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3학기차 끝난 석사과정생입니다. 거두절미하고 본론부터 들어가자면 너무 힘들어서 매일 집에 와서 울곤 하는게 일상이 되버려서 고민 상담 차 글 적어봅니다.
1. 학사랑 석사 분야가 다름
제가 자대 타과에서 넘어와서 분야가 다릅니다. 그러다보니 해당 분야 기초를 익히는데 한학기 이상을 쏟아부었습니다. (학부연구생 경력 없었음)
연구주제도 저는 A라는 분야를 하던가, 혹은 해당 분야에 쓰일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된 A*라는 분야를 하고 싶었지만, 전혀 다른 B 분야를 배정받았습니다.
심지어 해당 주제는 교수님도 주 전공이 아니시고, 같은 과에 해당 분야에 대해 아시는 교수님도 안계시고, 같은 연구실원들도 꺼려하고 잘 모르는 분야이다 보니 연구기초를 잡는데 많이 힘들었습니다.
사실 B 분야 자체를 공부하고 적용하는 것 자체는 저도 나쁘지 않았습니다. 잘만 만지면 연구테마를 확장 가능하다고 판단해서 열심히 해보고자 하였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위에 언급한 것들입니다.
나 : "B분야에서 이 용어가 정확히 무슨 뜻이에요?"
동기 : "몰라"
학부연구생 : "ㅉㅉ 저는 B분야 연구할 바에 이 연구실 뛰쳐나감" -> 진짜로 나가버림;;
교수님 : 주 전공 아니셔서 교수님도 모름 + 연구 진행 빠르게 안되는걸 이해 못하심
그나마 제가 할 수 있는거라곤 선행연구 하시고 졸업한 선배한테 연락 넣어가면서 물어보는거였는데 취직해서 나간 선배라 계속 연락하는거에는 한계도 있고 저도 계속 물어보기 죄송해서 연락을 안드렸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철판 깔고 연락드려서 물어봤어야 하는데;;)
2. 집안 일로 한학기 날아감.
이 부분은 짧게 넘어가자면 입학한 첫 학기에 어머니께서 병으로 쓰러지신 후 첫 학기 끝나갈때쯤 돌아가셨습니다.
자기관리를 못한 제 잘못이 가장 크겠지만서도, 주말마다 간병 차 본가 내려갔다가 일요일 밤에 복귀하는 생활이 반복되니 몸도 힘들고, 무엇보다 마지막에 제가 임종을 못지켜드려 이게 계속 생각나서 정신적으로 많이 힘들었습니다.
제가 이 부분은 연구실에 알려서 좋을게 없다고 판단해서 동기 한명한테만 집안 사정을 말해놓은 상황이었습니다. 어차피 동기 제외 전부 졸업 예정 선배들이기도 해서...
한동안 일상생활에 지장이 갈 정도였습니다. 가만히 논문 보는데 눈물이 나고, 멍하니 있다가 밤 늦은 시간이 되고 그러다보니 그냥 염치없지만 지도교수님께 한학기 휴학한다고 말할까 계속 고민하던 찰나에...
3. 프로젝트 (내 이름 안들어감)
교수님께서 프로젝트를 하나 맡긴다고 통보를 하셨습니다. 저는 프로젝트 경험해보는걸 원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 말 한마디로 휴학 생각을 접었습니다. 그런데 막상 프로젝트 계획서를 받아보니... 저는 포함이 안되고 다른 석사생들 이름 (심지어 다른 연구실) 올라간 프로젝트인데 제가 B분야 연구한걸로 이 프로젝트를 하자고 하십니다.
이게 사업단 산학프로젝트라 사업단 참여학생이 아닌 저는 이름을 올릴 수가 없는 1년짜리 단기 프로젝트일줄은 몰랐습니다. 암튼 생판 처음 보는 다른 연구실 석사분들은 월급 받고 실적 챙기지만 저한테는 돌아오는게 하나도 없는 프로젝트를 맡게 되었습니다.
심지어 연구 발표는 또 저분들이 하셔서 저는 PPT 만들고 대본 다 짜서 저분들 던져주는데 저분들은 본인 일정에 맞춰달라고 계속 요구하심 + 저는 서류상 참여자가 아니라서 프로젝트 일정이 어떻게 되는지도 모르고 일방적 통보만 계속 받음.
4. 개판 오분전 실험실 분위기
지도교수님 : 실험실 분위기에 일절 관여 안하시는 방임형
인원 : 저 포함 석사2 학부연구생2
특이사항 : 학부연구생 둘이 전생 원수라도 이것보다는 사이 좋겠다 싶을 정도의 험악한 분위기 조성
교수님이 위에 언급했던 B분야를 랩실 차원에서 계속 이어가기를 원하셔서 저한테 학부연구생들 데리고 세미나도 열고 논문 리뷰도 해보고 하라고 하셨지만 두명 다 "B분야 할 바에 랩실 나감" 입장 고수 + 둘이 같이 있는것 자체를 용납못함 (실제로 한명 랩실 있으면 다른 한명은 랩실 안들어오는걸 반복함) + 당시 제 멘탈도 정상은 아님 = 대환장 콜라보가 되서 진행은 하지 못했습니다.
