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졸업 후 논문에 공저자도 주시지 않은 교수님

2022.12.06

9

5107

저는 랩실 인턴을 했으며 현재는 교수님께 말씀을 드린 후 학부 졸업과 함께 랩실 또한 나오게 되었습니다.

랩실 인턴 때 교수님이 해오시던 선행 연구를 이어 과제를 주도적으로 이끌며 데이터를 냈었고 논문 초안을 작성하였습니다.

따라서 교수님이 이전에 가지고 있었던 데이터와 제가 만든 데이터를 합쳐 figure를 만들었고 초안 또한 제가 작성을 하여 교수님께 넘긴 후 랩실을 나온 상태입니다.

하지만 졸업 후 랩실에 들리는 소식을 들으니 그 논문은 제가 아닌 연구에 거의 도움을 주지 않은 친구가 1저자로 들어가게 되고 저는 공저자에도 넣어주지 않는다고 하더군요..... 소속이 없다는 이유로요....

이 경우 논문이 나오기 전, 후로 제가 취해야 할 행동이나 모아놓아야 할만한 증거 등이 있을까요? 제가 소속이 없다는 이유로 제가 만든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된 논문의 공저자에서까지 빠질 수 있나요?

간절합니다.... 도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2.12.06

소속이 없어서 뺀것은 말이안되고, 사실살 연구실 진학을 안한것에 대한 보복일 가능성이 높죠.. 차후에 논문이 출판된 이후에 에디터한테 메일을 보내서 상황공유후 따져볼수는있으나.. 에디터도 그냥 지도교수한테 상황을 물어볼뿐이지 개입할여지가 없어서 지도교수와 상의해보라고만 말할 가능성이 높긴하죠. 그 경우 지도교수와의 관계도 나빠지기만 할 뿐이고요.
좋게좋게 상황공유해서 본인의 기여도를 주장해서 교수한테 공저자에 올라가는게 맞다는걸 어필하는게 그나마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그게아니면 어떻게든 이곳저곳에 상황공유하면서 발목잡고 늘어지는거겠죠. 최근 전북대 사태에서도 결과적으로는 제자 논문뺏은 교수한테 집행유예를 준 경우가있으나, 언론화 될 경우 해결될 문제죠. 사실 현사태는 해당학생이 나가서, 나머지 논문작업을 다른학생이 전부했다는 맥락이기에, 그정도에 버금갈정도로 연구윤리위반 사태는 아니라고 생각되지만요..

2022.12.06

렙실에서 연구자 등록하고 연구했고 초고작성한걸로 교수님이 투고본을 작성했으면 리비젼 참여하지 않았어도 공저로 넣어 줄 수는 있지만
학부생이라 연구자 등록 안하고 연구참여 안넣고 단순 알바개념으로 몇달 있었거나 초고를 다 갈아엎고 새로 썻다면 크게 문제를 제기할 순 없는 상황입니다.
또한 학부생이 아니더라도 그 렙실 연구비와 아이디어로 실험을 진행한거라 해당 렙실 소속이 아니게 되면 연구 마무리 짓지 않고 나갔을 때 저자기여도를 주장하긴 많이 힘듭니다
바보같은 쇠렌 키르케고르*

2022.12.06

그렇게 간절하면 랩실 나가고 나서도 주도적으로 논문 작업 했었어야...
뻔뻔한 아르키메데스*

2022.12.06

학부생이라 물론 잘 모르셨겠지만 원래 저자는 굉장히 민감한 부분이라 논문작업 전에 미리 상의가 이뤄져야합니다. 결국에는 본인이 할 수 있는 것도 없고 뭔가 조치를 취해도 본인만 손해 볼 가능성이 높습니다.
보통은 지도교수도 자기 랩실 대학원생에 기여도를 주길 원하지, 랩실 소속도 아닌 사람을 저자로 넣어봤자 랩에 득이 하나도 없기 때문에 나간 사람은 바로 제외시키는 거죠.
예를 들어, 회사 다니다가 어떤 특허에 기여하는 와중에 퇴사하면 그 기여도는 0가 됩니다. 그 팀에 소속인원도 아닌 사람 넣어봤자 득 되는게 하나도 없거든요.
집요한 피터 힉스*

2022.12.06

님이 알고 있는 논문 작성에 관여된 정황들
[교수님이 이전에 가지고 있었던 데이터]
[제가 만든 데이터를 합쳐 figure]
[초안 또한 제가 작성]

님이 알아야할 사항
[논문 메인 아이디어는 누구?? 교수? 님? 다른 학생?]
[님이 쓴 초안이 얼마나 바뀌었는가?]
[논문 제출 후 리뷰 대응은 님이 아닐거임]
[논문 출간료도 당연히 님은 아닐거임]

과제수행하느라 고생한건 알겠는데 논문쓰는건 또 다른얘기임.
물론 그에 대한 보상으로 논문인 게 맞는데 님은 인턴만 하고 나가신거니...
물론 앵간하면 공저자정도는 넣어주긴 할텐데...연구실 나오는 과정이 그리 매끄럽지 않아서 그런걸지도?
사실 우리나라 대학원 구조상 인턴만하고 나오면 교수입장에서는 기분 나쁠수밖에 없음.
말이 인턴이지 학부연구생일텐데. 보통은 대학원 진학을 염두로 학부연구생 하는걸테니까.
애초에 인턴만 하고 나간다그랬으면 받지도 않았을거임.
그러니 아까운 아이템 다른 물고기 낚는 용도로 쓰는거겠죠.

2022.12.07

학부연구생만 하고 나온거면 교수님 입장에서도 달갑지 않죠 당연히

2022.12.0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넣어달라 했는데 안 넣어주는 것과 넣어달라는 말 안 했는데 안 넣어준 건 하늘과 땅 차이.
교수 입장에선 학부생을 연구실 일원으로 생각하진 않아서 (대체로) 막 챙겨줘야겠다는 생각 거의 없음.
말하면 넣어줄거임.
일단 메일부터 써봐.

2022.12.08

소속 없어서..라는 이유는 사실 말이 안돼요
(까놓고 말해서 x소리)

인턴, 학생 등이 랩을 나간 이후에 랩에서 논문 내는 경우가 그렇게 레어한 경우도 아니거든요

그냥 논문 submit하는 시점에서 그 학교 소속이 아니더라도 소속으로 써주는 경우가 많은데 문제되는걸 본적이 없어요. 확인할수도 없구요. 저널 측에서 그런걸로 문제삼는 경우는 최소한 저는 못봤네요

논문 원고를 직접 안썼다면 교신저자 재량하에 1저자에서 제외될수 있는건 맞아요. 근데 이름을 아예 뺀다? 이건 좀 선을 넘었네요

데이터 뽑은걸 거의 그대로 쓴거라면 작성자가 넣어달라고 부탁하고 안하고와 무관하게 넣어주는게 원칙상 옳습니다

무슨 알바형식으로 단순한 테크니션으로 고용된거라면 모를까요..

2022.12.09

랩으로 오지 않는 그냥 인턴에게 크레딧을 주는 경우는 별로 없더라고요, 실질적인 기여가 있다고 하더라도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