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지거국 아닌 지방국립대 3학년 재학하게 될 학생입니다. 군대도 다녀왔습니다. 복역 당시부터 타대학원 석사 후 취업을 목표하고 있었습니다만 최근에 지도교수님과 상담을 한 이후로부터 박사에 대한 생각을 갖게 되었습니다. 교수님께서 자기는 박사 진학 희망자를 받지는 않지만 저는 학점이 높으니 석사만 하지 말고 박사를 해보는 것이 어떻겠냐?(미국박사) 라고 말씀해주셨습니다. (현재 평점 4.38/4.5, 전공평점 4.44/4.5, 취득 학점 81/140) 물론 저는 석사도 해보지 않았고 학부연구생도 해보지 않았기 때문에 연구가 적성에 맞을지 예측 또한 불가능하기 때문에 결정을 내릴 상태는 아닌 것 같다라고 얘기를 해드렸지만서도 지금은 또 박사진학을 얕게나마 고민중입니다. 제가 석사를 진행하는 이유는 과 특성상 그리고 r&d직이 최소 석사학위를 요구하는 분위기도 있고, 여기 계신 분들이 어떻게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단지 저 나름대로 남들보다 더 나은 사람이 되고 싶은 이유 또한 있습니다. 해서 후자의 까닭이 발전하여 박사학위까지 생각도 해보고 있으며 또한 제가 볼 때 많은 교수님들께서 석박통합으로 들어오는 학생들을 원하시는 걸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쓰다보니 질문 글에 살이 많이 붙었는데 여차여차해서 석박통합과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여쭙고 싶고 또한 유니스트 석박통합과 장래성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도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부모님께 계속해서 경제적지원을 받는 것도 죄송하고 저도 유니스트 지원이 최선이라고 생각해서 유니스트 지원을 목표하고 있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3.01.16
ist 석박통합과 장래성은 당연히 안정적으로 좋구요, 그 중 유니스트는 현재 가장 좋은 폼을 유지하고 있죠.
그런 고민보다 유니스트에 가실 수 있을지가 문제일 듯 합니다
대댓글 1개
2023.01.17
댓글 감사합니다! 유니스트 입학할 수 있도록 더 잘 해야겠네요.
2023.01.16
ist 전전이나 AI 이면 무난히 합격할 것 같고 다른 과는 정문 부술것 같은데요? 주변 선배들은 석박통합을 많이 반대하시긴 합니다. 석사 2년하면 졸업논문을 쓰는데, 그 경험이 정말 중요하고 앞으로 연구를 할지말지 고민하게 되는 시기라고 하더라고요. 그렇게 선택할 시간이 없는 석박통합은 무조건 연구자가 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아니라면 피하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3.01.17
댓글 감사합니다! 제 전공은 아쉽게도 그쪽은 아니고 화학분야입니다. 확실히 석박통합은 장단점이 뚜렷하죠.. 차후 컨택하게 될 시 교수님과 면담을 잘 해봐야겠네요.
2023.01.17
저는 유니 메이저과에 재학중이고 과마다 입시 난이도가 다르겠지만, 유니스트는 교수님들이 대부분 석박통합 지원자만 선발하려고 하고 자대생들이 의무적으로 연구실 생활을 해야 해서 자대생이 석사 및 석박통합으로 많이 진학하기 때문에 일부 비인기랩을 제외하면 석사로 입학하기 어렵습니다. 석박통합 지원이시라면 평타랩 정도까지는 합격 가능성이 있을 것 같으니 열심히 준비해보세요.
사실 석사를 해보기 전엔 본인이 연구가 적성에 맞는지 알기 어려워서 석사 진학 후 박사 진학을 하는게 좋다고 생각하지만, 고민을 많이 해보고 박사까지 무조건 버틸 수 있다! 싶으면 석박통합 지원으로 더 상위 대학원 진학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ist는 연구 인프라가 좋고 경제적 부담이 없어 연구에 매진할 수 있으니 박사까지 하기에 좋은 환경이라고 생각해요.
대댓글 3개
2023.01.17
댓글 감사합니다! 제가 진학 희망하는 분야가 배터리분야는 아니라 메이저과는 아닐 것으로(?) 생각하긴 합니다. 아쉽게도 자대생 비율을 보고 싶지만 전적대는 확인이 불가능하네요.. 하나 여쭙고 싶은 게 석박통합 지원이면 보통 동대학원 내에서 학위를 유지하는 것으로 생각했는데 더 상위 대학원으로 진학이 가능한건가요?
2023.01.17
타 상위 대학원이라고 하더라도 석박통합 진학을 할 수 있습니다. 제가 ist 다니는데 여기는 타대에서 석박통합으로도 많이 옵니다.
2023.01.19
아... 파스칼님 제가 봐도 이해가 안 되게 댓글을 썼던 것 같습니다. 석박통합을 석사와 박사를 각각 다른 대학원에서 하는 게 가능하냐고 여쭤본 거였는데, 지금 보니 완전 말도 안 되는 질문이었네요...
2023.01.18
해외 박사도 고려해보세요.
처음 뚫는 게 힘들지, 유튜브나 CV 쓰는법 설명 잘 나와있고, 국내보다 나아요.
랩실 싸움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것인지, 랩실 싸움이 없는 것인지 잘모르겠으나,
해외 나갈 기력으로 하면, 뭔들 못하겠습니까.
돌아오면 대우도 다르고요. (돌아오지 않는 게 다들 좋다고 합니다만...)
대댓글 3개
2023.01.18
분야 고민 철저히 하시고요,
그러기 위한 학부생 랩실 생활하시고, "리뷰논문(review paper)"도 철저히 읽어보시고요.
2023.01.18
박사 따고, 30대 중반 달리는 사람입니다만,
진심 해외로 가세요.
해외 권유해주신 교수님께 도움받는 것도 좋고,
apply 할 랩실의 교수의 실적 본인이 직접확인하세요.
그게 본인의 실적이 되니깐요. 그게 본인의 명성이 되니깐요. 그게 본인의 월급 등급이 되니깐요.
2023.01.19
좋은 말씀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받은 일을 수행할 때마다 그렇게 잘 수행했다는 생각이 들지 않아서 항상 제 능력에 대해 의심하는 편입니다. 그래서 자존감도 조금 낮고요. 솔직히 제가 취업이나 석사도 잘 해낼런지 계속 의심합니다. 과제를 할 때나 공부를 할 때 매번 근시안적인 접근으로 해결하려고 하고 전략을 전혀 세우지 못합니다. 그래도 말씀해주신 것처럼 한 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 해보고 후회하는 것보단 훨씬 낫겠죠.
2023.01.16
대댓글 1개
2023.01.17
2023.01.16
대댓글 1개
2023.01.17
2023.01.17
대댓글 3개
2023.01.17
2023.01.17
2023.01.19
2023.01.18
대댓글 3개
2023.01.18
2023.01.18
2023.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