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박사 졸업 후 대기업 입사

2022.03.21

14

8849

CS 분야이고, 석박사통합으로 입학예정입니다.

목표는 대기업 연구직무 취업인데..

김박사넷에 간혹 박사졸업이 학사졸업보다 오래 근무하기 힘들다..
이런 말들이 있더라구요

사실일까요?
정말 박사 졸업하는 것이 교직으로 진출하지 않는다면 무의미할까요..?

연구하는 것도 재미있고 연구실 생활도 재미있어서
기회가 될 때 박사졸업을 하자고 생각하고 있었는데(물론 후에 박사라는 타이틀도 저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목표가 대기업 취업이라면 학부졸업 후 취직하는 것이 맞을까요?

스펙은 주변에 학사졸로 대기업 R&D 가신 분들과 비교해도 떨어지지 않는다는 말을 많이 듣습니다. (학점, 연구활동, 대회 수상경력 등,,,)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IF : 2

2022.03.21

퇴직 나이가 같다고 가정하면 박사가 취업이 늦으니 당연히 오래 근무 못하겠죠.
학사만 가지고 취업 가능한 부서는 제한됩니다. 대기업 R&D쪽으로 근무하고 싶다면 대학원 가서 박사까지 하는게 좋죠.
소득만 생각한다면 대학원 안가고 바로 대기업 취업하는게 가장 낫습니다 (확률상).

대댓글 1개

2022.03.22

감사합니다! 당연한 근무 기간에서 나는 차이도 있겠군요... 역시 하고싶은 직무 생각하면 박사까지 해야겠어요. 소중한 댓글 감사드립니다.

2022.03.21

저는 30대 여자이고 현재 박사 입학 예정자로서 이 글을 적습니다
저는 해외에서 석사를 하였고 너무 힘들어서 박사를 포기하고 한국으로 귀국한 케이스에요
그리고 회사를 몇 년 다니고 박사를 입학 해야겠다고 다짐한 케이스입니다.
회사를 다니든 박사의 진학을 꿈꾸던 뭐든지 먼저 해보고 결정해도 늦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어차피 박사를 할까는 석사를 하시면서 결정하셔도 됩니다. 대부분 2년 넘기면 연구에 지치고 많이 힘들어하고 내길이 아닌것같아 포기하고 싶어지니까요. 하지만 직장을 다녀도 마찬가지입니다. 도전해볼걸이라는 생각은 계속 드실거에요
저는 직장을 다니면서 역시 세상에서 제일 쉬운 것은 공부이구나를 깨달았습니다
두서없는 말이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길 바랍니다 ^-^

대댓글 1개

2022.03.22

감사합니다. 사실 저도 박사까지 하고 졸업해야겠다고 생각한 가장 큰 이유가 나중에 그냥 취업하면 박사까지 할 걸.. 하고 후회할까봐 할 수 있을 때 하고싶은 만큼 공부하려고 한 거였는데... 작성해주신 댓글 읽으면서 다시 한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소중한 댓글 감사합니다!

2022.03.2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요즘시대 대기업도 학석박 구분없이 나가라는 소리는 안하는걸로,,,,타직종이나 타기업으로 이직하는건 본인 생각으로 이직하고,,,창업도 마찬가지지요,,,무엇을 하더라도 학석보다는 박사 학위자가 유무형으로 재산 가치가 높은건 사실이라고 인정

대댓글 1개

2022.03.22

제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그리고 스스로의 만족감을 위해서라도 박사까지 해야겠어요 소중한 댓글 감사합니다.
약삭빠른 빌헬름 뢴트겐*

2022.03.21

김박사넷에 간혹 박사졸업이 학사졸업보다 오래 근무하기 힘들다..
이런 말들이 있더라구요
사실일까요?
-> 네. 입사를 늦게하니 당연히 일하는 시간은 줄겠죠?

정말 박사 졸업하는 것이 교직으로 진출하지 않는다면 무의미할까요..?
->아니요. 박사를 졸업해야 의미있는 연구직에서 근무할 수 있습니다.

목표가 대기업 취업이라면 학부졸업 후 취직하는 것이 맞을까요?
-> 그냥 대기업 취업만 하면 되면 네

스펙은 주변에 학사졸로 대기업 R&D 가신 분들과 비교해도 떨어지지 않는다는 말을 많이 듣습니다. (학점, 연구활동, 대회 수상경력 등,,,)
-> 학사졸에 연구직은 없습니다. 박사들 시다겠죠.

대댓글 3개

2022.03.22

세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연구직에서 유의미한 연구/개발을 하는 게 목표였는데 원하는 바를 이루려면 박사졸업 타이틀이 필수일 것 같군요... 소중한 댓글 감사드립니다!

2022.03.27

지금은 다를수도 있지만.. 저는 재료전공인데 유학 준비할때 S사 반도체연구소 연구직에 학사로 합격했던 적이 있습니다. 당시 고민을 참 많이 했었는데, 유학나와서 석박사학위를 받고서 지금은 포닥 중이네요. 취업과 진학 모두 장단점이 있다고 봅니다. 저는 한국 학계에 자리를 잡으려고 계획했지만, 오히려 학위하고나서는 미국내 취업도 고려중입니다.(페이가 생각보다 높고 집값 걱정이 크게 없는게 메리트) 결혼을 하고 자녀가 생긴다면 어느정도 영어습득 이후에는 한국에서 살고싶다는 생각은 드네요.

