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 카이스트 봄학기 전형에 지원하려는 4학년 학생입니다.(타대생)
제가 알기로는 석사보다 석박통합의 to가 더 많아서 들어가기가 상대적으로 쉽다고 들었는데요,
그런데 제가 지원하려는 연구실에서는 석사 지원자 보다 석박통합을 더 높은 기준으로 보겠다고 안내되어 있습니다.
우선 제 전제 자체(석박이 입시에 유리하다)가 틀렸을까요?
만약 (일반적으로) 석박이 더 유리하다면,
이런 경우에는
1. 석박to가 더 많으니(그래서 들어가기가 더 쉬우니) 그만큼 허들을 높여서 보겠다
2. 석박통합은 박사를 포함하는 과정이니 박사과정까지 잘 수행할 수 있을지 보겠다
둘 중에 어떤 걸 의미할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2.06.17
전제도 맞고 2번 같네요. 아무래도 오래 봐야하니..
명석한 닐스 보어*
2022.06.17
일단 TO 측면에서는 작성자님 말씀이 맞을수도있어요. 근데 당연히 석박통합은 박사를 전제하고 들어가는거니 더 기준을 높여보는게 어쩌면 당연한거겠죠. 그리고 사실 TO 남아도 교수들 눈에 안차면 안뽑는경우도 많아요
2022.06.17
이건 질문이 잘못된거 같네요. 애초에 본인이 박사학위를 해외에서 할건지, 국내에서 할건지 부터 고민해보셔야 할 문제입니다. 석사 학위만 하는 분들은 해외서 박사를 하실려고 가는거고, 그렇기 때문에 서카포 같은 입시 문턱이 높은 학교는 왠만해서는 석사만 받아주는 걸 잘 안합니다. 어떤 연구실에 지원하시는 건지는 몰라도, 석박 다 국내에서 진학하실 계획이시면 석박통합 전형으로 지원하시는게 유리하실 겁니다,
대댓글 2개
2022.06.17
그렇다면 저는 해외를 고민하고 있지 않아서 석박통합이 좋은 선택일 것 같네요. 조언 감사합니다!
2022.06.17
제가 잘몰라서 그러는데 진짜 석사 지원자들이 해박하려고 하는거에요…? 저는 석사 취업이나 석사병특 혹은 아직 박사 확신은 없는 분들이 더 많은 줄 알았네요;
IF : 5
2022.06.17
학교 입시랑 랩 들어가는건 아예 별개 문제인데 한데 놓고 같이 생각하셔서 헷갈리시는 것 같은데요
to가 훨씬 많으니 입시 자체는 비교적 쉽고
그 교수의 자체적인 방침에선 같이 오래갈 사람 뽑아야되는 통합에 더 신경쓰겠다는 거구요
대댓글 2개
2022.06.17
우선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만약 교수라면,, 석사는 짧은 기간동안 일정한 성과를 낼 수 있는 어느 정도 준비된 사람을 뽑을 거 같고, 석박통합이라면 현재의 연구역량도 중요하지만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을 감안할 것 같네요. 교수님도 그런 관점에서 보시지 않을까요?
IF : 5
2022.06.17
보통 석사는 실적을 낼거라 크게 기대하지 않습니다
특히 랩에 박사학생들이 많을수록이요
2022.06.17
학과마다 다릅니다.
저희학과는 통합을 정말 극소수로 뽑고, 경쟁도 치열합니다. (학생입장에서는 석사디팬스를 안해도 되니) 교수님들사이에서 석사디팬스가 학생에게 도움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습니다. 그렇다고 박사진학생이 적지도 않고요..
근데 특정학과는 반대로 통합을 대다수가 뽑는곳도 있습니다. 즉 학과마다 다르다는거죠.
그래도 공통적으로 더 많이뽑는곳이 더 들어가기 수월할거에요.
대댓글 2개
2022.06.17
답변 감사합니다.
공식자료를 확인하는게 좋은 것 같아서 카이스트 대학원 대학공시를 참고하였는데, 지난 2개년 간 석박통합의 경쟁률이 석박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지원희망하는 과도 실제로 석박통합보다 석사과정이 훨씬 많은거 같네요.. 공시에서 나타난 자료는 석박통합으로 지원했지만 석사로 입학한 케이스 때문에 그런거 일수도 있을까요?
2022.06.17
2022.06.17
2022.06.17
대댓글 2개
2022.06.17
2022.06.17
2022.06.17
대댓글 2개
2022.06.17
2022.06.17
2022.06.17
대댓글 2개
2022.06.17
2022.06.17
2022.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