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국어국문 쪽 대학원 학벌

2023.01.02

10

2442

학벌 질문이 많아서 또 드리기는 죄송합니다만… 아무래도 이과 쪽 대학원 진학과 문과 쪽 대학원 진학은 차이가 있을 것 같아서요.
저는 현재 국어국문학과 진학을 희망하는 고등학생입니다. 이제 대학에 원서를 넣어야 하는데요, 제 수능 성적으로는 서울 국숭세단 지원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고민이 있습니다. 저는 학구적으로 깊은 공부를 하고 싶어 대학원도 수준 높은 곳에 들어가고 싶다는 욕심이 있습니다. 물론 교수님에 따라 다르겠지만 주로 서울 상위권 대학원이 아무래도 저명한 교수님들이 많이 계시겠지요. 그래서 대학원은 서울 상위 대학원에 가고 싶습니다. 국숭세단 또는 지거국 대학에 가면 국어국문 대학원 진학할 때 많이 불리한지 궁금합니다.
사실 공부를 거의 못하고 치룬 수능이라 재수한다면 더 높은 대학 갈 자신이 있습니다. 1년을 수능공부로 버리더라도 재수를 하고 높은 대학 가서 높은 대학원에 가는 게 나을까요, 아니면 바로 국숭세단, 지거국 가서 하고 싶은 공부 하고 높은 대학원 가는 게 나을까요?
국어국문 쪽은 학벌 많이 보지 않을까 싶어서 여쭙고 싶습니다ㅜㅜ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3.01.02

여기에 국문과 현실에 대해 잘 아시는 분이 없을 거예요.

대댓글 2개

2023.01.02

아… 왜 그런지 알 수 있을까요..?

2023.01.02

아마 이과쪽 대학원생이 많아서?

2023.01.02

가셔서 학점 관리 잘 하세용
옹졸한 빌헬름 뢴트겐

IF : 1

2023.01.02

문과쪽은 장학제도가 거의 없어서 돈만 있다면 높은 학교 어렵지않게 진학할 수 있습니다.
그 전에 대학원 진학이유가 무엇인지는 고민해보세요.
대학부터 가시고 학점관리 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옹졸한 빌헬름 뢴트겐

IF : 1

2023.01.02

학벌 질문이 많아서 또 드리기는 죄송합니다만… 아무래도 이과 쪽 대학원 진학과 문과 쪽 대학원 진학은 차이가 있을 것 같아서요.
저는 현재 국어국문학과 진학을 희망하는 고등학생입니다. 이제 대학에 원서를 넣어야 하는데요, 제 수능 성적으로는 서울 국숭세단 지원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고민이 있습니다. 저는 학구적으로 깊은 공부를 하고 싶어 대학원도 수준 높은 곳에 들어가고 싶다는 욕심이 있습니다. 물론 교수님에 따라 다르겠지만 주로 서울 상위권 대학원이 아무래도 저명한 교수님들이 많이 계시겠지요. 그래서 대학원은 서울 상위 대학원에 가고 싶습니다. 국숭세단 또는 지거국 대학에 가면 국어국문 대학원 진학할 때 많이 불리한지 궁금합니다.
사실 공부를 거의 못하고 치룬 수능이라 재수한다면 더 높은 대학 갈 자신이 있습니다. 1년을 수능공부로 버리더라도 재수를 하고 높은 대학 가서 높은 대학원에 가는 게 나을까요, 아니면 바로 국숭세단, 지거국 가서 하고 싶은 공부 하고 높은 대학원 가는 게 나을까요?
국어국문 쪽은 학벌 많이 보지 않을까 싶어서 여쭙고 싶습니다ㅜㅜ

2023.01.02

한마디로 답변드리자면, 굳이 sky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 재수를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만약 취업을 생각하신다면 국숭세단보다는 sky 국어국문학과를 권해드리고 싶지만요. 물론 이 바닥에도 성골이라는 게 존재하긴 하지만, 학부가 sky가 아니어도 훌륭한 연구성과를 내시고 임용이 되는 경우도 적잖게 보았습니다. 윗분이 말씀하셨듯이, 본인이 왜 대학원에 진학하시려는지, 어떤 분야를 연구하고 싶은지 잘 생각해보세요. 그리고 국어학/현대문학/고전문학 어느 쪽으로 공부하고 싶으신지도요. (이건 제 사견이니 걸러들으십시오)말을 아끼겠습니다만 특정 전공의 경우, 오히려 최고라 일컬어지는 대학이 최신 트렌드를 못 따라가는 양상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어느 대학 출신들이 어떤 논문을 내는지 주의깊게 보시기 바랍니다.

2023.01.03

국어국문을 포함한 인문학은 학부 학벌의 중요성이 더 크다고 생각합니다. 예술계나 공학계는 실력으로 그걸 커버하는 경우가 꽤 있는데, 인문학계는 거의 얄짤없습니다.
왜냐면 인문학은 평가가 비정량적이기 때문에 평가가 애매한 학문이라서 그렇습니다. 예술도 그렇지만 예술은 결과물이 너무나 명확하여 사정이 더 낫습니다. 외국의 인문학계같은 경우 유럽 전통의 학자 문화가 워낙 오래되어서 어느정도 원석을 알아보는 시스템이 갖추어졌는데, 한국에는 그런거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자기 실력이 출중한 경우라고 해도 예술게나 공학계처럼 그걸 명백하게 증명하기 힘들기때문에 출신학교나 타이틀에 대한 의존도가 더 심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관련 진짜 전문가가 꿈이라면 재수해서 학부도 서연고 가시고, 대학원도 서연고로 가세요.

2023.02.06

현재 sky 국문과 대학원에 다니고 있습니다. 타대학원 국문과와 큰 차이 없습니다. 껍데기뿐인 학벌 보다는 본인 관심분야에 맞는 대학 진학을 추천드립니다. 자기 실력이 중요합니다. 수능보는데 시간 낭비하지 마시고, 대학 오셔서 책 읽으세요.

대댓글 1개

2024.02.1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인문계는 학벌이 9할인데 뭔소리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