이게 스노우볼이 되서 저는 교수님한테 "일을 던져줘도 제대로 못하는 학생" 이미지가 박혔습니다.
5. 나만 빼고 지원 아낌없이 해주는 교수님
저같은 경우는
- 참고서적 한권 랩실 운용비로 사는데도 랩장 상대로 두세번은 설득, 그래도 안되면 교수님 콜 해야 선심쓰듯 책 한권 사줌
- 첫학기에 VScode도 겨우 돌아가는 사무용 데스크탑 하나 배정받음 + 노트북 사준다고 해놓고 '선배들꺼 물려받으면 되지' 시전 + 그걸 또 맞습니다 하면서 제 요구사항 계속 무시하는 랩장동기
결국 학자금대출 땡겨서 노트북 샀고, 2학기 중반부 되서야 겨우 멀쩡한 데스크탑 받았습니다.
- B분야 연구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가 있는데 이게 좀 오래된 버전이라 신규버전을 하나 사야 연구 진행에 도움이 되는 상황이었습니다. 이것도 말하니까 "지금 실험실에 돈이 없으니 조금만 기다려라". 결국 그 조금이 6개월 가량 걸림.
- B분야가 현업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주제라 교수님께 현장 견학이라도 한번 가보면 안되겠냐고 여쭤봄. 결과는 당연히 No.
그나마 이 부분은 제가 입학할 당시 실험실 과제들이 싹 다 끝나는 시점이어서 진짜 운용 예산이 부족한 상황이었습니다.
거기에 검증 안된 타과 출신 학생에게 지원을 무턱대고 해줄수도 없었을거라고 생각은 합니다만...
다른 학생들의 경우
- 랩장이 연구 용도로 사과농장 차린다니까 바로 맥 + 맥북 + 아이패드 싹 다 마련해줌 (랩장은 실험실 예산 없다고 제가 노트북 사는건 반대함)
- B 분야는 원래 학부연구생이 하기로 했었음. 그런데 이 사람이 "전 B분야 싫고 교수님 전공분야 같이 하고싶어요" 시전하니 바로 과제 해당분야로 따오시고 논문 준비 들어감.
- 컨퍼런스 구경도 쉽게 보내줌
- 바로 성능 좋은 데스크탑도 마련해줌
여기까지도 그냥 자대 자과 학생들 좀 더 아낀다고 생각하고 넘겨봅니다.
그 외 기타 등등 많은데 쓰다보니 홧병 도져서 여기까지만 써봅니다.
그렇게 교수님과의 관계도 꼬이다가 오늘 교수님께 한가지 옵션을 제안받았는데 그게 "다른 곳 실습 개념으로 파견 보낼테니 A 분야 해볼래?" 였습니다.
그런데 이게 결국 저랑 같이 못있겠다는 통보처럼 들려서 오늘 집에 와서 4시간은 족히 펑펑 울었네요.
안그래도 연구실 운영이나 분위기 이런거 물어보는것도 저만 빼고 다른 학생들한테는 돌아가면서 물어보는데... 그냥 제가 행동거지를 전부 잘못했구나 생각밖에 안들더라구요...
제가 살다살다 정신과 갈까 생각해본 적은 처음입니다. 농담 안하고 걍 콱 혀 깨물어버릴까 생각도 듭니다.
일을 크게 키우는 것도 싫고 해서 예스맨으로 살면서 교수님과 상담 자체도 한 적이 없고 해서 일이 더 꼬인 상황인데, 지금은 제 스스로가 한계라고 생각해서 조만간 날 잡고 교수님과 상담이라도 해볼까 합니다.
그런데 또 이런 일로 상담하는 것 자체가 민폐일거 같아서 고민되네요 하...
암튼 두서없이 휘적인 푸념글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어디 하소연할 곳도 없어서 여기에라도 대충 적어봅니다.
제가 멍청하게 행동한거 저도 아니까 쓴소리 해주셔도 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뻔뻔한 쇠렌 키르케고르*
2022.12.21
님. A분야 파견을 빙자한 유배를 가던, 자퇴를 하던, 아님 고통받으며 B분야 계속하던 뭐가 되었던간에 지금 작성하신 이 내용 고대로 지도교수와 상담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이런일로 상담하는게 왜 민폐입니까? 지도학생이 연구실 생활에 문제가 없는지, 연구는 잘되는지, 확인하고 상담해주고 하는것은지도교수의 본분입니다.
