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문인 것 알지만 생각 정리가 안되어서 다른 분들 의견 들어보면 시야가 조금이나마 넓어질 것 같아서 글 올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2.05.2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러다가 적성 맞아서 포텐 터지는 경우도 있다고들 합디다
대댓글 2개
언짢은 카를 마르크스작성자*
2022.05.26
저도 그랬으면 좋겠어요..ㅠㅠ 그런데 반대의 경우도 많으니 고민되네요
약삭빠른 마르셀 프루스트*
2022.05.26
반대의 경우가 많은 수준이 아니고 대부분입니다.. 대신 취업용으로 가실거면 연구하는데 가지말고 코스웍 위주로 하는 학벌 ㅅㅌㅊ학교 가서 2년간 취준 같이하는걸 추천합니다 분야가 뭔진 모르겠지만
2022.05.27
엄청난 재능이 있는게 아니라면 하루 대부분을 몰두해야 합니다. 그런데 좋아서 하는게 아니라면 효율이 좋기 힘들죠.
2022.05.27
도망친 곳에 낙원은 없다지요
2022.05.27
학문적인거 (유전체 연구, 유전학, 단백질구조분석) 같은거 말고 실험분야로 간다면 취업길 넓어지고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대담한 요하네스 케플러
IF : 1
2022.05.27
대학원 진학 목적이 취직의 차선책으로 자신의 몸 값을 올린다는게 아니라 도피성이라고 말씀하신 것 부터가 희망적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계기가 어떠하든 가서 열심히 하시면 문제없을겁니다.
2022.05.27
엄청난 뜻가지고 오는사람보다 아닌사람이 훨씬 더많습니다 하다보면 길이열려요
2022.05.27
도피만 하러가면 결과가 좋지 못하겠지만 일단 도피를 해서 노력을 한다면 결과가 좋겠죠?
많은 학부생들이 생각 없이 대학원 오지만 계속 생각 없는 친구와 생각없이 와서 열심히 하는 친구의 결과 물은 다르더라구요.
어디서 뭘하던 본인 하기 나름인듯.
2022.05.27
학부 시절부터 연구실 생활 최소 1년 이상 하고 같은 연구실로 대학원 진학한 게 아닌 이상 대부분의 학생들이 대학원 생활 시작할 때 본인이 할 연구에 대한 자세한 계획이 없거나 있어도 무의미할 정도로 깊이가 얕아요. 그렇다고는 해도, 본인 스스로 알고 계실 듯. 스스로 공부하고 뭔가 깊이 파고 들어서 문제를 해결하는 일련의 활동에 정을 붙일 수 있는 사람일지 아닐지.
언짢은 카를 마르크스작성자*
2022.05.28
댓글 달린 걸 모르고 있었네요! 좋은 댓글들 너무 감사합니다 자세히 읽고 고민해보겠습니다^^
2022.05.26
대댓글 2개
2022.05.26
2022.05.26
2022.05.27
2022.05.27
2022.05.27
2022.05.27
2022.05.27
2022.05.27
2022.05.27
2022.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