ㅈ밥같은 주제로 페이퍼 내면 한방에 accept되고
똑같은 저널에 좀 중요하다 싶은 주제로 결과 나와서 논문 쓰면 reject되고.
리뷰 읽어보면 제대로 이해하는 리뷰어가 없다.
물론 리뷰어가 이해 못하게 쓴 내 잘못도 있겠지만
리뷰어가 궁금해하는 대부분의 것들은 이미 논문에 explicit하게 다 써있다.
호의적인 리뷰어도, 적대적인 리뷰어도 조금만 주제가 깊다 싶으면 이해를 못한다.
연구를 하는 것까지는 그렇게 스트레스 안받는데 논문을 쓰기만 하면 스트레스를 받는다
연구 결과를 논리적으로 틈 없이 쓰면 되는게 아니라, 선생이 되어서 리뷰어들을 이해 시켜야한다.
인류 지식의 지평을 넓게 만들어가는 과정이니 당연하다면 당연한거지만
오히려 리뷰어들이 너무 리뷰 대충하는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조금만 생각해보면 알 수 있는걸, 조금만 꼼꼼히 읽으면 찾을 수 있는걸 질문하고 반대로 얘기한다.
난 내가 연구자로 최소한의 자질이 있는줄 알았다.
기존 모델을 개선하다가 마주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아직 아무도 해결하지 않은 문제를 다른 분야와 접목시켜서 해결하고
이거면 문제없을줄 알았다.
근데 알고보니 난 연구자의 자질이 없었나보다.
나는 불특정 다수를 글로 이해시키는 재주가 없었다.
논문을 쓰면서도 어디에서 사람들이 이해하지 못할지 여전히 모르겠다.
이미 다 써있는데도 내 페이퍼를 읽고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을 이해하지 못하겠다.
박사 최종발표 때 심사위원 중에 딱 한 명만 내가 무엇을 했는지,
내가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를 이해했을 때까지만 해도
이렇게 자세히 설명을 해주는데 나머지 심사위원들이 왜 이해를 못하는지 의아했다.
근데 알고보니 내가 남을 이해시키지 못하는 것이 문제였던 것 같다.
논문 쓰기 싫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2.08.23
문제는 리뷰어 정도면 내 글에 큰 관심을 가지고 똑똑한 사람에 드는 축이라는거고, 이런 사람들 상대하기 때문에 연구자가 편한 직업이라는거.
2022.08.23
대댓글 1개
2022.08.23
대댓글 1개
2022.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