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IEEE ACCESS 수준

2023.03.17

21

17837

Computer Architecture 분야 제가 2저자로 들어갈 떠도는 논문이 있는데, 무능한 1저자인 선배한테 IEEE ACCESS 내라고 조언해줬는데 여기 수준이 그렇게 별론가요?
(참고로 저는 석사졸업생이고, 이 논문의 아이디어부터 실험까지 제가 거의 전부다 했는데, 교수님이 박사 밀어주는 성향땜에 무능한 선배한테 이 논문 1저자 줬습니다. 이 논문이 작년부터 계속 떨어져서 교수님께서 실적때문에 한번만 더 떨어지면 SCI 아닌 곳에 낸다고 하셨습니다.)
혹시 MDPI 제외한 SCI 중에 가장 쉬운 곳 있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1개

2023.03.17

access가 제일 쉽죠 거의
구색만 맞추면 됩니다.

대댓글 6개

2023.03.17

이미 제가 후속 연구로 진행한 타논문이 publish될 예정이라, 문제가 있는 논문이긴 합니다.
이거 피할려고 논문에 따로 refer 안 달을 예정이라는데, ACCESS가 깐깐하게 보지는 않겠죠?
(제 논문보다 나은 점이 없어서 걸리면 바로 이 한방으로 reject 당할 것 같습니다.)

2023.03.17

리젝을 떠나서 연구윤리에 어긋난 행위로 보이는데요.
내용이 중복된다면 표절이고 아니라고 해도 의도적으로 더 나은 기존 일과 비교를 피하는건 윤리적이지 못합니다.

2023.03.17

그쵸?.. 교수님이 애초에 SCI로 인정 안 해주는 학회에 내라고 했는데, 능력도 없는데 욕심만 많아서 마지막으로 한 번만 더 도전한다고 하더라구요 ㅋㅋㅋ 선배라서 막말 못하니까 하고 싶은대로 하라 해야겠네요

IF : 5

2023.03.17

큰 착각하는게 있는데 님도 저자예요. 알아서 하라는게 아니라 다 알아서 해도 레퍼런스만은 똑바로 달라고 조언하는 편이 서로 낫습니다.

2023.03.17

당연히 저는 그렇게 말했죠.. 연구윤리에 어긋나는거 무엇보다 싫은데 1저자 본인이 계속 편법 쓰려고 하니 답답할 뿐입니다.

2023.03.19

연구윤리에서 벗어난거 한 번이라도 적발되면 이 바닥에 발 못 붙입니다. 제가 글쓴이라면 어떻게든 그 논문 저자에서 빠질 것 같습니다. 빠지겠다는 의사표명의 증거를 남기기 위해서 논문의 모든 저자들 (1저자, 교수 등)을 모두 참조하여 이메일로 명확하게 "이 논문 저자에서 빠지겠다"고 표명하겠습니다. 지금 글쓴이님도 별일 아닌 것 처럼 생각하고 계신 것 같은데, 상당히 위험한 상황이고, 평생의 약점이 잡힐 수 있는 상황입니다. 연구실 나가거나 교수님 옮길 것 생각하더라도 저자에서 빠지는게 이득인 것으로 보입니다.
상처받은 리처드 파인만

IF : 1

2023.03.17

ㅋㅋㅋㅋㅋㅋㅋ 선조언 후질문은 뭐지
본인이 능력되면 1저자로 쓰지그래

대댓글 1개

2023.03.17

그거 때문에 교수하고 오지게 말싸움 했지 너가 나중에 회사 가도 이런 일 많을텐데 이해하라면서 ㅋㅋㅋ 그래서 1저자 선배 논문 writing 시작한 시점에서 나도 빡쳐서 바로 후속연구 진행해서 작년 11월에 accept됐음

2023.03.17

일단 후속 존재알면 재제출 불가한 칼리젝이던지 이거랑 비교해보라고 할거 같고요. (access는 바이너리 리뷰라 리비전 들어오면 일단 리젝)

근데 사실 후속을 어디 내셨는지 모르겠지만.. 탑 저널에 된거 아니면 모를 확률이 높긴높죠..

