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4년만에 졸업 하셨다 하고
지거국출신이셔요
sci논문 8편 쓰셨데요
와 대단하다... 이랬는데
q1?? 인가 하는거 3편 밖에 못썼다고 자기 별거 아니라는 식으로 말씀하시던데
보통 다들 이렇나요??
학부만 나와서 그들의 세계를 잘 모르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2.05.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저 q1이
SNC 한 편씩 일수도 있습니다. ㅋㅋ
2022.05.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분야마다 다르지만 q1이 아니면 저널에 내지도 않는 교수도 많습니다... 대단한 게 아니라 졸업하고 학계에 있을 생각이 없어서 그냥 빨리 졸업하고 다른 길을 찾아가신게 아닐까 싶네요. 일반적인 분야에서는 지거국에서 박사하고 학계에 남으려면 좋은 저널에 좋은 연구 실고 외국 포닥가도 살아남기가 쉽진 않아요.
대댓글 6개
2022.05.20
반도체 쪽이셔요 하닉계신데
2022.05.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쵸 대기업은 별로 실적 없이도 갈 수 있어요. skp 학부 출신에 아주 대충 대학원 생활해도 하닉에서 반겨줍니다. 학계에 남는게 어려운거죠. 물론 대기업이 돈은 더 벌지도 모르지만요
2022.05.20
아 8개면 그리 많은게 아닌가보네요 그분 말씀대로..
저는 sci논문은 전부 엄청난건줄...
보통 반도체 분야는 어느정도가 되야 대단하다 하나요?
2022.05.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뇨 8개면 열심히 하신 것은 맞지만 q1이 아닌 저널이라면 솔직히... 어렵지 않게 쓸 수 있습니다. 아무도 안 읽는 것들이에요. 분야마다 다르지만 적게는 2-3편, 많이는 6~7편 정도 쓰고 졸업들 합니다. 논문 편 수도 중요하지만 어떤 연구인지, 어디에 냈는지, 분야가 어디인지, 기여도가 어떤지가 더 중요해요. 편 수는 아무 의미 없습니다. 내용이 중요하죠.
정직한 데이비드 흄*
2022.05.20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웃고간다
재빠른 제임스 와트*
2022.05.20
맞는말인데 비추가 왜 5개나 있죠? 솔직히 q2 q3저널 아무리 많이 써봤자 읽는 사람도 없고 실적으로도 쳐주지도 않아요. 웬지 찔리는 분들이 비추다신거 같은데..크흠
IF : 5
2022.05.20
쓰셨'대'요
2022.05.20
q1이 3개면 나머지는 q2-q4인가보네요...
재빠른 제임스 와트*
2022.05.20
Q1중에서도 질낮은 저널들 수두룩 빽빽한데 Q2 이하는 그냥 실험만 하면 낼 수 있는 저널일 가능성이 매우 높음.. 탑스쿨 탑그룹에서는 그런데 내면 마이너스라고 생각해서 안냅니다.
2022.05.20
물론 q1에 내는게 더 힘들다 그런거 저도 다 알지만.. 그래도 같이 박사생들끼리 어려운 길 헤쳐가고 있는 것 아는데.. 저 분이 그럼 1년에 메인프로젝트로 q1 개에 사이드로 두개씩 돌리면서 코스워크도 들으면서 4년 동안 박사생활 했다는건데 저는 그러면 박사생활 열심히 잘 하셨네요~! 할 것 같네요... ㅠㅠ 뭐 또 얼마나 그게 대단한 업적인지 가르려고 하는지.. ㅠㅠ 댓글 너무 ㅎㄷㄷ 이네요..
대댓글 2개
2022.05.2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솔직히 q1 중에서도 상위 몇 개만 저널로 취급하는 사회에서 학위하고 있는 사람으로서 아무도 안 보는 하위 저널에 논문 실고 그걸로 졸업하는 사람과 같은 박사 취급 받고 싶지 않습니다 ㅠ 4년을 보고 짧게 박사한게 대단해 보일 수도 있지만 반대로 말하면 자격 미달인데 박사를 준 거라고도 볼 수 있고요 물론 지거국이니깐 그 정도는 아니라고 믿고 싶지만 그런 경우가 없는 것도 아니고요 하물며 skp에서도 더 이상 보기 싫어서 어떻게든 요건 맞춰서 졸업 시키는 경우가 있는데요 박사라는게 어렵지만 어렵기 때문에 학위를 인정해주는게 아닌가요? 힘들다고 대충하고 졸업시켜서 박사라고 하면 박사의 의미가 있는지 잘 모르겠네요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주위에 회사가서 일하는 친구들과 비교해서 돈은 적게 받아도 재밌게 연구하고 있는데 박사가 그렇게 힘든 과정인지는 잘 모르겠어요
2022.05.23
저도 q1저널 아래는 잘 내지도 읽지도 않지만, 저널 퀄리티에 관계없이 8편 내고 졸업한거면 정말 열심히했다고 생각 할 것 같습니다.
학계에서 일한다면 다른 박사님들과 코웍하거나 대화할일이 많을텐데, 저렇게 급을 나눠 얘기하는건 좀 그렇네요.
코웍할때 기본은 상대연구에 대한 존중입니다. 존중이 없으면 티가납니다. 나중에 레퍼첵 때나 뒤에서 안좋은 얘기돌아요.
2022.05.20
2022.05.20
대댓글 6개
2022.05.20
2022.05.20
2022.05.20
2022.05.20
2022.05.20
2022.05.20
2022.05.20
2022.05.20
2022.05.20
2022.05.20
대댓글 2개
2022.05.21
2022.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