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이론물리 분야 나이

2022.04.02

20

5765

20대 후반에 이론물리 석사 시작하면 너무 늦나요?
원래 전기공학관데 옛날부터 꿈이 이론물리학자여서 요번학기부터 복전하고 돈모아서 유학가볼려고 하는데 20대 후반에 석사하면 보통 사람보다 한 5년정도 늦는건데 이론물리학자로서 성공하는것은 거의 불가능한가요?

아인슈타인이나 이런 위대한 이론물리학자들이 20대 중반에 그런업적 쌓은것 보면 나이먹고 시작하면 무조건 실패하는 분야인가 해서요

제가 연구하고 싶은 분야는 입자물리학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0개

다정한 닐스 보어*

2022.04.02

한국에 그런인재 없으니 나이무관하게 진입하면됨

대댓글 4개

2022.04.02

ㅋㅋ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2022.04.02

그런데 이론물리학자로서
학계에 남을수 있을까요?
저나이로?

2022.04.02

나이가 아니라 실력과 두뇌의 문제

2022.04.02

그렇군요
아인슈타인같은 천재에 한참못미치는 제가 늦은나이에 성공할수 있나 궁금햇습니다
뉘우치는 프리모 레비*

2022.04.02

나이가 문제가 아니고 보통 입자물리 할정도로 똑똑한 사람들은 20대 후반에 석사를 시작하는 경우가 없음

2022.04.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솔직히 말해서 성공 가능성 거의 없어요. 그 분야는 교수들 보면 엄청난 엘리트 코스 밟았습니다. 그치만 공부하다가 아니면 학계에서 나가면 되죠. 본인이 하고 싶으면 해야된다고 생각해요. 할 수 있는데까지 하시고 아닌 것 같으면 그 때 그만두면 되죠. 나이는 일단은 학계에선 전혀 상관 없습니다. 다만 늦은 나이에 들어와서 잘 되는 경우는 아예 없는 수준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래도 해볼 수 있는데까지 해보세요. 멋있습니다 ㅎㅎ

대댓글 4개

2022.04.02

유럽 국가 연구소 같은데 취직하는것도 거의 불가능할까요?
딱히 교수가될거라거나 이런건 기대도 안합니다 ㅠㅠ

2022.04.0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네 거의 불가능한게 사실이죠. 단순히 나이 때문에 그런게 아니라 이미 교육과장 착착 밟으면서 공부하는 똑똑한 사람들도 정규직 잡기는 어려워요. 어느 유럽을 생각하시는지 모르겠는데 외국인이 자리 잡으려면 능력 좋아야 합니다. 근데 본인 조건 때문에 제가 안 된다고 하는게 아니라 서울대 물천에서 좋은 학교 유학가는 사람들조차 정규직은 장담할 수 없는 분야라서 그런거에요. 공부 좀 하다가 안될 것 같으면 컴퓨터 등등 배워서 테크니컬한 쪽으로 분야 바꾸면 되죠 ㅎㅎ 이론물리만 고집할게 아니라면요. 능력만 되면 분야 바꿔서 자리 잡을 수 있으니 이론물리학자라는 꿈에 너무 집착하지 마시고 마음가는대로 해보세요 ㅎㅎ 다만 금전적인 부분은 너무 바라지 마시고요.

2022.04.0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리고 아인슈타인 어쩌고 하는데 그냥 멋 모르고들 하는 소리고 요즘 물리학자들은 전혀 다른 상황이니 그런 아웃라이어랑 비교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모든 연구가 그렇듯이 천재들 하는 연구랑 일반 과학자들이 하는 연구랑 달라요

2022.04.03

그렇군요…
그래도 한번 도전해 봐야겟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04.02

요즘 물리학자 전성기는 배울 게 엄청 많아져서 30대입니다 20세기랑은 상황이 달라서 괜찮습니다 단 남들이 10년 할 걸 5년안에 할 수 있으면요~ 고에너지 이론물리는 학부때 수석졸업하는 사람들이 대학원 1등으로 졸업한 다음에 잡 서칭할 때 1등으로 통과한 사람만 먹고살 수 있다는 것만 알고 계시면 됩니다~

대댓글 1개

2022.04.02

고체뮬리쪽은 어떤가요?

