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한국 커리어적인 측면에서 논문의 양 vs 논문의 질?

열정적인 갈릴레오 갈릴레이*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2.10.27

10

2437

논문이 잘 안 나와도 좋은 논문을 내는 분야 vs 논문이 잘 나오지만 질은 낮은 분야

어떤 분야가 한국에서 커리어, 장기적으로 교수를 넘보기 쉽나요?

물론 둘 다 잡는 것이 최고지만....

제가 사회과학 분야 연구자라서 과학기술분들께 여쭈어본 점 죄송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2.10.2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1. 논문이 잘 안 나와도 좋은 논문을 내는 분야
>> 좋은 논문 나오는 분야는 논문이 잘 나오는 분야라 간주되지 않을까요?

2. 사회과학분야면 사회과학분야에게 물어야지, 과학기술분들께 묻는 건 이유가 따로 있나요?

대댓글 1개

열정적인 갈릴레오 갈릴레이작성자*

2022.10.28

우문현답 감사드립니다
얌전한 레오나르도 다빈치*

2022.10.28

한국에서 교수하려면 둘다 챙기세요…
다정한 알프레드 노벨*

2022.10.28

하이브레인넷에서 물어보는게 더 정확하겠으나, 제가 들은건 KCI론 양적 채우기 이상의 의미는 크게 없고, 결국 SSCI가 몇편이냐가 중요하다는거 같더군요.
너그러운 가브리엘 마르케스*

2022.10.28

개인적으로 1년에 논문 딱 1편 내는데 네이처 본지인 교수가 1년에 if 10점짜리 논문 10편 내는 교수보다 명성이 높다고 느꼈습니다.
허기진 비트겐슈타인*

2022.10.28

한국에 논문 많이 쓰는 사람은 많지만 정말 임팩트 있는 논문을 쓰는 사람은 드뭅니다. 교수든 교수가 아니든 커리어에 큰 영향을 끼치는 건 정말 임팩트 있는 논문 한 편입니다. 근데 어려워요. 특히 한국인들에겐. 그래서 대부분 양으로 승부하죠.

2022.10.28

둘다 봅니다. 뭐에 가중치가 더있는지 말하는것도 기관마다 다를수도있기에 무의미해보입니다.
다만 주변경험상 좋은논문 한편 쓴 사람을 무시한 사람은 못봤어도, 낮은저널에 다작하는 것을 안좋게 보는분들은 꽤있습니다.

2022.10.29

양보다 질이면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인 경향이 있죠. 잘 되면 최상위 학교 갈 수 있지만 그 아래 학교들은 어차피 점수 채우기 식으로 평가하는 경우가 많은게 아직 한국 현실이라.
근데 좋은 논문 적게 쓰는게 사실 더 바람직하면서도 어려운 길이니까, 일단 그렇게 해보고 본인 능력으로는 밥줄이 걱정된다 싶으면 노선을 좀 바꾸는 것도 한 방법일듯.
뉘우치는 존 롤스*

2022.10.29

톱 대학이면 전자. 중하위대학이면 후자

2022.10.30

Cs 일부 분야 기준 대학원생활 내내 1티어 컨퍼 3-4개만 있어도 프레시박사가 중경시급 교수되는데 지장없음. 내가 그 교수님 밑에있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5 LIG넥스원 산학장학생 인재영입
모집분야 : SW, HW, 기계, 성능분석
~11/28(금)까지 모집 접수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