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IF도 분야에 따라 점수를 다르게 봐야하나요?

2022.06.09

11

2295

대학원 준비 중에 IF에 대해 새롭게 알게되서 질문드립니다.

분야에 따라 IF가 달라진다는데 맞는 말인가요?

그렇다면 분야에 따라 IF가 얼마나 되야 괜찮은 저널인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2.06.09

당연하고요, 대분류에서는 jcr의 분야를 보면 되는데 그중에서도 세부 분야에 따라서 천차만별이라 전공자의 의견을 찾아보는 수밖에 없습니다.
얌전한 장자크 루소*

2022.06.09

본인 분야를 얘기하면 전문가들이 등판할겁니다.
저는 바이오분야고 IF도 대부분 알지만 IF관련없이 저명도 등도 압니다.
같은 분야에서도 IF가 더 낮은 저널이 더 높은 양산형 저널보다 더 저명하고 인정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얌전한 장자크 루소*

2022.06.09

일단 예를들면 재료쪽은 10이상이 거의 기본이고
바이오쪽은 7~8정도만 되도 상당히 상위권입니다.

2022.06.09

IF, JCR등이 있는데 사실상 정확한 저널에 평판도는 해당분야 아니면 알기 힘들죠.. 그래서 IF낮지만 전통있고 분야에서 알아주는 저널에 낼 바에는, IF높고 다양한분야에서 낼수있는저널(예를들면 네이처컴 등)에 내는게 임용등에 더 유리할때도 많긴합니다.

대댓글 6개

얌전한 장자크 루소*

2022.06.10

네컴이야 당연히 전분야 인정받고 한국사회에서 누구나 알아주는 저널이죠.
보통 네컴+본인분야저명한저널 내고 박사졸업하면 최소 국내박사 상위4%는 찍는듯.

2022.06.10

저희랩은 박사졸업생 절반이상이 네컴 '이상'은 쓰고 졸업해요.. 말씀하신대로 네컴이랑 분야저명한저널 둘다 투고하는경우라면 그럴순있겠네요
얌전한 장자크 루소*

2022.06.10

그정도면 님네랩이 분야막론 한국 탑랩인듯 한데요?
네컴 그정도 내면 바이오계열인거 같은데
바이오 일반랩기준은 랩통틀어 네컴을 3년에 1편만 내도 상위권이죠.
얌전한 장자크 루소*

2022.06.10

아 네컴 '이상' 이구나 그정도랩 전국에 20개 이하 일듯한데..
졸린 마키아벨리*

2022.06.10

다른 분야간에는 IF 비교를 직접적으로 안 하듯이, 네컴 비교도 다른 분야간에는 안 합니다. 네컴내는게 굉장히 수월한 분야도 있고, 굉장히 어려운 분야도 있습니다.
약삭빠른 쿠르트 괴델*

2022.06.10

네컴 섭밋도 못해보고 졸업하는 박사가 90% 이상입니다
도도한 쇠렌 키르케고르*

2022.06.10

재료기준 if 20 이상 아니면 미팅때 못들고감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