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국박사에 이번학기에 급작스럽게 관심이 생긴 학부 3학년입니다. (2001년생입니다.)
전공은 cs분야이고 관심 분야는 computer architecture쪽입니다.
유학을 고려하는 이유는 교수가 하고 싶어서입니다.
그런데 아직 군대를 다녀오지 않아서 학부 이후 direct로 미국박사를 함부로 지원하기가 고민됩니다.
따라서 몇가지 조언을 구하고자 합니다.
1. 해외대학원 박사과정 중 leave of absence를 통해서 군대를 다녀오는 것은 어떤지
2. 학부 졸업 후 군대를 현역으로 가고 해외 유학을 고려하는 것은 어떤지
학부 중 군휴학을 하고 군대를 다녀오는 것은 어떻겠는가?
이것은 여러가지 사정에 의해서 학부 중 가기 어려워 배제해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ㅜㅜ
관련해서 구글링을 해보았는데 대부분 1,2에 대한 조언이 없더라고요...
특히 1번의 경우, 모든 대학원을 찾아보진 않았지만, stanford의 경우 graduate 학생중 military service를 해야하는 학생 기준으로 최대 leave of absence 기간에 대한 예외를 두고 있긴하더라고요.
(좋다 나쁘다도 좋지만 가능하다 불가능하다와 사례가 있는지 기준으로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여담으로 저도 물론 검색해보았지만, 관련분야에서 혹시나 추천하시는 대학원있으면 추천해주시면 정말 감사할 것 같습니다.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2.03.26
그냥 지금 가세요
나중에ㅡ커리어꼬입니다
박사과정 중간에 군대를 갓다온다는거는 말이 안되는 소리에요
대댓글 3개
2022.03.26
박사과정이 꽤 걸리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입학하고 나서 초반에 가는것도 별로일까요?
2022.03.26
왜 미루려고 하시는 거죠?
박사과정 끝나고 전문연 할라고 하시는것도 아니고
박사과정 중간에 가는건 ㄴ 말이안됩니다
박사는 학사랑 달리 연구하는건데 그걸 중간에 툭끊고 갈수가 없어요
그냥 가세요
그리고 교수한테 한번중간에 군대갓다온다하면 교수가 뭐라고 할까요? 쌍욕 박아도 무죄입니다
그리고 한국인 받아본 교수들은 한국인 군대 가는거 아는데 님이 군대은갓다왓다고하면 절때 안받아줄겁니다
그냥 가세요 미뤄서 이득볼꺼 하나도 없어요.
막말로 박사 졸업햇다고 칩시다. 그런데 전문연 없어져 잇으면 님 10어린애들하고 군생활해야되요
2022.03.27
휴학하고 귀국해서 군대 해결하는 케이스 꽤 있습니다 이상적이지는 않지만 옵션은 맞아요
언짢은 정약용*
2022.03.26
1. 미친짓입니다. 실행하기 어려운 일이 아닌데 한사람이 1%도 안될겁니다. 이유가 있겠죠?
2. 사정이 뭔지 모르겠지만, 유학의지가 확고하다면 무조건 빨리 다녀오거나, 모든 학위 마치고 전문연 하세요.
3학년 초면 이제 슬슬 제대로된 전공과목 배우기시작하네요. 건승을 빕니다.
대댓글 5개
2022.03.26
1의 경우 일단 admit이후 단기간에 가는것도 별로일까요..? 비추하는 이유가 대부분 연구의 흐름이 끊기기때문인것 같아 질문드립니다.
언짢은 정약용*
2022.03.26
님 주변 사람들에게 먼저 물어보고 질문 올리세요... 아직 어리시니까(사실 3학년이면 성인된지 한참됏죠.) 조금만 더 설명드리면,
님이 박사 간다는건 어떤 연구과제를 제안했거나, 교수가 하려는 연구과제를 님이 수행해야 합니다. 근데 가긴 어딜 갑니까? 님 일은 누가 하고요?
