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gist는 잘 모르고, 입학 전 인턴시와 학부시절 학부연구생 했을때 unist와 협업을 조금 했는데, 반도체(소자)쪽으로는 괜찮다는 생각이 들어서 추천 했움. 입학을 준비한적은 없어서 부정확할수도 있고.. 그냥 제 생각을 말한거라서 그냥 흘려들어주세용..
2022.08.17
포공이 소수정예에다가 서울과 끝부분에 있어서 그렇지.. 하락세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충분히 좋은학교입니다.
지역적 디메리트는 확실하고, 신생랩이다보니 도박느낌이 있는건 사실이네요. 신생랩, 특히 첫박사는 고생을 많이 할수밖에 없으니까요. 조교수면 더더욱그렇고요.
대댓글 2개
2022.08.17
포공 엄청 좋은학교죠!
그러면 p가 괜찮을까용
2022.08.18
나이가 어리시면 솔직히 대학원이면 지역고민하지 마라고 하겠는데, 박사까지 하실거면 결혼적정기에 포항에 계시는것때문에 좀 걱정되기는 하네요. 저는 이미 박사학위를 받았고 글쓴이보다 한살 더 많은데.. 포공갔던 친구들중 늦은친구들은 결혼걱정 꽤하더라고요.
그리고 첫박사라는것도 교수/연구실과 잘맞으면 정말 좋은 시너지가 납니다. 저또한 신생랩에 가서 첫박사로 졸업했고요. 근데 아무래도 주변에 신생랩출신 친구들이 많은데, 선배없고 연구실 가꾸는데 시간을 정말 많이써야돼요.
연구실 홈페이지부터, 석사1학기부터 랩장맡으실텐데 랩장업무들에, 장비/실험실 세팅해야하고, 교수도 첫1-2년은 죽도록 바빠서 교수한테 뭘 기대하기도 어려워요.
제가볼때는 석사까지 할건지, 박사까지 할건지부터 정하시고 고민하시는게 좋아보입니다.
석사까지할거면 신생랩에서 고생할 필요없어보입니다.
2022.08.17
포스텍 하락세라니요?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연구수준은 국내 최고수준이구요.
대학평가는 여론조사가 비중이 높아서 좀 하여튼 생각해볼 문제예요.
생각해보세요.
누가 그 여론조사 메일을 주로 받고 응답하겠어요?
주로 교수들이나 직장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일턴데 누가 주로 그 학교에 좋은 여론 조사결과를 주겠어요?
규모가 작은 포스텍이 다른 두 대학에 비해 절대적으로 불리할 수 밖에 없다고 저는 생각해요.
2022.08.18
랭킹은 위에 주요대학만 보셔서 그렇지 밑에 죽 보면 얼마나 들쭉날쭉하고 우리나라의 일반적 인식과 얼마나 다른지 알 수 있죠. QS는 가장 최근 3위로 오히려 오르지 않았나요?
2022.08.18
P 좋지요. 근데 본인이 흥미를 갖는 연구분야도 중요합니다. 곰곰히 생각해보세요.
2022.08.18
중앙일보 평가에서는 최근에 거의 1위, 2위 중에 하나는 하던데 철저히 성과 위주로 하면 여전히 국내 최고의 평가를 받는데 그 놈의 여론 조사를 한 40% 반영해버리니 성과가 아무리 좋아도 여론조사만 안나오니 이상한 평가결과가 나오는 겁니다. 어느정도껏 여론조사 결과만 나와도 저렇게는 나올 수 없지 않나 생각됩니다. 이런 여론조사 위주로 평가결과를 내 버리니 이상한 결과도 많습니다. 멕시코 대학 들어봤나요? 아르헨티나 대학 들어봤나요? 멕시코 대학 중 하나는 세계 랭킹 104위입니다. 그런데 학계평가 여론 조사 결과 96점을 맞았어요. 그런데 교원당 인용 점수는 2.9점입니다. 이런 대학이 세계 랭킹 104위입니다.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은 음, 옛날에 엄마찾아 삼만리에 나왔던 도시네요. 어쨌던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이 세계 QS 랭킹 67위입니다. 이 대학의 학계 여론 조사결과 점수는 92.3점이고요 교원당 논문 인용 점수는 1.8점입니다. 정말 황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대학이 세계 대학 랭킹 67위랍니다.
그리고 서울대 학계 여론 조사결과는 98.6점으로 칼텍의 여론 조사결과를 앞서는 저로서는 참 어처구니 없는 결과라고 생각되는 결과가 나온답니다.
2022.08.18
한가지 요즘 학벌 트랜드를 대충 한번 보면 예전에는 서울대 학부와 대학원 학벌이 매우 특별하게 인정 받았어요. 지나치리 만큼. 그런데 이제는 서울대 대학원 학벌이 전혀 국내에서 매우 특별하게 인정 받지 않고 있죠. 그리고 이제 서울대 학부도 특별하게 인정 받지 않는 시대가 도래한 것으로 보입니다. 우선 왜냐하면 공대 등 자연계 계열은 그 논문 등의 성과가 거의 모든 것을 말해주니 뭐 학벌이고 뭐고 다른 게 필요 없어요. 인문계는 모르겠지만 거기는 외국학위가 대세이니 또 다를 것 같지만서도요. 서울대도 이제 one of them입니다.
산만한 버트런드 러셀*
2022.08.18
P를 갈 수 있는 건 맞음 ?
2022.08.23
P도 좋지만 나이도 있고 박사 한다는 가정하에 결혼까지 생각하면 YK로 가세요.
짓궂은 존 필즈*
2023.06.16
서울인게 중요하면 yk로 가면 되고 전반적인 대학원 수준이 중요하면 p가 낫고 ssh는 어떤 면에서건 별 메리트가 없는듯 분야 맞는다고 해봐야 어차피 취직할거면 딱히
2022.08.17
대댓글 1개
2022.08.17
2022.08.17
대댓글 4개
2022.08.17
2022.08.17
2022.08.20
2022.08.20
2022.08.17
대댓글 2개
2022.08.17
2022.08.18
2022.08.17
2022.08.18
2022.08.18
2022.08.18
2022.08.18
2022.08.18
2022.08.23
2023.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