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반도체, AI 전망

2022.06.04

9

5491

SPK 공대 학부생입니다.

약간 비주류학과(요즘은 반도체, AI, 배터리 등 을 제외하면 비주류라는 바보 같은 생각이 드네요...) 공부 중에, 요즘 계속해서 핫해지는 반도체 AI 분야에 살짝 유혹이 되어 질문 올립니다.

물론 본인이 하고 싶은 공부를 하는 것이 맞는 것임은 알지만, 옆 동네가 핫해지다보니 눈길이 돌아가는 건 어쩔 수 없는 일인가 싶습니다.

지금 계속해서 반도체, AI 인력이 부족하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정부, 학교 측에서도 인력을 늘리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는데,

이런 식으로 진행돼서 반도체 혹은 AI 시장이 지속적인 성장을 이뤄내지 못한다면 결국 이후에는 인력 과공급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닌가요?

내 공부하자니 핫하다는 분야에 끌리고, 핫하다는 분야에 가자니 걱정이 많아지고....
이 우매한 학생에게 따끔한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2.06.04

어차피 싸이클 도는 거라서 운빨이고 그냥 본인 하고싶은거 하면서 분야 내에서 경쟁력 쌓는게 제일 좋아보여요 저는

2022.06.04

저도 학사출신이고, 일가견이 있는 전문가는 아닙니다만 짧게 요약해서 의견 내봅니다. 틀린 것이 있다면 대댓글 부탁드립니다.

저는 글쓴이분께서 말씀하신 단순히 반도체 인력 과공급으로 인한 취업 어려움으로만 봤을 때는 그런일은 일어나지 어렵습니다. 여러 해외 기사에서 반도체 인력 부족은 장기간에 걸쳐서 더 심해질 것이고 이것에 대비한 인력 수급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출처 미상) 그리고 반도체 분야는 능력만 있다면 국내 말고도 해외에 일 할 기회는 언제든지 열려있습니다.

AI 반도체로만 타겟을 잡겠다면 국내에서는 회의적으로 생각합니다. 한국은 반도체 선진국에 비해(미국, 중국, 대만) 기술격차가 매우 심하고 전문 인력이 부족하기 떄문에 이것을 따라잡기는 어렵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AI 반도체에 집중하고 싶다면 미국 대학원을 가서 미국 기업에서 일해야 될 것 같다고 생각중입니다.

대댓글 2개

2022.06.04

맞습니다. gpu npu 등의 시스템 반도체는 한국이(혹은 삼성이) 서 죽쑤는 분야이고 미국이 꽉잡고 있습니다. 저런게 하고싶으시다면 미국유학을 추천드립니다.

2022.06.04

너무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사실 제가 어떤 반도체 공부를 하고싶다! 가 아니라 공부하는 걸 좋아하고 의미있는 공부를 하고싶은데 제가 공부하는 분야가 세상에서 빛을 보지 못하는 것 같아서 느껴지는 불안감에 적은 글이었습니다. 제가 몸 담을 분야에 대해 걱정이 커지는 시기인 것 같습니다 ㅠㅠ

2022.06.04

사실 현재 수준의 AI는 주된 파라미터가 행렬 형태인 일종의 내삽 기법입니다. 반대로 얘기하면 어느 분야에든 적용할 수 있다는 뜻이 될 수도 있고, 내삽 기법 자체를 향상하는 연구가 이루어질 수도 있죠. 유행이 끝날지언정 수요가 없어지지는 않을겁니다.

2022.06.04

AI반도체 특히 인메모리컴퓨팅같은건 유행인것같고 다른 회로쪽 분야가 더 안정적이어보임

2022.06.0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지금 어느 전공이신지?

대댓글 1개

2022.06.08

에너지 분야입니다!

2022.06.12

이제는 나이 든 꼰대라 이런데 글을 쓰는건 안 좋아하지만 오랜 시간 들어왔던 질문이라 주제넘게 한마디 적습니다.
저는 2000년대 초에 대학원에서 기계학습을 공부했었고, 지금은 인공지능 스타트업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글 쓴분이 말하신 소위 말하는 핫한 분야를 전공했지만 그 당시에는 박사들 다 긁어간다는 얘기를 듣던 삼성전자에서도 리크루팅을 나오면 기계학습은 채용분야에 있지도 않아서 연구실 사람들끼리 우리는 나중에 뭐 먹고 사냐고 농담을 했었죠.
앞으로 뭐가 핫할거라는 건 아무도 모릅니다. 테슬람들이 테슬라 주식은 오늘이 제일 싸다고 하는 것처럼 그냥 각자의 생각일 뿐이죠.
지금은 하루하루 벌어먹고 살기 바쁜 직장인이지만 한때는 연구라는 걸 했던 선배의 입장에서 말씀드리면 그냥 소신있게 자신이 원하는 걸 하시기 바랍니다. 어떤 분야를 하는가 보다는 본인의 능력이 어느 수준인지가 중요하니까요.
너는 요즘 핫한 분야를 했으니까 배부른 소리를 하는거 아니냐고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말씀드리면, 학생때 연구한 걸로 평생 먹고 사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
한국의 산업계나 학계에서 본인이 인공지능 한다고 하시는 분들 중에 인공지능을 전공하신 분들이 몇명이나 될까요?
본인의 전문분야에서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다른 핫한 분야로 pivoting 하시는건 크게 어려운 일이 아니니 소신을 가지고 연구하시는게 좋습니다.
저도 그 시절에는 잘 몰랐었지만 지나고 보면 아직 남아 있는 시간이 많거든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