연구실 정원 한자리 차지해서 학생은 한명 못받는데, 교수가 그걸 왜해주나요? 만약 말안하고 들어갓다가 군대가면, 바로 학적 말소시키고 한명 더 뽑겠죠.
2022.03.26
본인이 아는게 전부가 아닙니다.
박사 중 들어와서 군대 해결하시는 분 몇명 봤고 흔한건 아니지만 후회는 않던데요.
언짢은 정약용*
2022.03.26
에이다 님. 후회를 어떻게 하나요? 선택지가 있어서 간 게 아닐텐데요.
제 글 읽으셨나요? 1%도 안된다고 했지, 없다고 했습니까? 1% 넘는다는 말이 하고싶으신건가요? 혹시 미국에 너무 오래 계셨나요?
2022.03.26
미친짓이라느니 학적 말소시키느니 너무 극단적인 얘기 하시길래 한 말입니다.
뭐 1%니 2%니 따지고 싶은 생각은 아니고요, 저도 미리 다녀오는거 추천합니다.
2022.03.27
무조건 학부생 때 휴학하고 갔다오는게 좋고, 그게 안된다면 학부 졸업하고 갔다와서 미박 지원하는 수 밖에 없죠. 경력에 공백기가 생길 것이고 합격하시고 나서 학교 시작하기 전까지 복습 많이 하셔야 겠지만, 지원 시 공백기 자체는 학교 측에서 이해해줄겁니다. 박사 공부하다가 갔다 오는건 현실성이 없는 이야기고요, 이도 저도 다 안된다고 하면 박사 마치고 나서 전문연도 옵션이 되겠죠. 하지만 윗분 말씀대로 박사 마칠 때 쯤이 전문연이 없어져있으면...
개인적으로 붙고나서 1년차 안들어가고 디퍼 하는 경우는 보긴 했습니다. 제가 본 경우들의 공통점은 1. 정말 불가피한 경우 (코로나 처음 터졌을 때 비자 문제, 부모님이 돌아가셨다든가 본인이 매우 아픈 경우), 2. 1년 이하 디퍼 (즉, 붙자마자 1.5년이나 2년을 디퍼하는 경우는 본 적 없습니다), 3. 랩이 없는 과나 로테이션 도는 프로그램 (즉, 1년 차부터 교수의 인력으로 들어가지 않는 경우)이었습니다. 여기에 해당이 안되는 디퍼 케이스도 물론 있을테니, 0%의 가능성이라고는 하지 않겠습니다. 합격하고 나서 학교 및 교수랑 극적으로 타협을 해볼 수 있겠죠. 하지만 확실히 박사 합격 후 1.5년~2년의 디퍼를 제안해봤는데 거절 돼서 결국은 학교를 포기해야 하는 (아니면 전문연이 살아있기를 바라며 박사 먼저 마치는) 리스크가 있긴 합니다.
'여러가지 사정'이 뭔지는 모르겠지만 정말 불가항력적인 사정이 아니라면 왠만하면 학부 하시는 도중에 갔다오시는걸 추천합니다. 이제 3학년 올라가면 최대한 빨리 갔다 와야 겠네요.
2022.03.27
학사 졸업후 장교로 군복무 하던지 한국 석사 마친후 병역특례 하는게 좋습니다.
사병은 나이먹고 가면 진짜 개같습니다.
2022.03.27
빨리갔다오세요.
2022.03.27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1학년 마치고 갓다오는게 대학 공부하기 최고 좋음
착한 존 폰 노이만*
2022.03.27
둘 다 비추임. 다른 사람들이 바보라서 1학년 마치고 군대가는게 아닙니다.
2022.03.2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1 가능한데 내 친구나 가족이 하면 때려서라도 말릴고 싶을듯
2 어쩔 수 없는 사정이면 그렇게 하셈 잘만 설명하면 전혀 마이너스 아님
2022.03.26
대댓글 3개
2022.03.26
2022.03.26
2022.03.27
2022.03.26
대댓글 5개
2022.03.26
2022.03.26
2022.03.26
2022.03.26
2022.03.26
2022.03.27
2022.03.27
2022.03.27
2022.03.27
2022.03.27
2022.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