는 저게 훨씬 도움되니까요.

2022.03.25

Mdpi에서 자꾸 인비테이션 들어오고... 심지어 게스트 에디터 해달라고 요청 두번 들어왔네요. 저에게는 그냥 돈받고 퍼블리시 시켜주는 곳으로 보입니다. 쉽게쉽게 어셉 준다고 하더라도 서밋하고싶지 않은 저널들이에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