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안녕하세요, 석사 후 생활이 진짜 너무 막막해서 여기에 질문을 하려고 합니다

2022.06.27

6

3755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성균관대학교에서 석사과정 3기생입니다.
제가 대학원에 오게 된 계기는 국방과학연구소가 최소 석사 이상을 요구하기에 기계공학과에 입학을 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TO가 없어 기계공학과 학생들이 공동 연구중인 N센터 바이오랩실로 와 랩온어칩을 배우게 되었고 또 학회까지(포스터) 다녀오게 되었고 학점도 평균 4.0으로 다 이수했습니다.
그런데 이제 와서 보니 제가 가고자 하는 국방과학연구소에 입사하려면 연구실적 30%가 있는데 제가 지금 하고 있는 일을 연관지어 설명하기 감이 안 잡히는 겁니다.
또 취업 박람회를 가도 석사이상의 연수원분들에게 직접 자문을 구하고 싶지만 대부분 학사졸이신 분들이셔서 질문에 대한 답변도 시원찮게 받아본 적이 없습니다.
제가 지금 상황에서 국방과학연구소로 가려면 1)지금 상황에서 지원한다
2)박사과정을 통해 전통 기계과로 튼다
3)기타
정도가 제가 생각하는 해답인 것 같습니다.
1)의 경우는 제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흔히 말하는 스펙) 알려주실 수 있다면 정말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혹 저와 같은 분야로 가고자 하지만 이런 문제로 힘들어보신 적이 있으셨던 분들이 답변을 남겨주시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다들 연구하시느라 정말 고생하시는 와중에 이런 글을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2.06.27

국내에서 실적이 매우 좋거나 해박이어야 갈 수 있을듯.

2022.06.27

게다가 석사 출신은 웬만해선 안 뽑을듯

2022.06.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찐따의 복수

2022.06.28

지금상태로 지원가능합니다. 다만 석사는 대부분 계약직이라 보시면됩니다. 정규직 되려면 박사는 있어야하고 박사라고 다 정규직은 아니고 정규직도 있고 계약직도 있습니다. 과거 정부에서 계약직을 정규직으로 바꾸라고 해서 그 당시 계약직 석사는 시험치고 정규직으로 전환되었는데 지금 이런제도는 없구요...카이스트 애들이 외국 박사 가기전에 필드 경험한다고 잠시 계약직으로 일하기도 합니다. 반드시 기계공학이 필요한건 아니고 전기전자도 많아요. 석사로 들어갈수 있지만 추천드리지 않는건 소위 따까리일을 하기 때문에 물경력이 되기 십상입니다. 회의록 쓰기, 하청업체 코딩 검수하기 등 시간은 지나도 디벨롭되지 않은 경력이죠. 계약직이라고 해서 일자리에 대한 위협은 없습니다. 내부에서 정규직 기회를 주려고 하기도 하고, 워낙 고인물 조직이라 구성원 안바꾸고 그대로 가려는 조직성향때문에요

대댓글 2개

2022.06.28

그럼 연구소를 Plan B로 하고 일반 방산기업(현대 로템, LIG넥스원 등)을 준비하는 것도 방법이 될까요?
이런 분야에 계신 분들이 한 분도 안 계셔서 너무 답답하네요 ㅠㅠ

2022.06.29

네 방산기업 준비도 좋은 선택일수 있습니다. 일반 방산업계도 괜찮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