대댓글 3개

2023.03.17

CS분야는 저널보다 컨퍼런스를 더 쳐줘서 탑 컨퍼런스 accept됐음. 리뷰어가 해당 연구분야 전문가면 무조건 알 수 있을거 같아요.

2023.03.18

컨퍼랑 저널이랑 Reviwer/Committee 풀이 많이 달라요. 탑컨퍼 커미티들은 ACCESS 수준의 저널 리뷰는 거절합니다. ISCA/MICRO 급에서도 주목 받는 Micro Top Pick급 페이퍼가 아니라면, 솔직히 리뷰어들은 모를 가능성이 훨씬 더 클것 같네요.

2023.03.18

Reviewer*
바보같은 노엄 촘스키*

2023.03.17

리뷰어 네명정도 붙는데 대가들도 있어요. 저 논문 냈을 때 레퍼런스 까지 꼼꼼히 확인하더라구요.
만만하게 볼 저널 아닌듯
산만한 존 롤스*

2023.03.17

그냥 쉬운 저널 어디냐고 물어보면 될것을 선배의 무능함을 애써 강조하는 티가 나는데 아이디어도 본인이 내고 실험도 본인이 했다면 본인이 무능한거 아닌지?
사려깊은 카를 마르크스*

2023.03.18

교수가 알아서 하는거지

2023.03.18

윗분들의 말에 공감하지만, 글쓴이도 뭐 사정이 있었겠거니 하겠습니다. 물론 저라면 아예 저자에서 이름 빼달라고 하거나, 지금 accept된 것과 비교해 novelty가 부족해서 추가로 실험해야 한다고 할거 같네요. 음 access 수준을 물어보니 답해드리자면, 저희 연구실에서는 하다가 성능이나 novelty적으로 부족해서 망한 프로젝트 덤핑하는 용도로 쓰입니다~

2023.03.19

MDPI 급으로 취급 받아요

대댓글 1개

2023.09.22

개소리

2023.03.19

저는 마이너 리비젼 후 리젝 당했었는데 리뷰어 바뀌면 노답입니다

2023.11.27

각 분야별로 편차가 큰 저널지라, 시간적 여유가 된다면 상위 저널에 내보는게 좋죠. 통신쪽은 Trans.에서 리젝되면서 letter로 제출해라하면 Trans 계열의 letter 형태로(7장) 제출을 해야되는데, Full paper를 가지고 싶으면 IEEE ACCESS 말고는 엘스비어로 가야합니다. 따라서 각 분야별로 IEEE ACCESS는 참으로 폭이 넓어서, 시간적 여유가 되면 탑저널에 써보고, 결과에 따라 내려와도 됩니다.참고로 통신분야든, 영상처리 분야든 DL/AI 분야는 IEEE ACCESS는 현재까지도 심각할 정도의 수준으로 리뷰어 코멘트랑 수준이 떨어지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에, 분야별로 확인 잘하셔서 쓰셔야합니다. 괜히 잘못했다가는 퀄리티 저급한 논문들과 한통속으로 엮일 수가있으니...IEEE 붙어있기때문에 그래도 어느정도 퀄리티 관리는 하지만, 동일 분야 분들은 다 압니다. 우리쪽은 IEEE ACCESS는 완전 별로다. 우리쪽은 괜찮다 등, 각 분야에서 왜 그렇게 평가받는지는 연구자 본인이 가장 잘 아실껍니다. 저는 letter로 내기엔 너무 아까워, 후속논문만 정통 letter로 제출하고, IEEE ACCESS에 개재시켰습니다. 아까웠지만, 취업과 면접 실적 후속논문 등 모든 상황을 고려했을때, 최선의 선택이었다 생각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