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창시절 정신적, 신체적 건강 문제로 23살에 인서울 중상위권 대학에 입학했습니다. 나이상으로 4수생인데 재수공부, 삼수공부 이런걸 하지는 않았구요.
군복무를 마치고 졸업하면 29살인데 학사 학벌은 평생 꼬리표로 따라다닌다고도해서 졸업후 sky 학사편입을 해볼까 생각중입니다.
학사편입 후 석사를 마치면 33살, 박사까지 가면 아무리 빨라도 30대 극후반이 되어서야 졸업이 가능할 것 같은데 너무 늦은걸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6개
2023.03.19
80살에 배움의 한을 풀기위해 수능을보는 사람도 있읍니다 빠르고늦음은 상대적인게 아닐까요?
대댓글 1개
이기적인 어니스트 헤밍웨이*
2023.03.19
80살은 어차피 할게 없는 나이고. 30살은 이제 먹고 살길 찾아야 하는 나이라. 좀 상황이 다릅니다. 현실을 직시하여야 할 나이
2023.03.1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빈말은 안하겠음. 늦은 건 맞음. 그래도 응원합니다
2023.03.19
저희 연구실엔 40살에 박사과정 입학하신 분도 계셔요.. 빠르진 않지만 못 할 건 아닌 것 같아요
2023.03.19
인서울 중상위권이 맞나요? 맞다면 학사학위 받고 더 좋은 대학원가서 박사전문연하면 될 것 같은데요?? 꼬리표 얘기하실거면 수능을 다시 쳐야지 싶네요 학사편입으로 시간낭비할바에야..
대댓글 1개
속편한 니콜라 테슬라작성자*
2023.03.19
중경외시중 한곳입니다. 지금은 중상위권이 아닐수도 있겠네요. 학사편입이 시간낭비인가요? 학부편입에 대한 시선이나 평판도 잘 모릅니다. 다만 현 상황에서 학부 스펙을 올릴수있는 유일한 방법같아서 질문드린건데 의미 없을까요?
이기적인 어니스트 헤밍웨이*
2023.03.19
궂이 박사를 하고 싶은 이유가. 그리고 편입도 2학년 마치고 하는게.
대댓글 2개
속편한 니콜라 테슬라작성자*
2023.03.19
지금 4학년입니다. 학업에 뜻이있어서 그렇습니다.
이기적인 어니스트 헤밍웨이*
2023.03.19
공부는 꼭 대학원에서만 하는 건 아닙니다. 내가 봐선 석사 정도 하고 회사를 좀 연구도 같에 할수 있는 곳 정도로 잡는게 현실 적입니다. 학벌이나 실적이 약한데 가방끈만 너무 길고 나이까지 많으면 나중에 골치 아픈상황이 발생합니다.
2023.03.19
학사 편입대신 바로 대학원 가셔도 되지 않을까요? 저는 지방대 학사 - spk 석박 - 해외 기업 - 연구중심대학 임용으로 교수 됐습니다. 너무 학벌 때문에 미리 겁먹으실 필요 없는것 같아요.
2023.03.19
네 경력도 딱히 없는데 30대후반에 졸업하면 늦죠 많이..
2023.03.20
저는 회사 2년반 다니다 대학원 진학했지만 졸업할때 서른아홉이였네요. 선배들보면 40대에 졸업하시는 분들 꽤 있습니다
2023.03.20
집안만 좋다면,,
2023.03.20
일단 목표 대학, 목표 분야에서 연구실 참관도 해보고 학부수업 청강도 해보세요. 교수님께 메일 드리면 허락해 주시는 분도 있습니다. 직접 경험해 봐야 본인에게 맞는 판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2023.03.20
전 사십다됏는데 졸업못했어요
2023.03.20
늦은 건 맞아요. 그걸로 돈 벌 생각 한다면 정말 늦은 거고, 그럴 필요가 없다 싶을 정도의 환경과 마음이라면 하셔야죠.
2023.03.20
늦기는 합니다. 다만 제가 알던 형님들도 39,40에 졸업했는데 지금은 다들 자리 잡고 잘 살고 있습니다. 옆에서 지켜보니 물론 그 과정이 힘들긴해요.
2023.03.20
편입생이라 글을 하나 남기는데 전 할거면 재수가 좋다봅니다. 지금 편입이 재수보다 경쟁률 빡세고 꼬리표에 편입이 붙는거긴합니다. 하지만 2년을 줄일 수 있어서 나이를 선택한다면 편입도 좋아보이십니다. 어떤 선택을 하시든 응원하겠습니다.
2023.03.21
KY 학부 SKP 박사 졸업 후 미국에서 포닥중입니다.중경외시 이하의 학부출신도 주요 대학에서 교수를 하거나 해외대학 교수를 하거나 주요 대기업 연구직에서 잘 하고 계신분들 제법 많습니다. 학부학벌이 평생 따라다닌다는건 그냥 따라다니는것 뿐이지 인생에 결정적인 도움을 주지는 않습니다. 학업에 뜻이 있어서 대학원 진학을 고려하신다면 학벌에 대한 자격지심은 빠르게 떨쳐내시고 연구로 성과를 내시길 바래요. 저는 나름대로 좋은 학부 나왔지만 저보다 낮은 학부-대학원 출신들이 저보다 더 좋은 연구를 발표하거나 더 빨리 임용되는걸 보면 오히려 더 자격지심 생기던데요? 학벌은 그것밖에 내세울게 없는 사람들이 목매는거지 나이 먹을수록 정말 아무것도 아니었구나 라고 느끼게 됩니다. 앞날에 좋은 성과가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건강한 아르키메데스*
2023.03.21
한국은 학부/나이 중시 문화 때문에 오히려 연구 경쟁력이 떨어지는 것 같음.
언짢은 아담 스미스*
2023.03.21
박사 따시면 어차피 학부 꼬리표는 희석됩니다. 굳이 학사를 다시 하실 이유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뭐 로스쿨 같은 거 가실 생각이면 모를까요. 그리고 뭐 흔한 케이스야 당연 아니겠지만 30후반에 박사 따는게 마냥 늦는 건 아니라고도 생각합니다. 40 넘어서도 박사 따러 다니시는 분들도 종종 계신데요뭐. 뭘 하시든 응원합니다.
2023.03.21
한국사회에서 그놈의 속도...
2023.03.22
신경쓰지 마세요^^ 해보고싶으신게 있으면 못할건 뭔가요. 응원합니다
2023.03.26
박사시고 실력만있다면 학벌이 꼬리표처럼 따라다닐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2023.04.01
23살 안 늦었어요. 요즘 의대 간다고 수능 여러번 보는 경우 흔하잖아요. 인서울 중상위권이면 그냥 대학원 가세요.
2023.03.19
대댓글 1개
2023.03.19
2023.03.19
2023.03.19
2023.03.19
대댓글 1개
2023.03.19
2023.03.19
대댓글 2개
2023.03.19
2023.03.19
2023.03.19
2023.03.19
2023.03.20
2023.03.20
2023.03.20
2023.03.20
2023.03.20
2023.03.20
2023.03.20
2023.03.21
2023.03.21
2023.03.21
2023.03.21
2023.03.22
2023.03.26
2023.04.01
2023.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