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K 자대생들 그 치열한 입시경쟁을 뚫고 학부부터 대학원까지 간건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하는데 졸업생이나 박사과정 실제 성과만 보면 사실 조금 실망스러운 부분이 없지않아 있네요. 건방지게 들릴수 있겠지만..
고년차 박사과정이나 되서 SCI 한편을 못내는거 보면 사실 조금 실망스럽습니다. 타대생 신분에서는 아무리 성과를 잘내도 졸업후에도 임용이나 취직시에 더 낮은 평가를 받겠죠? 참 간판이란게 무섭습니다.
역시 우수한 SPK는 다 해외로 가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2022.07.31
SPK 자대생들 그 치열한 입시경쟁을 뚫고 학부부터 대학원까지 간건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하는데 졸업생이나 박사과정 실제 성과만 보면 사실 조금 실망스러운 부분이 없지않아 있네요. 건방지게 들릴수 있겠지만..
고년차 박사과정이나 되서 SCI 한편을 못내는거 보면 사실 조금 실망스럽습니다. 타대생 신분에서는 아무리 성과를 잘내도 졸업후에도 임용이나 취직시에 더 낮은 평가를 받겠죠? 참 간판이란게 무섭습니다.
역시 우수한 SPK는 다 해외로 가나요?
대댓글 5개
2022.07.31
되서->돼서
2022.07.3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뭐하세요?
2022.07.31
딱봐도 너같은 신고팩터 20개 이상인 어그로꾼 글삭튀 방지용 아님?
2022.07.31
남 실적 실망하시기 전에 본인 맞춤법부터 신경 쓰시라고
2022.08.0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SCI에 게재된 님 논문이나 까봐요
2022.07.3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이런건 님 실적도 까고 올려야
글에 신빙성이 좀 담보 되지 않을까요
조급한 프랜시스 베이컨*
2022.07.31
집어치우고 CV나 까봐요
징징대는 에르빈 슈뢰딩거*
2022.07.31
걍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어그로꾼임 먹이 금지
징징대는 어니스트 러더퍼드*
2022.07.31
그 님 실 ?
2022.07.31
학교마다 그리고 연구실 마다 달라서 일반화하긴 힘들고 학벌로 어떤 사람의 능력을 단정 짓는 것은 부당하겠지만, 임펙트 포럼 "지방대 교수의 단상" 을 보시고 왜 소위 명문대 학부 출신을 높게 평가 하는지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사실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이 글을 올리신 교수님의 고민은 나름 수도권에서 이름 있는 대학들에도 적용됩니다.
여기 있는 많은 학생들은 소위 논문 실적이 그 사람의 능력을 다 보여준다고 생각하지만 (물론 일부 맞는 말입니다), 뽑는 사람 입장에서는 그렇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모든 채용에서 면접이라는 단계가 있고 그리고 레퍼런스와 배경을 체크 하는 이유가 있는겁니다.
착한 제인 오스틴*
2022.07.31
공부머리와 연구머리는 부분집합의 관계가 아니라 교집합의 관계. 공부를 잘하면 연구도 잘할 확률이 크지만 반드시 그런건 아님. 물론 누군가 이미 발견한 사실을 잘 습득하는 사람보다는 새로운 발견을 해낼 줄 아는 사람이 인류에 기여하는 바도 더 크고 대단한거는 맞음
대댓글 1개
재밌는 베르너 하이젠버그*
2022.08.01
동의합니다. 참신한 생각이 꼭 논문을 많이 읽은 사람에게서만 나오는것도 아니고, 그런 사람이 그런 생각 할 확률이 높은 통계적인 이유일 뿐이지요. 그리고, 그걸 알아낼 수 있는 척도는 현재 없기도 합니다.
2022.07.31
되가아니라 돼
후회하는 쇼펜하우어*
2022.08.01
서울대 출신이아니라도 실적이 월등히 좋으면 좋은 자리에 갈수 있습니다. 제가 있는 학과에서는 그렇습니다. 물론 서울대 해외박사면 좀더 인정을 하겠지만. Sci 겟수나 퀄러티가 우선입니다.
IF : 2
2022.08.01
전 미국서 spk출신 미박분들을 만났는데 물론 엄청 잘하셨습니다. 연구 실적이 대단하냐? 다 그렇진 않습니다. 한국의 입시가 연구능력을 판단하진 않는건 맞습니다.
근데 그분들 다 엄청 철저하시더라고요. 아주 똑부러지게 일하십니다. 한국의 입시가 완벽하진 않아도 그건 잘 뽑는거 같아요. 스스로 푸쉬해서 자기관리하면서 일처리하는 능력이요. 그 중 창의적인 분들도 있는거고 아닌 분들도 있긴 하겠죠.
뒤집어서 얘기하면 자기관리는 좀 떨어지고 스스로 푸쉬하진 못해서 입시땐 좀 하위권 학교를 나왔어도 기발하고 창의적인 분들도 있겠죠.
2022.08.01
학벌이 성공 기준은 아니긴 하죠
하위권 나와도 연예인 하는사람도 수두룩하고
자기가 정말 특출난게 있다면 꼭 공부를 안해도 되죠
2022.08.03
카이스트 전자과 졸업 기준 찾아보세요. SCI 10개있어도 졸업 못합니다. SCI중에도 학교에서 지정한 상위 논문이 필요합니다
2022.07.31
대댓글 5개
2022.07.31
2022.07.31
2022.07.31
2022.07.31
2022.08.01
2022.07.31
2022.07.31
2022.07.31
2022.07.31
2022.07.31
2022.07.31
대댓글 1개
2022.08.01
2022.07.31
2022.08.01
2022.08.01
2022.08.01
2022.08.03
대댓글 1개
2022.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