IF : 5
2022.12.21
예스맨으로 사는건 어디서나 예나 지금이나 이렇게 문제를 키울 뿐입니다. 이것도 교수한테 말 못하겠으면 지금처럼 앓으면서 사는 수밖에 없어요.
2022.12.21
누구보다더 가혹한 환경에서 지내시는것 같아 그저 힘내라고 밖에 말을 못하겠어요.
현실적으로 조언하자면, 오해 푸는것보다 중요한건 없다고 생각합니다.
교수는 학생의 (인적자원의) 상태와 연구현황등, 무엇 때문에 연구생활이 어려운지 알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미팅을 개인적으로 쉽게 잡을수있는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그동안의 이야기를 한번 풀어내실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무엇보다 글쓴이분이 겪은 실험실 외 경험들은 누구나 자주 겪는 상황이 아니에요. 그런 상황들도 극복한다면 정말 베스트지만, 극복못한다고 해도 그게 막 욕먹거나 비하당할만한 그런 상황이 아닙니다. 사람은 한계가 있는법이니깐요. 용기내서 교수님께 말해보셔요.
깜찍한 마이클 패러데이
IF : 1
2022.12.22
고생많으십니다....힘내셔요
2022.12.22
교수님께 말씀드려도 됩니다. 집안사정 때부터 말씀드려서 힘들다고 양해를 구하면 되죠... 그걸 뭐라고 하면 천하의 나쁜 사람인데... 지금이라도 늦지 않으셨으니 미팅 진지하게 요청드리세요. 그리고 저도 정신과 생각했는데 글쓴이 분이 더 필요하신 것 같습니다. 심리학 대학원생분들이 실적 상 무료 상담해주는것이 있습니다. 줌으로도 가능하다고 들었었는데요 코로나 시대 때문에... 비용상 힘드시다면 그쪽으로 알아보시는걸 추천드려요. 도움이 된다고 들었습니다. 저는 상담 견적받았는데 1회당 8만원이라고 해서 포기했거든요.. 교수님께 꼭 미팅하시구요.. 이제 잃을것도 없다 싶으면 나에게 해가되면 좀 들이받고 화를 내는것도 오히려 동료들과의 사이에 예우를 받을수 있습니다.
2022.12.22
와우.. 역시 나만 힘든게 아니야. 연구실은 너무 폐쇄적이야.
활기찬 쇠렌 키르케고르*
2022.12.22
와 소름돋게 저랑 똑같네요... 저는 2학기 끝나갑니다... 심지어 여기에 해당 분야 해놓은거 남준다는 얘기까지 들으면 진짜 멘탈나가요. 저랑 같이 교수님하고 대면면담 해보고, 그래도 안되면 차라리 저는 다 포기하고 석사수료까지도 고려중입니다. 남은 기간동안은 어차피 코스웍 남은거 없으니 더 시간 버리거나 할 건 없고, 차라리 사실상 학부 졸업후 쉬고있다 생각하고 면접준비를 하든, 영어공부를 하든 회사취업준비를 하든, 더 좋은 학교나 랩실의 대학원입시 준비를 하든...
엉뚱한 레오나르도 다빈치*
2022.12.23
우선 이미 3학기 끝났으면 저는 참고 졸업하라고 말씀드릴게요. 하지만 나중에도 다른곳에서 똑같은 일이 발생하면 우선 확실하게 문제에 대한 어필을 윗 상사에게 예의를 갖추어 하되 개선의 여지가 없으면 나가는걸 추천 드립니다. 저도 석사2학기 중간에 다른 랩실로 옮긴 경력이 있습니다. 옮긴 이유는 랩실 분위기가 개판이 었어요. 랩장을 필두로 밑의 똘마니 2명이 만든 정치판은 조선시대 붕당정치도 울고가게 할정도로 개판이었어요. 얼마나 개판이었으면 랩장 똘마니 한명은 석박통합 1학기 차인데 실험실 포닥 지시 무시하면서 대들더라구요. 무튼 저는 랩을 옮겨서 졸업이 1년정도 늦추어졌지만 후회 절대 안해요.
2022.12.28
교수님과 얘기해보면 좋을 것 같은데 이건 다들 하는 얘기인것 같고, 진짜 고생 많으셨네요.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2022.12.28
교수님과 얘기해보면 좋을 것 같은데 이건 다들 하는 얘기인것 같고, 진짜 고생 많으셨네요.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2022.12.28
힘내세요! 석사 안해도 됩니다! 인생 안망해요! 따면 좋지만 안따도 그만이라고 조금만 더 무게를 내려놓으시길요! 교수님께 멘트 정리해서 바로 가세요! 혼자 끙끙 앓아봐야 아무도 알아주지 않더라구요!
2022.12.21
2022.12.21
2022.12.21
2022.12.22
2022.12.22
2022.12.22
2022.12.22
2022.12.23
2022.12.28
2022.12.28
2022.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