2022.04.02

아인슈타인 20대 중반에 시작한게 아니고 그때 이론 정립한겁니다. 이미 그때 지금 유명한 이론들 다 정립해서 논문 낼때예요

대댓글 1개

2022.04.03

특수 상대론이 26세 때 나왔나 그랬던 거 같네요. 일반 상대론이 수학 배우고 10년 정도 후에 나왔고

2022.04.03

인간의 한계는 무안하면, 자신이 처해져 있는 상황에 따라 자기의 능력도 다르게 미치지요...
그런데 통계적인 것만 말하겠습니다.
저는 컴퓨터 과학분야 입니다. 그리고 이쪽분야에서는 글쓴이와 같은 나이가 그렇게 늦은 나이아닙니다.
제가 본 인문계에서는 더 심했습니다 30대 분들 적지 않게 보입니다.
허나, 순수 과학 계통은 결이 다르더군요.
제가 어느 학교 물리학 연구실 보았는데 놀랐습니다. 구성원들이 대부분 너무 젋었어요
심지어 박사 분들도 너무 젋더라고요. 중간에 30대나 20대 후반 분들이 있을법도 한데..
아무래도 이 분야가 자본을 넘어서 학문적 희열과 성취감이 강한 친구들이 오는곳이고 그들의 학력을 보면 대부분이 거진 엘리트 코스더라고요. (과고 조기졸업, 대학 3년 조기 졸업, 석박 통합, 전문연 과정,...) 그래서 일단 평균 상 늦었다고 말을 하고 싶습니다.

하지만, 대학원생만 논문 볼 수 있는거 아니고요. 직장인들도 도서관 등록하고 구독된곳에서 충분히 논문 읽을 수 있고 즐길 수 있습니다. 아이슈타인은 특허청에 다니면서 퇴근하면 물리의 생각을 했다고 합니다.

대댓글 1개

2022.04.03

제가 또한 하고 싶은 말은, 물리학만 재밌는게 아닙니다.
다른 분야도 질문을 세우고 풀어가는 과정에서 느끼는 희열은 물리학에 있어 느끼는 희열과 대동소이하지 않을까 싶네요.

2022.04.03

여기서 이렇게 질문을 해도 소용이 없는 게, 그냥 열심히 한다고 되는 게 아니지 않나요.. ㅋㅋ

IF : 2

2022.04.04

저는 실험입자물리학자입니다.

통계적으로만 보면 굉장히 어렵겠죠.
그런 백그라운드로 이론물리 입자교수되는 경우는 개인적으로는 본적도 들은적도 없습니다.
다른 댓글처럼 어려울겁니다.

하지만 뒤늦은 시기에 물리 시작해서 노벨상도 받는 사람들도 있으니 가능성은 배제하지 않겠습니다.

만약 그 길을 가신다면 좋은 멘토를 찾는 것을 강하게 권장합니다.
실력이 가장 우선이지만 학계는 커넥션이 중요합니다.
학연 지연 이런걸 얘기하는게 아니고 자신의 실력을 인정해주는 학계 인사이더 사람들이 필요하다는 겁니다.
특히 이론 물리는 대부분이 똑똑한 사람들이라 공동연구할 사람들을 찾게되는건 커넥션으로 성사되는 것이 대부분입니드. 대학원 지원하시기 전부터 가능한 국내에서라도 이론물리학자와 커넥션을 만드셔서 시작하셔야할듯 합니다. 어떻게 그런 커넥션을 만들어내는지 또한 본인의 실력이겠지요. 그러고나서 좋은대학 좋은 교수 밑에서 지도를 받아야 박사후과정 그리고 교수자리까지 갈 수 있을것 입니다. 아무개가 갑자기 혜성처럼 나타나는 경우는 본적도 들은적도 없습니다. (수학에서나 가끔 소수연구로 대박나는 사람들 보는것 같으네요.)

만약 그저 입자물리학이 재밌고 좋아서 그러신 것이라면 실험입자물리학 추천 합니다. 실험입자도 여러 이론 물리학자들과 항상 대화를 하고 연구를 합니다. 전기공학 백그라운드는 입자실험에겐 굉장한 득이 됩니다. 국내 국외포함 실험입자 물리학 교수님들 연락하셔서 연구 하고 싶다고 하시면 크게 어렵지 않게 자리를 구할 수 있을거라 생각이 됩니다. 그 다음에 석박 통합과정 좋은대학원 입학하시고 연구하셔서 교수자리를 얻는 것이 훨씬 가능성이 높을것입니다.


2022.04.05

절대 늦지않았습니다. 남성분들은 다이렉트로 학부졸업하고 군대 갔다오면 이미 20대 후반인데요^^
그리고 석사에서랑 박사에서랑 다루던 분야를 다르게 가는 분들도 있어서 글쓴이님처럼 늦냐 안 늦냐도 현실적으로 무시할 순 없겠지만, 하고 싶은 분야인지 아닌지를 좀 더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