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Top 10 대학 오퍼를 받았는데, 이곳은 연구실 배정을 입학후 두번째 학기때 합니다. 그 전에는 교수님들 연구 발표 세미나를 통해 관심있는 랩을 컨택하는 방식입니다.
가장 마음에 드는 연구실 교수님이 있는데, 임용 4년차이시지만 연구실에 박사과정이 두명뿐입니다. 포닥은 네명이 있구요. 소재 분야인데 지난 2년간 Nature, Science 본지에 한편씩, 그리고 JACS 한편이 전부입니다.
줌 미팅때 여쭤보니 박사과정 학생은 '최대한' 많이 받아도 4명 이내로 유지할 것이라고 하십니다. 대신 포닥은 펀딩 따는대로 계속 뽑을 예정이라고 하시구요.
박사과정을 뽑지 않는 이유는 교수님께서 학생을 지도하고 기르는걸 좋아하신다고 했는데, 5명 이상이 되면 직접적인 지도를 하기가 힘들것 같다고 하십니다.
교수님 성향 등은 너무 마음에 드는데, 포닥이 훨씬 많은 랩에서는 연구실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재치있는 레오나르도 다빈치*
2022.04.17
특이한 분이네요. 논문이야 뭐 포닥으로 하면 되지만 지도 학생도 좀 있고 해야 나중에 테뉴어 심사 때도 고려될텐데.
2022.04.1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미국에선 교수가 학생 지도하는게 우리보다 좀 더 보편화되어 있는 것 같아요. 우리나라 공대에서는 중소기업처럼 돼서 교수-포닥-학생 이렇게 내려가면서 배우는데 미국에선 작은 연구실은 교수랑 좀 더 상호작용이 많은 것 같습니다. 이런 연구실에선 공장처럼 연구하는게 아니라 좀 더 학생으로서 지도 받으면서 연구하겠죠? 전혀 나쁘진 않은 것 같은데 한국 돌아가기 위해서 논문 찍어내기엔 안 좋을 수도 있어요.
성급한 베르너 하이젠버그*
2022.04.17
미국 소위 말하는 대가랩은 박사과정보다 포닥이 더 많은 경우가 더 많습니다
2022.04.17
제가 지금 일하고 있는 연구실이 딱 이런 경우인데, (포닥+스탭+테크니션 다수로 돌아가고 대학원생은 1명 있었는데 졸업해서 현재는 학생은 없습니다) 포닥이 대부분이라 그런지 개인미팅이나 랩미팅에서 실험 결과 Discussion 이외에도 Funding Proposal쪽으로 Training이 더 활발한 느낌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포닥들은 실험에 대한 Troubleshooting이 자체적으로 가능하다 보니 논문 진행도 더 빠른 느낌이 있습니다.
2022.04.17
교수가 속으로 그 학교에는 오래 있고 싶지 않고 기회가 되면 최상위티어 이직할 각을 재고 싶어하는걸지도..?
저도 탑 10위권 이내에 있는데 가끔 그런 교수님들이 가끔 한두명씩 나오거든요
보통은 연구가 소수정예로도 가능한 경우(특히 이론), 그냥 교수 철학이 그런경우도 있고요
2022.04.17
답변해주신분들 감사합니다!
2022.04.17
포닥이 많을수록 연구하긴 좋아요
2022.04.18
사립대인가요? 사립의 경우는 등록금이 비싸서 박사 뽑는것보다 포닥 뽑는게 돈대비 효율이 압도적으로 좋습니다 예전 저희 과에서 있었던 경우로 조교수가 박사과정 뽑아놓고는 한 학기만에 쫓아내고 그 돈으로 포닥 뽑아서 쓰던 교수가 있었습니다 랩원이 많은데 학생수<<포닥수 인건 문제가 안됩니다만 랩원이 적다면 교수가 어떤 사람인지 한번 주의해서 보세요 온지 4년이면 단순하게 학생 리쿠르트를 잘 못한 경우일 수도 있습니다.
혹시 포닥이 다 미국이 아닌 다른 나라(한국이나 다른 아시아) 박사 출신이고 학생이 적은 경우라면 연구비가 부족한 경우일 수도 있습니다 탑10대학은 국가장학금 내지는 자기돈 싸들고 오는 해외포닥이 많아서 돈 안줘도 포닥은 잘 들어오는 편이거든요 하지만 학생은 서포트 해 줘야 하니 start-up 연구비 떨어지면 잘 못뽑지요 현재 연구비 상황은 어떤지 ta는 보통 일년에 얼마나 하는지 등등 물어보세요 연구비가 없으면 박사과정 ta를 매년 2학기씩 3년씩 시키는 교수들도 많습니다
대댓글 2개
2022.04.20
주립대인데, 펀딩은 넉넉하진 않지만 괜찮은 상태인것 같아요. 어제 미팅에서도 학생들에게는 미안하지만 역량이 되는 선에서 박사를 뽑고 나머지 펀딩으로 포닥을 더 채용할거라고 하시더라구요. 다행히 학과 정책상 RA만 해야하긴 합니다. 미국인들은 정책상 TA를 할 수 맀지만 하지 않는 분위기이기도 하구요.
2022.04.21
주립이면 돈 부족 문제는 아니겠네요 주립은 학생 쓰는게 싸거든요
2022.04.18
교수에 따라 작은 랩을 선호하는 교수들도 많고 이건 성향이긴 한데요, 그래도 박사과정을 보통 한해에 1명씩은 받습니다 그래야 연구실이 굴러가거든요 테뉴어 심사때도 이 부분은 평가대상에 들어갑니다 조교수 4년차면 박사과정 하시는동안 테뉴어심사 들어갈것 같은데 받을거같은지 그거도 한번 보세요 박사과정중에 교수가 테뉴어 떨어져서 타 랩으로 옮겨야 되면 상황 고달파집니다 논문은 충분히 괜찮은거 같은데 연구비 상황이 더 중요하니 그 쪽을 중점적으로 보세요 어차피 2학기에 선택하시는 거면 직접 가셔서 사람들 말을 들어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대댓글 1개
2022.04.20
감사합니다. 요즘 미팅을 하고 있는데, 학생들을 뽑는건 평가 요소 때문이 아니라 말 그대로 자신이 키우고 싶다고 하시더라구요. 타 학교 옮기는 이야기도 먼저 꺼내셨는데, 지금 상황에서 학교가 본인의 요구사항 (연구실 추가 배정 등) 안들어주면 더 좋은곳 오퍼받아서 딜 할거니까 걱정하지 말라고는 하셨습니다 ㅎㅎ. 이야기 나눠볼수록 굉장히 독특한 캐릭터이신것 같아요.
2022.04.20
미국 박사 중인데 저희랩에 박사과정생보다 포닥 숫자가 8배 많습니다ㅎㅎㅎ 포닥이 많으니 논문 잘 나오구요! 학생 숫자가 적으니 교수님도 집중해주시고 주변 똑똑한 랩포닥들에게 배울 점이 엄청 많아서 전 좋은 거 같아요
2022.04.17
2022.04.17
2022.04.17
2022.04.17
2022.04.17
2022.04.17
2022.04.17
2022.04.18
대댓글 2개
2022.04.20
2022.04.21
2022.04.18
대댓글 1개
2022.04.20
2022.04.20
대댓글 1개
2022.04.20
2022.04.20
2022.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