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딥러닝 산공vs컴공

2022.09.21

12

4354

산공에서 딥러닝은 실제 산업계에 적용시키는것이고, 컴공에서 딥러닝은 알고리즘 연구적인 측면인건가요?
딥러닝하는 연구실이 컴공, 산공, 통계... 과가 엄청 많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착한 아담 스미스*

2022.09.21

일단은 컴퓨터비전, 자연어처리, 강화학습, 생성모델, 데이터분석, 로봇, 음성처리, 영상처리 등등 정확히 어느 분야를 파고 싶은지 정하는게 첫번째 같아요.

대댓글 3개

2022.09.22

분야는 컴퓨터 비전쪽이고... 최신 동향 따라가면서 관련 알고리즘 개발하는게 꿈입니다...!
착한 아담 스미스*

2022.09.22

그렇다면 컴공, 전자공, 산업공에서 관련된 교수님들 연구실 홈페이지 들어가서 논문 제목 및 인용수, 특허, 대학원생들 인원 및 졸업자수 또 만약 김박사넷에 연구실 정보가 있다면 찾아보고 마음에 드시는 곳으로 지원하시는 곳이 좋을듯요.. 최소 2년 투자하는데 많은 시간 투자해서 잘 찾아보셔요!!

2022.09.22

스미스님 말대로 토픽에 따라서 갈립니다. 비전이라고해도 비전 내에서 뭘 할지에 따라서 랩이 ee에 있을 수도, cs에 있을 수도 있습니다. 학과를 떠나서 랩을 찾으시길
언짢은 프랜시스 베이컨*

2022.09.22

딥러닝 본진은 원래 CS입니다. 컴퓨터비젼도 원래 CS에서 주로 하구요. 우리나라는 예외적으로 EE에서도 많이 하지만 (우리나라 비젼 양대 산맥이 모두 EE출신이신지라), 미국만 해도 대부분 CS에서 합니다.

대댓글 3개

2022.09.22

비전은 "원래" EE 영역이었습니다. ACM에 비전 저널이 없었던것만 봐도 알 수 있죠. 최근에 전세계적으로 CS 가 하기 시작한 것 뿐입니다. CVPR, ICCV 둘다 원래 IEEE 후원 학회고요.
언짢은 프랜시스 베이컨*

2022.09.23

정확히 Image processing이 EE 영역이었고, AI와 결합된 현재의 Computer vision은 CS에서 시작되었죠. 위키 (https://en.wikipedia.org/wiki/Computer_vision#History) 와 Computer vision text로 유명한 Richard Szeliski book에서도 컴퓨터 비젼의 시작은 1960년대 MIT "CS" 교수였던 Marvin Minsky가 자기 학생에게 카메라와 컴퓨터를 연결해서 컴퓨터가 카메라로부터 찍인 이미지를 어떻게 해석하는 지 알아보게한 프로젝트로 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일단 이름 자체가 "computer" vision 입니다.
언짢은 프랜시스 베이컨*

2022.09.23

그리고 CVPR 과 ICCV 는 정확히 IEEE "Computer" Society의 후원을 받습니다.

2022.09.22

저의 주관적 경험으로 산시, 산공 등 산업XX 붙은 학과 출신은 깊이가 없더군요.
깜찍한 존 케인즈*

2022.09.23

원래 딥러닝 기초는 통계산공이지만 구현과 응용측면에서 컴공이 강하고 요즘 컴공에 능력자가 많아서 컴공이 매인이 되었죠.

2022.09.23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경험 좀 쌓이면 컴공에 실력자가 다 모여있는 게 보임

2023.10.12

산공 출신인데, 산공에서는 딥러닝 배우는거 아니에요..ㅎ
본진에서 배우세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