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랩실의 모든게 마음에 드는데, 만약

2023.02.08

20

2844


학교도 마음에 들고, 인원도 많고, 국책 사업도 여러 개 수행중이며,
연구 주제도 적성에 잘 맞을 것 같고, 연구실 한줄 평 보니 인품도 좋다고 하시며,
학생분들에게 지도도 잘 해주신다고 하는데,
교수님의 논문 실적이 다른 교수님들에 비해 좀 현저히 부족하신 편인 경우,


그 연구실 진학을 다시 고려하실 건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0개

2023.02.08

논문은 본인이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선배들 실적은 본인 실적이 아니에요

대댓글 3개

달리는 빌헬름 뢴트겐*

2023.02.08

선배들이 아니라 교수님 논문 실적이 다른 교수에 비해 현저히 부족하다고 합니다.
깐깐한 존 스튜어트 밀*

2023.02.08

아닙니다. 글쓴이님이 천재가 아닌 이상 님 실적이 얼추 선배들 실적을 따라갑니다. 예를들어 네이처, 사이언스를 한번도 쓴 적이 없는 랩이라면 님이 아무리 열심히 해도 네이처를 낼 확률은 0에 가깝습니다.

2023.02.09

연구 해보면 아시겠지만, 본인이 독립적인 펀드 가지고 있어서 눈치 덜보는 포닥이라 하더라도 그 랩의 평균을 크게 뛰어넘는 실적을 내기란 대단히 어렵습니다. 랩에서 사용하는 장비, 교수 및 랩 인원들이 공유하는 데이터 분석 노하우 (좋은 데이터 얻고도 제대로 된 해석이 안되서 삽질만 하다 기회 놓치는 경우 허다함, 개인 단위가 아니라 랩 단위에서), PI 의 경험 및 동기부여, PI 의 학계에서의 명성 등등이 개인의 의지나 실력보다 좋은 실적을 내는데 더 중요하게 작용하는 경우가 많아요. 그냥 열심히만 한다고 좋은 논문이 나오는 건 절대 아닙니다.

IF : 5

2023.02.08

회사 운영하는 냄새가 나는데.....

대댓글 3개

2023.02.08

그 연구실이요..?

IF : 5

2023.02.08


일단 글에 대한 답변은, 석사 선배들 취업 괜찮게 한다는 전제 하에 석사만 하고 나갈거면 아무 상관없어요
회사 운영....하는 랩도 졸업만 잘하면 그나마 석사론 괜찮지만 그닥 추천하고 싶진....

2023.02.08

아아 답변 감사드립니다! 혹시 회사 운영하는 랩실인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자상한 존 폰 노이만

IF : 1

2023.02.08

교수님 실적은 중요한게 아니라서...
졸업생들이 좋은 직장을 갔는지.
박사 졸업생이 1년에 주저자 몇 편을 써내는지.
이정도만 보면 될듯함. 좋은 직장을 갔으나 학생들의 논문 실적이 부족해 보이면... 그냥 논문이 부족하나 역량은 좋다고 생각해도 될듯

대댓글 1개

2023.02.08

오호 답변 감사합니다!

2023.02.08

교수 논문 실적이 안좋은데 학생 논문 실적이 좋을 수가 있나요? 석사만 할꺼면 고민해보고, 박사면 안 갑니다.
학계를 목표로 하는데 박사 졸업 때 논문 실적 없으면 다른 모든 요소가 갖춰져도 그거 하나 때문에 목표를 바꿔야할 수도 있습니다.

대댓글 1개

2023.02.08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잘 고려해야겠네요ㅜ
속편한 제임스 맥스웰*

2023.02.08

석사진학 (박사진학고려 0%라는 가정하에)은 논문실적 고려안해도 됨. 펀딩규모랑 졸업생들 취업현황이 중요.

박사진학은 교수가 지도학생과 만든 논문실적이 제일 중요함

대댓글 1개

2023.02.08

답변 감사드립니다 ㅠㅜ 좀 더 생각해봐야겠네용 ㅜ
엉뚱한 아이작 뉴턴*

2023.02.08

많이 얘기가 나오는 부분이지만 논문이 엄청 잘나오는 그룹도 확인해보면 몇명에 몰려있는 경우가 많거나
절대적인 학생수가 많거나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연구실 실적이 좋다고 본인이 가서 잘나올거란 공식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거죠
(확인시 모든 학생이 1년에 1편이상 나온다면 아니겠지만, 이런연구실 드뭄)

박사까지 하는 경우라도 주저자로 2~3편 이상이면 해외에서 포닥할 수 있고, 여기서 실적 잘 내면 교수도 됩니다.
연구실이 영향이 없다고는 못하나, 절대적으로 맹신할 것도 되진 않습니다

대댓글 4개

2023.02.09

몇명에 몰려있는 경우가 많거나 절대적인 학생수가 많거나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연구실 실적이 좋다고 본인이 가서 잘나올거란 공식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거죠
- 이건 맞아요. 그 부분도 꼼꼼히 확인할 수 있으면 좋지요.
대학원생이 골고루 주저자로 내는 랩, 인원수 대비해도 논문 실적이 좋은 랩은 베스트입니다.

