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벌이 왜 이렇게 싫고 부끄러울까요?
아직 20대라 그런가요?
수능때 예상치도 못한 등급이 나와서 예상치도 못한 대학을 다니고 있고, 미련이 남아서 군대서 논술도 보고 사회나와서 편입 시험도 봤었습니다.
하아... 제 그릇은 지금 대학을 못 벗어나는 걸까요? 일이 이상하게 풀려서 편입 시험을 못 본 곳도 있고, 또, 제가 지원하는 과는 편입생을 뽑지도 않았습니다.
현재 4학년(27)이고, 지금 제가 다니는 대학이 평생 남을 것 같다는 두려움, 공포감이 제 공부에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해도 안될 것 같고, 뭐든 열심히 해도 결과가 정해져 있을 거라는 트라우마만 남아 있는데, 이 경우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요?
잊어버리고 앞으로의 인생을 살아보려해도 나보다 공부도 잘하지 않던 친구가, 나보다 더 놀러 다닌 친구들이 더 좋은 대학을 가는 것을 보고, 또, 더 좋은 대학원에 진학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니 다시금 트라우마가 저를 누르는 것 같습니다.
지방대에 서러움이란 이런건가요? 근데 전 열실히 공부를 했었습니다. 대학생수학경시대회(2분야)입상도 해보고, 전공공부도 열심히 했고, 장학금도 받았고...
하지만 대학만 바꾸지를 못했습니다.
대학
학벌
평생따라다니는 족쇄 같은 신분처럼 여겨지는데, 어떻게 극복을 해야 할까요.
대학원을 진학한다고 하더라도, 현재 다니는 대학이 나를 신분증처럼 행동할텐데, 그런 현실이 두렵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2.04.01
자존감이 부족해서 그렇습니다.
받아들일건 받아들이고 열심히 노력해서 스스로 만족할 수 있는 위치에 오르면 됩니다.
힘내시길 바랍니다.
대댓글 1개
2022.04.02
자존감을 학벌이 많이 잡아먹더라고요. 감사합니다.
2022.04.0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스스로 만족할 수 있는 위치에 가도 "학벌만 좋았으면" 생각은 절대로 안 사라져요. 비슷한 상황으로 성공하신 분이 주변에 계신데, 그 분께서는 그냥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게 제일 낫다고 하시더라고요.
극복할 생각보다는 그냥 가지고 가야죠.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는 겁니다.
대댓글 1개
2022.04.02
아직은 20대라 그런가요? 삼키려해도 목이 메이네요
2022.04.01
극복하지 못합니다. 저는 학벌이 일정 수준만 되면 사회적으로도 문제가 없고, 실력에 영향도 그리 없다는걸 "알고" 있습니다만 아직도 서울대를 못 간게 맘에 걸립니다. 서울대 하나 떨어지고 카포연고 다 붙었는데도 그러네요. 학부 학점, 연구실적 등등 서울대 출신 애들에 비해 절대 못하지 않다고 확신합니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열등감을 느낍니다. 아마 앞으로 어떤 길을 걷더라고, 심지어 제가 서울대 교수가 되더라도 마음 한 켠에 남아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스카이캐슬의 강준상이 서울 의대에서 수련 못한게 인생의 오점이라고 한탄하는데 남들 다 가는 서울대를 못간게 그리 마음에 걸리네요.
대댓글 2개
2022.04.02
카포연고이신분도 그런게 있나보네요.ㅠ
2022.04.02
아마 서울대에서도 더 좋은 학과나 해외 명문대에 못 들어간게 미련이 남은 사람이 있겠죠. 저는 고등학교 때 정말 최선을 다했고 간절히 서울대에 들어가고 싶었다고 생각했으니 미련이나 열등감이 남는게 당연한거죠. 그리고 이제 시간도 많이 지나고 많은 것을 경험하고 알게 되서 이제 열폭하지 않고 소소하게 지니고 삽니다. 비단 학벌에 대한 열등감 뿐만 아니라 살다 보면 누구나 이런 저런 감정이 남는거고 잘 조절할수만 있다면 나쁜거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눈치보는 피타고라스*
2022.04.02
한국을 벗어나세요!!! ㅋㅋㅋ 서울대? 진짜 유학생들 많이 접해보는 직업의 사람들만 알지 아무도 몰라요. 제가 외국살면서 엘리트 미국인들한테 몇번 물어봤는데 서울대는 커녕 취리히공대도 잘 모릅니다. ㅋㅋㅋ
본인의 실력이 뛰어나다면 적극 추천드립니다.
대댓글 2개
2022.04.02
벗어나고 싶어서 발버둥 치는데 학비가 ㄷㄷㄷ 하더라고요.ㅠㅠ
나른한 피타고라스*
2022.04.02
그건 그 미국인들이 문과거나 무식한겁니다. 미국 대학에서 ETH로 옮기는 교수들도 많은데 모를리가요
2022.04.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ㅎㅎㅎㅎ 부질없는 생각임
한 사람이 잘 살아 왔는가 평가는 그 가정 전체를 보는 경우가 많음,,,배우자 +자녀들이 건강하고 인성이 바른가, 자녀들은 학교 졸업후 취업이나 창업을 해서 제 갈길 잘 가고 있는가,,,,본인 건강 상태는 좋고 노후경제생활에는 이상이 없는가,,,친구관계는 잘 형성되어 있어 외롭지는 않는가 등
대댓글 2개
2022.04.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글쓴이 아버지 인생평가 항목에 글쓴이 인성과 건강대학 졸업후 좋은직장 잡고 잘 다니고 있다도 포함된다는 소리지 좋은학교 나와서 백수라는 소리는 아님,,본인 좋은 삶을 위해서도 원하는 직장 잡고 잘 살아가면 되는것 임
2022.04.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대학원생 넷이니 본인에게 맞는 대학원 잘 찾아가서 석사나 박사후 자기갈 길을 잘 가는 사람이 되어 효자, 효녀도 되시고 본인 삶도 경제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부족함 없이 잘 살아가면 인생 잘 사는것 같음
2022.04.02
극복 못합니다. 같은 자리에서 서울대 출신보다 2배는 노력해서 같은 결과 얻고, 3배는 노력해야 더 나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더 열심히 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나른한 피타고라스*
2022.04.02
학벌은 물론 노력으로 극복 할 수 있는건데, 27살인데 아직도 학부 다니시는게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자신이 본 실력보다 낮은 대학에 가게되어 억울하다고 생각하시면, 학점 4.5/4.5로 도배하고 6학기 졸업해서 이미 미국 탑스쿨이나 S대 박사 가 있거나 그러셔야죠. 그냥 님 학교에 다른 학생들 사는대로 똑같이 살고 있으면 극복할 수가 없습니다.
2022.04.01
대댓글 1개
2022.04.02
2022.04.01
대댓글 1개
2022.04.02
2022.04.01
대댓글 2개
2022.04.02
2022.04.02
2022.04.02
대댓글 2개
2022.04.02
2022.04.02
2022.04.02
대댓글 2개
2022.04.02
2022.04.02
2022.04.02
2022.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