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지거국(부,경)을 다니고 있는 학생입니다. 이번년도 4학년이 됩니다. 통계학에 관심을 갖게 되어 대학원 진학을 생각하고 있는데 최근 저희 학교에 임용돼신 교수님들을 보면 자대 출신 교수남이 없더군요. 교수가 되기 위해 연고대 편입을 하는게 맞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8개
IF : 2
2023.02.01
교수가 목표시면 편입 ㄱㄱ
대댓글 2개
대담한 베르너 하이젠버그작성자*
2023.02.01
2년을 날릴만큼 중요할까요…? 고민이 많이 되네요
IF : 2
2023.02.01
아니면 skp석사가고 박사를 유학 가시조
2023.02.01
제 주관적인 견해일뿐입니다. 교수는 박사학위자가 갖는 직장중에서 가장 학부학벌을 많이보기는 함. 하지만 최근에는 본인 실력이 없으면 아예 지원자격자체가 안되기에, 실적이 뒷밤침 될때 학부학벌이 도움이 된다는게 맞는말임. 같은 실적이면, 좋은학부 혹은 좋은대학원(미국/유럽등) 출신을 선호하는건 당연한 이치일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반대로 본인이 잘만하면 어느곳이든지 불러줄겁니다. 참고로 학부가 spk가 아닌이상, 본인학부 출신을 선호하는 대학도 많아지고있기에, 오히려 현시점에서는 본인이 미국탑대학에 가서 좋은실적갖고오면 자대교수 임용에 상당히 유리할수도 있을겁니다.
대댓글 4개
대담한 베르너 하이젠버그작성자*
2023.02.01
서성한 이상 학교에 교수가 되는건 지거국 학벌로서 거의 불가능하겠네요
2023.02.01
현실을 말씀드리면, 서성한 이상 학교에 교수가 되는건 학부가 spk여도 거의 불가능합니다. 쉽게 spk 1년 박사졸업생 대비 spk연고서성한 -ist 에 교직 자리나는 비율 한번 봐보세요. 박사졸업생중 30%는 자대출신일테고, 거기에 해외유수대학출신들, 그리고 각 학교에서 학석박출신들 등 계산해보면 답 나올겁니다. 애초에 본인이 실력이 어나더레벨이거나, 타학교에서 교수하다가 옮기거나, kist와 같은 좋은정출연에 있다가 옮기거나 중 하나입니다. 굳이 말씀드리면 부경 출신 spk교수만해도 꽤많을겁니다.
2023.02.01
교수라는 직장이 본인실력 40%, 운 40%에 학부/대학원간판등 20%정도(그보다 작을수도) 라고 생각됩니다. 본인이 연구중점대학 교수를 목표로한다는걸 굳이 말릴생각은 없지만, 그정도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부단히 노력해야 될겁니다. 그정도 대학에 신임교수로 간 경우는, spk 박사중에서도 정말 눈에 띄는 사람+해외메이저대학 포닥 정도거나, 해외탑대학에서 학위받는 사람일겁니다. 최근 임용된 사람들 출신이랑 실적 한번 훑어보시는것도 좋은방법입니다. 물론 ai와같이 시기운을 잘탔을경우 임용가능성이 좀더 높아졌겠지만, 이제는 그 문조차도 닫혔죠.
2023.02.01
여튼 다른거 다 필요없고, 본인 실력을 갖출생각을 하세요. 어딜 가시든지간에 본인실력있는 사람이면, 첫직장이 학교가 아니더라도 언젠가는 학교에서 부릅니다. 여기는 대학원 준비생들 모인곳이니, 학부/대학원 간판이 전부일거라 생각하지만, 사회나와보면 생각보다 실력갖고 평가받을때가 많습니다. 학부/대학원/인맥 등은 기회를 한두번 정도 더 주는 정도일뿐이지요. 그마저도 인맥은 본인이 잘만하고, 어느정도 사회성만 있으면 사실 저절로 생길겁니다.
IF : 1
2023.02.01
요새 교수되는데 학부 학벌의 중요성이 떨어지곤 있지만 하지만 지거국 수준이면 분명 발목을 잡을겁니다. 학부를 편입하시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아니면 유학 준비 잘 하셔서 박사학위를 미국에서 받으시고 연구 실적이 좋으시면 학벌에 대해서 대부분 문제삼지 않을거에요
대댓글 8개
대담한 베르너 하이젠버그작성자*
2023.02.01
혹시 미국대학 편입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한국에 들어올 생각이면 지거국 학부가 나을까요?
IF : 1
2023.02.01
미국대학 편입은 솔직히 주위에서 한 경우를 못봐서 잘 모르겠습니다. top50정도 안에 들어가는 학교라면 교수되기는 더 좋을 것 같아요. 위 댓글 보니까 서성한 이상 교수도 생각하시는것 같은데, 지거국 학부 학벌로는 솔직히 어려울 것 같습니다. 여기까지 생각하신다면 미국이든 sky든 편입을 도전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옹졸한 쿠르트 괴델*
2023.02.01
T50만 되도 지거국보다 훨씬 낫습니다.