연구실 실적이 좋다고 본인이 가서 잘나올거란 공식의 성립은 100%가 아닐 수도 있지요.
근데 반대로 연구실 실적이 안좋은데 본인이 잘해서 실적이 잘나올꺼라는 공식은 0에 수렴합니다.
논문 내는데 랩과 지도교수 영향이 절대적이라는 부분은 명백합니다.
특히 포닥이 아니라 이제 갓 입학하는 대학원생의 경우는요.
엉뚱한 아이작 뉴턴*

2023.02.09

아시겠지만 댓글은 "실적 많이 나오는 연구실이라고 반드시 본인이 잘 나올거라는 장담은 없다" 를 얘기하고있으며

실적 없는 연구실을 가라고 얘기하고있진 않습니다. 언급도 안했구요

요약하면 결국 실적이 잘나온다고 해서 일단 머리 들이밀지 말고, 박사과정(~5년)동안 2~3편이라도 나오면 된다는 얘깁니다.

2023.02.09

댓글이 무슨 내용인지는 이해했고 그 내용 자체에 대해서는 일부 동의도 했습니다.

하지만
아시겠지만 본 글의 질문 내용은 논문 실적이 안좋은 방에 가는 것에 대한 질문입니다.
거기에다 '실적 많이 나오는 연구실이라고 반드시 본인이 잘 나올거라는 장담은 없다' 라고 댓글을 다시면
그럼 실적이 안좋아도 가라는 의미인가 라고 생각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것 아닌가요?
오히려 실적이 잘나온다고 해서 일단 머리 들이밀으라고까지 한 댓글은 없는데요.
실적만 잘 나오는 랩인데 가도 괜찮은가요 라는 원글이었다면 이해가 갑니다만.
엉뚱한 아이작 뉴턴*

2023.02.09

다른 교수님들에 비해 실적이 현저히 부족하다고는 했으나,
저는 그 연구실에 대학원생 풀과 실제로 게재된 논문의 수준 및 개수를 모릅니다.

이 상황에서 반드시 실적이 잘 나오는 연구실이라고 본인이 잘 될 장담 없고
5~6년 일하면서 2~3편 게재하더라도 문제될 게 없으니 확인을 해보라는 얘깁니다.
당장 제 주변 그룹도 석박통 4명 굴리고 인당 평균 2년에 한정도 나오는데 JACS angew nat comm 나옵니다.
그룹으로 보면 1년에 2~3편 나오는데 여기가 망한 그룹이겠습니까?

질문자가 논문수준까지 파악하고 얘기한거라면 문제없고 다행이겠지만, 그것도 모르니 원론적인 답변을 한거고
글쎄요, 질문과 제 답변을 다시 읽어봤지만 이게 왜 실적없는 연구실로 가라는 흑백논리가 되는진 이해가 안되네요

2023.02.09

단순 논문 갯수가 중요한게 아니라
그 랩 학생이 제1저자 (통상 맨 앞에 오는 저자) 경우에 따라 공동 제 1저자 (맨 앞은 아니나, 맨 앞 저자와 함께 이 저자들은 논문에 동등하게 기여하였다라는 코멘트가 붙음) 또는 교수가 교신저자 (보통 맨 뒤에 적힘, 그리고 논문에 마크와 함께 이메일이 적힘) 로 참여한 논문이 몇편인지가 훨씬 더 중요합니다. 구글 스칼라나 홈페이지 보면서 이에 해당하는 논문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하고 대강 5년치 수를 학생수로 나눈 실적이 본인이 진학했을 때 논문 실적의 기댓값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개인적으로 연구실 고를 때 제일 중요한게 1) 교수 인성이고 그 다음이 2) 랩 연구실적 이라고 생각합니다. 학교 이름이니 과제 많으니 인건비 (물론 최소 기준은 넘겨야함, 학비 + 빠듯한 생활비 정도면 적당하다고 생각) 이런것들은 전부 부차적인거죠. 랩 평균 실적을 계산해봤는데도 실망스럽다면, 진지하게 진학을 다시 고려해보는것을 추천합니다. (다만 항상 명심할 것은 지도교수 인성이 먼저입니다. 괴수 밑으로는 들어가지 마세요)

물론 학계에 남는게 목적이 아니라면, alumni 가 어디 취업했는지 이런게 더 중요할 수도 있겠네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