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랩실에 계속 앉아만 있으니, 허리도 아프고 무기력해지는거 같아서 자세 교정할 겸 운동 시작했는데 나름 땀도 빼고 알차게 사는 느낌 들어서 요새 출퇴근 전후로 한시간 정도씩 간단하게 헬스장 들릅니다.
저도 헬린이라 이유나 원리는 자세하게 모르는데, 이것저것 블로그, 유튜브, 헬스 관련 서적 읽으면서 가장 공통적으로 얘기하는 운동 루틴을 정리해봤습니다.
3분할 운동법입니다. 월 목은 가슴과 삼두 운동, 화 금은 등과 이두 운동, 수 토는 하체와 어깨 운동 하고, 일요일은 그냥 조깅하던가 쉬세요.
3분할 하는 이유는 대근육 소근육 나눠서 해야 효율적이래요. 이유는 묻지말고, 이 3분할 루틴이 헬린이 기준 국!룰!입니다.
가슴 운동은 체스트 프레스, 삼두 운동은 케이블 다운, 등 운동은 랫풀다운, 이두 운동은 케이블 컬, 하체 운동은 레그 프레스, 어깨 운동은 숄더 프레스 하세요. 머신 운동이 자세도 잘 잡아주고, 부상 위험도 적습니다. (3대 운동에 비해 인기도 없어서 경쟁이 별로 없어요.)
여튼 저는 이제 도착해서 득근하러 가볼게요. 오래 앉아서 일하는 분들 동네 헬스장 한번 가보셔요. 몸 좋아지는건 아직 모르겠는데 정신 건강에는 확실히 도움되는듯?
저 헬린이니까 태클 마음껏 걸어주세요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3.06.01
머신 운동이 자세를 잘 잡아주는 것은 맞는데 덤벨로 하는 거에 비해서 근육이 안 커진다는 비디오를 봤거든요. 그 이유는 뭘까요?
대댓글 1개
2023.06.02
머신 운동은 덤벨 또는 바벨 운동에 비해 몸 전체적인(코어) 근육들의 활성도가 떨어질뿐더러, 머신의 궤적이 비교적 일정하게 움직이고 복합적인 관절의 움직임을 가져가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점을 역으로 이용하여 특정 부위만을 키우고 싶다면 오히려 타 근육의 활성도를 떨어트리고 해당 부위에 더 집중하면서 운동하면 오히려 더 효과적인 근비대가 이루어질 수도 있습니다.
이는 일반적인 사항일 뿐이고, 사실 사람마다 본인에게 맞는 운동법이 모두 다르기에 단관절 운동(머신 운동)과 다관절 운동(덤벨 또는 바벨)을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식이라고 생각합니다.
2023.06.02
전 무산소 헬스보다는 유산소 주로 하면서 체력 관리하고 있어요. 평일 시간 남을 때 강 따라 런닝 뛰고, 주말에는 등산 혹은 자전거로 체력 관리하는 것도 괜찮더라구요.
대댓글 1개
2023.06.02
유산소가 그닥 재미?는 없지만 체력 늘리는 데는 좋죠!! 굿
2023.06.02
일단 헬스장에 가서 운동을 하는 것 만으로도 대단하십니다..
글에 쓰신 것 처럼3분할이던 무분할이던 헬린이 시절에는 자신에게 맞는 운동 방법을 찾아가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한 말씀만 올리자면, 계속 운동을 할 계획이시라면 반드시 소위 3대 운동으로 불리는 벤치프레스, 데드리프트, (중량)스쿼트를 배워서 병행 하시길 권해드립니다.
개인적으로는 3대 운동에 밀리터리 프레스와 (어시스트 말고 맨몸으로)풀업까지 도전해 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023.06.01
대댓글 1개
2023.06.02
2023.06.02
대댓글 1개
2023.06.02
2023.06.02
2023.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