요즘도 종종 그때 취업했으면 지금쯤 어떻게 살고있을까 상상해보기도 합니다. 이야기가 옆으로 좀 샛지만... 원하시는 기업에 학사지원으로 입사하실수 있으시면, 굳이 석박을 하고 다시 문을 두드리지는 않으셔도 될거같네요. 그리고 회사 연구라는게 늘 내가 원하는 프로젝트에 참여되는게 아닙니다. 관심도 배경지식도 없는거 시키면 '내가 이러려고 박사했나' 소리가 나올수가 잇지요. 학위는 그냥 추가적으로 특정 포지션을 맡을수 있는 자격증 정도라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박사하고서 좋은점은, 전세계 어디든지 일할곳이 널려있다 ^^; 정도가 체감되네요.

2022.03.30

김박사넷 보며 정말 대단하신 분들이 답변해주신다고 생각했는데 오늘 한번 더 느끼고 갑니다...

제 학부 학교 네임 벨류가 서울권에서 그냥 저냥인 것 같이 느껴져서 더 그런가 싶기도 하네요...
주변 박사분들 중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계신 분들도 간혹 있는 것 같고...
더 좋은 학교에서의 석박통합과정이었다면 이런 걱정을 덜 했으려나 싶기도 합니다..(물론 이 말이 틀린 말이라는 것도 알지만 요즘 따라 생각이 많아지니 별에 별 생각을 하게 되더라구요 하하...)

석박통합으로 입학을 하더라도 나중에 후회하지않게 지금 시기에 한번 서류 지원은 해봐야겠네요...
소중한 댓글 감사드립니다.

IF : 5

2022.03.21

교직미만 잡이라기엔 학교나 연구소에서 일하는 박사보다 회사에서 일하는 박사가 훨씬 많은걸요. 해보고싶으면 하고 가는것도 좋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론 내가 그 대기업을 평생 다닐게 아니기에 박사학위를 그래도 들고 있는 경우 다른 기회를 좀더 얻을 수도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대댓글 1개

2022.03.22

감사합니다! 좋은 기회가 있고 할 수 있는 환경이 받쳐주는 지금 하고자하는 만큼 공부하고 졸업해야겠어요 박사까지 열심히해보겠습니다. 소중한 댓글 감사드립니다.

2022.03.25

박사 졸업 후 대기업 들어갔다가 퇴사한 사람입니다.

1. 오래 근무 못하는건 늦게 들어가니 그런거도 있지만, 대기업 들어갔을 때 실제로 박사 퇴사율아 높은 편이긴 합니다.(제가 다닌 곳 기준)

저같은 경우는 산업체 특성상 영리 추구가 우선인데 연구자체가 비영리적 부분이라 안맞고 제가 생각하던 연구와 달라 나왔습니다..

2.학부가 대기업 측면에서 유리한 유리한 면도 분명 있습니다. 일단 과정 중 돈을 좀 벌어도 5~7년 정도 돈 못벌면 남들 집사고 결혼 하고할때 모아둔 돈도 없고 그 갭을 줄일정도로 돈이 많지는 않습니다. 물론 동연배 중에서는 엄청 높은 편이지만 모아둔 돈의 차이겠지요.
또한 박사는 회사에서 많이 안뽑고 뽑아도 좀 더 신중히 뽑습니다.
말씀드린대로 퇴사율도 높고 회사는 하나만 파는게 아니라서 다양한 분야에서 넓게 아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리고 다른 분야도 필요시 항상 새로 공부해야하죠..
다만 좋은 학교 나온 학부생이 새로운 걸 잘 할거라는 생각처럼 박사까지했으니 잘 할거라는 생각은 있습니다.
무튼 학부의 경우 모아지는 돈이나 취업 시장또한 좀 더 유리합니다. 하지만 막상 회사가면 석사하는 분도 많고 박사하려는 분도 많습니다. 저는 박사하고 취업 준비때는 힘들었지만 그래도 박사한건 후회안되더라고요.
박사 취업이 학부보다 확실히 문이 좁지만.. 이런건 맞다 틀리다보단 장단점이 있는 부분이라 생각하며 개인 선택이 중요한 듯 합니다. 다만 전공이 중요하니 맞는 대기업 미리서 봐두시는게 좋으실거같아요.

3. 교직 미만 무의미하지않다 생각합니다. 저는 자기 개발하고 능력 키우려고 박사한거고.. 다 각자에 위치에서 하고 싶은 일 찾으며 하는거 아닐까요..?

4 박사 대기업 준비하려면 전공 일치도가 제일 중요하고 다음 논문, 연구과제 수행내역입니다 ㅎ 학부에 뒤지지않는 스펙이면 부가적으로 도움될듯요

뭐든 많은 고민이 되실텐데 잘 알아보시고 좋은 선택하시길 바랄게요 ㅎ



대댓글 1개

2022.03.30

댓글을 읽고 굉장히 생각이 많아지는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제가 요즘 생각하고 있는 고민과 말 하나하나 굉장히 일치해서 와닿는 댓글이었어요....

지금이 막학기이고 이제 곧 제가 원하는 회사의 채용시즌이라서 엄청 고민하고 있었는데... 지금 선택 한번으로 미래가 달라진다고 생각하니 선택도 힘들고, 정말 고민되는 것 같아요.

사실 연구실만 아니었으면 바로 취업 도전할 것 같은데,
지금 현재 있는 연구실에 학부생으로 3년정도 근무했는데, 교수님께서도 저를 굉장히 서포트해주시는 상황이라 더욱 고민되는 것 같습니다.

생각이 길어지면 안되는 걸 알지만... 점점 고민의 시기가 길어지네요....
소중한 댓글 감사드립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