ㅎㅎ 특히 공대는 그럴 수 있음.
안타깝지만 PI가 미묘하게 과제 전담하게 하는 그룹이 생기고,
과제랑 관련 없이 PI가 미묘하게 연구실 최신 연구 리드하게 두거나 쪼는 그룹이 있고.
PI는 조율을 안하는 것 같지만 그렇게 되도록 냅두는 게 사실 조율하는 거임.
졸업할 때 누가 더 좋으냐? 내가 본 바 두 그룹 다 포텐셜은 있음.
전자에선 과제 나름대로 척척해내면서 결과 나오는 족족 논문 써재끼고 외부 기관과 커넥션은 커넥션대로 챙겨가고. 그 커넥션타고 취업이 되는 경우도 있음.
후자에선 남들이 안했던 분야라 시간이 좀 걸리긴 하던데 꾸준히 파면서 좋은 논문 써재끼면서 나름 연구실 최신 트렌드를 가져가고. 무엇보다 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긴 한데 연구 결과가 더디지만 나오는 것 같으면 좋아보이고 몇년을 때려부어도 큰 발전이 없어보이면 많이 안타깝기도 함.
정답은 파랑새를 찾아 떠나간 곳에 낙원은 없음. 그냥 주어진 환경에 맞게 내 실적 챙기면서 눈치 껏 잘 하는 수 밖에. 연구실/대학/PI별로 넘 상황이 달라서 사실 정답이 있는 문제도 아님
대댓글 1개
2022.10.08
경험상 productive 한 애들은 전자로 intelligent 한 애들은 후자로 많이 가는 듯. 근데 왜 가끔 진짜 John&me 똑똑한 애들이 나타나면 PI는 둘다 커버 가능한 전천후 인력으로 써 먹으니 내 능력은 다 보여주진 말자. 졸업 늦어진다.
못된 가브리엘 마르케스*
2022.10.09
논문은 많이 썼나요? 프로젝을 해야 보통은 뭔가 배우는데. 뭔가 못배우는데 왜 꼽다고 생각? 프로젝이 노가다만 하는 주제인가요?ㅎㅎ
2022.10.09
폐급이라 그럴 수도 있음. 우리방 물박사는 학부생보다 못해서 교수가 아무것도 안시킴 ㅋㅋ 그렇다고 연구를 잘하거나 지식이 많은 것도 아니라 앉아서 유튜브보고 세월만 버리는 중 ㅋㅋ
2022.10.10
혹시 그 박사 교수랑 친척 관계일 수도 있음..
나도 직접 경험해 봄 전공 지식 없고 석사 연구 주제 뺏어서 그 박사 논문으로 주고(비슷한 주제로 둘이 졸업함) 지금 경기도 A 대학에서 연구원으로 재직 중임 그 곳 취업도 교수가 알아봐 준 걸로 암. 말만 해주면 들어갈 수 있는 곳인가 했음 아 그 박사는 MDPI 논문 한편으로 졸업하고 거기 취업함. 인건비 max로 받아가면서 연구를 네이버, 유튜브로 했었음 ㅋ;
뭐 모르긴 몰라도 이런 경우 많을 것 같긴 함. 꼽다는 감정 낭비하지 마시고.. 본인 감정만 아까움... 첨엔 나도 욕 나왔는데 지금은 쓸데없이 감정 버렸던 게 아까웠음 지금은 개인 과제 수주해서 논문 열심히 쓰고 있음. 본인 실력 키우고 논문 많이 써서 좋은 곳 취업하길.. PI가 개입해서 해결하지 않는 이상 그 방법 말곤 없는 듯..
2022.10.07
2022.10.07
2022.10.07
2022.10.08
2022.10.08
대댓글 1개
2022.10.08
2022.10.09
2022.10.09
2022.10.10
2022.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