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사과정 때 저렇게 리뷰논문 실적이 가능하군요... 리뷰논문 하나 쓰려면 공부 많이해야하는데 석사 때 이만큼 하신건 신기하네요
동일 분야로 가신다면 리뷰논문 실적상 트렌드를 꿰차고 계시기 때문에 유리한데, 혹시 좀 분야가 많이 다른 곳으로 지원하셨나요?
산만한 존 필즈*
2022.11.10
T5는 어렵고 20개 이상 지원하셈 그럼 한두개는 붙음
대댓글 1개
산만한 존 필즈*
2022.11.10
분야따라 다르겠지만 몇몇 학교를 제외하고는 미국 T20석사도 자대 박사로 전환이 쉽지 않음... 상향지원은 말할것도없는
2022.11.11
실적 문제는 아닐거 같은데 아무래도 학벌에서 좀 밀리실 수도 있겠네요. 잘 아시겠지만 T20면 전세계에서 (실적 뿐만 아니라 학벌로) 난다긴다하는 친구들과 경쟁해야합니다. 박사가 목표시라면 지원범위를 늘리시는게 좋을 것 같은데 졸업 이후의 기댓값에 대해서도 잘 고려해보고 지원하세요.
2022.11.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가고 싶은 연구실 교수 office hour때 직접 찾아가세요. 너랑 한번 얘기해보고 싶어 비행기타고 이까지 왔다 그러면 인지상정인데 다 흔들립니다. 인생 한번인데 원하는 교수랑 한 번 일해봐야하지 않겠어요?
대댓글 2개
2022.11.18
맞는 말씀입니다. 이렇게까지 하는데 뿌리치긴 힘듭니다.
쩨쩨한 피에르 페르마작성자*
2022.11.19
인터뷰요청온 교수 떙스기빙 연휴끝나고 직접 찾아간다고했는데 흔쾌히 오면 랩투어도 시켜준다고 해서 다다음주에 애틀랜타 한번 가볼것같습니다!
2022.11.11
컨택 답 없거나 시원찮은 반응이면 지원했을때 붙을 확률 매우 낮죠.
직설적인 로버트 보일*
2022.11.12
리뷰논문 의미없다. 연구논문 제대로된게 하나 정도 있는게 낫지. 리뷰논문 학생이 뭔제주로 제대로 쓰나? 지도교수가 싸줬거나? 정크 저널이겠지.
대댓글 3개
2022.11.15
제주는 한반도 남쪽에 위치한 섬입니다 :)
2022.11.18
리뷰 논문 의미 없다는 건 맟기도 하지만 또 틀리기도 한 말입니다. 이 분의 리뷰논문은 강력하게 어필 한것입니다.
쩨쩨한 피에르 페르마작성자*
2022.11.19
그... 본인수준의 경험가지고 함부로 판단은 안해주셨으면 하네요
진짜 제가 직접 개요부터 다짜고 지도교수는 중간에 문법이랑 흐름만 봐줬거든요
2022.11.12
물론 출신학교도 봅니다. 근데 그게 어드미션에서 엄청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고 알고있지 않습니다. 여기 댓글들 솔직히 다 무시하시고 꼭 다 넣으세요!!
원래 컨택메일에 교수님들 답장 잘 안주세요. 하루에도 100건도 넘는 이메일들로 인박스 확인 안하는 교수님들 허다해서 그럽니다. 실제로 하루에도 prospective phd student들 한테서 10건이 넘는 이메일이 오는데 그걸 일일이 다 답장주진 않으시겠죠?
논문쓰신 것들을 무시하는 댓글들 좀 있는 것 같은데, 일단 논문을 내 본 경험이 중요한거니까요. 그런 논문 조차도 없으면서 걱정하는것보다 글쓴이분이 논문들 쓰면서 겪으신것들, 연구경험, 하고싶은 연구플랜을 SOP에 잘 녹이시면 충분히 확률 있다고 생각합니다!
SOP가 진짜 엄청 중요해요. 추천서도 잘 준비하셔야하구요!
2022.11.13
ㅋㅋ미국학부면 몰라도 한국학부면 미국에서 모르는건 다 매한가지인데 한국 학부가 안좋아서 그렇다느니 하는 소리를 하고 있네요 위에 미국 석박사 유학을 가보기나 한건지 의문..
대댓글 3개
2022.11.13
그나마 설카포연고한성 정도는 입학한 인원들이 꽤나있으니 사람을 판단할 때 입학처에서 참고할만한 자료라도 있지, 건동홍은 입학 전례가 없으니 그런거지. 이정도 상식이 없으니 미국 땅 밟기나 했는지 의문..
2022.11.15
대댓글 다신분이야말로 미국에 계시는건지 잘모르겠네요... 한국 학부 잘 안봅니다.. 뭘 알고 떠드시는건지;; 설카포연고...어쩌구저쩌구ㅋㅋㅋ 서울대 빼고는 잘 모르는데요? 서울대도 수도이름이라 아는정도;
2022.11.15
아 참고로 저는 동국대 경주캠퍼스 학부 나와서 지금 탑스쿨 박사 중입니다. 연구실적도 글쓴이님 만큼 안됬고요.
2022.11.17
미국 플로리다 주립대 현 포닥입니다. 지금 지도교수님에게 추천 좀 받으시죠. 미국은 한국보다 인맥 더 봅니다. 지도교수가 보증해주면 별 스펙없어도 붙습니다. 실적은 좋으셔서 어딜 지원해도 될꺼 같은데, 상위 대학은 to를 먼저 파악하셔야 합니다. 자리없어서 못들어가는 경우가 다반사예요. 지도교수님께 to 정보 알수 있냐고 물어보세요. 아시는 분이면 직접 연락해서 바로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박사 진학시 가장 중요한건 지도교수가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하고 학교 네임벨류보단 교수의 대형 프로젝트 수행 경력과 논문 실적을 보세요. 그것을 바탕으로 추후 하게되는 연구가 정해지고 졸업후 실적도 가늠해 볼수 있습니다.
2022.11.10
2022.11.10
2022.11.10
2022.11.10
대댓글 1개
2022.11.10
2022.11.11
2022.11.11
대댓글 2개
2022.11.18
2022.11.19
2022.11.11
2022.11.12
대댓글 3개
2022.11.15
2022.11.18
2022.11.19
2022.11.12
2022.11.13
대댓글 3개
2022.11.13
2022.11.15
2022.11.15
2022.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