대담한 베르너 하이젠버그작성자*
2023.02.01
제가 나이가 쫌 있어서 그러는데 2년이라는 시간을 다시 대학 다니는게 교수가 되는데는 더 큰 이익이 되겠죠?
IF : 1
2023.02.01
신임 조교수 임용에는 나이도 상당히 중요한 평가요소입니다. 만약 졸업후 대학원 6년 + 포닥 2~3년정도를 마치고 나서 나이가 30대 후반을 넘어가신다면 좀 애매하네요..
대담한 베르너 하이젠버그작성자*
2023.02.01
감사합니다 최대한 빨리 졸업하고 미국박사 유학에 힘 쏟아야겠네요!
IF : 2
2023.02.01
유학 화이팅요
대담한 베르너 하이젠버그작성자*
2023.02.01
혹시 30대 후반 넘어가신다는 말이 후반이상이라는건가요 아님 초과라는 건가요?
2023.02.01
다니시는 학교 교수목표로 준비하시면되죠 지금 4학년인데 2년 버리는 것은 좀..
대댓글 1개
IF : 2
2023.02.01
부경도 부경 학부 출신이 교수 하기 힘들죠
2023.02.01
가능하면 skp 아님 최소 ist급에서 석사하신 후 박사 유학 추천드려요~
대댓글 1개
대담한 베르너 하이젠버그작성자*
2023.02.01
고대 정도면 메리트가 적을까요?
2023.02.01
글쓰신분의 걱정은 이해합니다만, 어떤 선택을 하던지 교수가 되는 것에 큰 차이는 없습니다. 연고대 편입 난이도 보다, 대학원 다니시면서 상위 1%급 연구 성과를 내는 것이 훨씬 어렵습니다. 학부공부를 완벽하게 하시고, 연구실 인턴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대댓글 1개
대담한 베르너 하이젠버그작성자*
2023.02.01
감사합니다!!
엉뚱한 존 내시*
2023.02.02
SKP학부 들어가는거보다 한국에서 교수되는거 (서성한말고 지방대 이공계 교수되는거 조차) 난이도 비교하면 후자가 훨씬 높음. SKP학부야 수능 상위 1%면 가능하지만 지방대 끝자락 교수라도 될라면 한국국적 (국내박사뿐 아니라 해외박사, 해외포닥들 포함함을 의미함) 박사학위자 중에 상위 1~5%정도가 최소요건임. 대학원시절~포닥시절 실적이 탑티어 일때 교수지원이 의미가 있는것이고 그때 학부'도' 좋다면 가능성이 더 있는것이지 교수가 되고싶다고 편입해서 학부올리는건 굉장히 비효율적인 것임. 비유하자면 초등학생이 수능 잘보겠다고 초등학교를 좋은곳으로 옮기는것이랄까.. 학부가 좋은게 영향이 없다고는 못해도 어차피 교수될 인재는 스스로 학위과정 중에 본인이 인지하게됨. 석사를 해보고 그런 느낌이 오면 박사를 좋은곳 도전하고 박사에서도 본인이 뛰어난 실적을 낸다면 그때 교수를 생각하는거지 학부연구생조차 안해본 시점에서 교수가 되겠다고 편입하는건 어불성설임.
넉살좋은 피보나치*
2023.02.02
연구 실적이 아무리 뛰어나도 출신 학부 때문에 교수되는데 지장이 생길 수 있고, 그 때문에 교수가 되고 싶으면 학부를 옮겨야 한다는 거 자체가 참 웃긴 얘기
2023.02.02
논문등의 실적을 제외하고 굳이 따지자면 출신 학부보다 출신 대학원(랩)을 훨씬 더 많이 봅니다. 그리고 인적 네트워크가 매우매우 중요합니다.
2023.02.04
학부는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대학원에서 논문 수로 승부보세요. 저도 했으니, 할 수 있습니다. 퐈이링하세요!!
2023.10.12
실적 》 해외 경험 > 학부 순서 인거 같습니다. 실적은 받쳐주되 해외경험 있나없냐 (해외박사>해외포닥)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것 같아요. 학부는 물론 꼬리표가 따라다닙다. 근데 그것도 실적이 애매할때가(이 애매는, 우수하지만 최우수는 아니라는거지 교수직 지원이 가능할지말지의 애매함이 아닙니다) 그렇지 실적이 매우 우수한경우 크게 중요치 않을것 같습니다. 주변에 지방 학부 자대에 떨어지고 수도권 5위 이내 교수임용된 분도봤어요
2023.02.01
대댓글 2개
2023.02.01
2023.02.01
2023.02.01
대댓글 4개
2023.02.01
2023.02.01
2023.02.01
2023.02.01
2023.02.01
대댓글 8개
2023.02.01
2023.02.01
2023.02.01
2023.02.01
2023.02.01
2023.02.01
2023.02.01
2023.02.01
2023.02.01
대댓글 1개
2023.02.01
2023.02.01
대댓글 1개
2023.02.01
2023.02.01
대댓글 1개
2023.02.01
2023.02.02
2023.02.02
2023.02.02
2023.02.04
2023.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