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양자역학, 퀀텀 센싱 관련 이론 공부

2023.03.16

7

1090

안녕하세요 김박사넷에서는 처음 글을 작성해봅니다.
이번에 대학원 입학하고 다이아몬드 NV 센터 퀀텀 센싱 관련하여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원래 전공이 물리학, 자연과학과는 거리가 있어서 그런지 실험 방법과 결과 분석 정도만 겉핥기로 이해하고 리뷰 논문의 이론적 설명조차 거의 이해가 안됩니다. (해밀토니언은 뭔지, 중첩된 전자의 파동함수는 뭔지...)

학부 단계에서 배우는 이론부터 공부해야 될 것 같아서 이것저것 찾아보고 있습니다만
Qubit, Bloch sphere, Coherence time 등이 반복해서 언급되어 찾아보는데 설명된 문서들도 이해가 어려운 수식 표현들로 되어 있었습니다.

연구실에 관련 연구를 하는 선배님이 안계셔서 기본적인 전자기학, 광학 정도만 아는 상태에서 논문 공부가 가능한 수준까지 가려면 시작을 학부 과목 분류 기준으로 양자역학 부분 전체를 공부하면 되는 건지, 딱 연계되는 이론 부분이 정해져 있는건지 여쭤봅니다.
양자화학, 입자물리학 등 이름을 가진 전공서적 및 과목도 많고, 챕터 제목만 보고서는 어떤 내용인지 잘 모를 정도로 현재 지식이 얕은지라 길이 잘 안보이는 느낌입니다 ㅜㅜ

혹시 관련하여 조언주시면 큰 도움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이기적인 닐스 보어*

2023.03.16

그냥 그라피스 퀀텀책 보셔야할듯..
즐거운 피터 힉스*

2023.03.17

너무 기초가 안되어 있으신듯한데.. 마치 ㄱ,ㄴ,ㄷ이 뭔지 모르는데 한글 책을 읽으려고 하시는거 같아요. 학부 양자1,2 일단 다 보시고 필요하면 수리물리 현대물리 전자기학 정도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기적인 스티븐 호킹*

2023.03.17

위 댓과 동일의견임.

뭘 모르는지를 알면 그 부분 설명을해주는건 가능하겠으나
지금 본인이 뭘 모르는지도 모르는 상황인것같은데 그럼 기초부터 시작하는수밖에 없음. 다 읽으셈

2023.03.17

말씀들 감사합니다. 어느 부분을 봐야한다 거를 단계가 아니었군요. 학부 양자 부분 전체를 공부해보고 지금 뭘 모르는지라도 알게되면 다시 고민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03.17

Shanker 나 Sakurai 레벨로 양자역학 공부하시고, 물론 선형대수학은 당연히 할 줄 안다는 가정하에, quantum info 인트로 레벨 책 아무거나 골라서 공부하시면 됩니다.
그보다 해밀토니안에 심지어 파동함수도 뭔지 모르신다면 물리 백그라운드가 아예 없으신 것 같은데 NV센터 연구에는 대체 어떻게 들어가게 되신건지???

대댓글 2개

즐거운 피터 힉스*

2023.03.17

샹카, 사쿠라이 둘 다 이분께는 좀 어려울 수 있을거 같아요. 가시오로비츠나 그리피스 추천합니다.

2023.03.22

말씀 감사합니다. 그리피스 양자역학으로 공부하면서 물리수학, 전자기학 중 헷갈리는 부분 있으면 같이 보려고 하고 있습니다.
물리랑 거리가 먼 공대생이었는데 연구실이 센싱 관련 랩이라 랩 메인 주제라기보다는 교수님이 한번 알아보라고 시키셔서 ㅜㅜ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