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김박사넷 글보면서 자신감을 갖는다

Ayn Rand*

2020.06.20

25

11732

생각보다 대학원을 열정과 호기심때문에 가는 사람이 별로 없구나라고 깨닫게 됨... 과고, 학부 서포카 애들도 미래 바라보고 가는 경우가 허다하고 그래서 모순적으로 의대와 비교질... 다른 삶과 비교질... 부모가 공부하라고 과고보내서 스트레스받아가며 대학원 진학한 친구들이 여긴 많은가봄

우리의 삶이 예술하는 사람들이나 운동하는 사람들이나 노가다하는 사람들이나 등등보다 나을꺼라 생각하나? 나는 그저 내가 연구하면서 가장 행복할 것 같으니까 진학하는건데

난 진짜 공부가 좋고 뭔가 발견해보고 싶은 열정이 가득한데 이런면에선 내가 경쟁력은 있겠구나 생각이 되는규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5개

James Franck*

2020.06.20

ㅎㅇㅌ
Carl Friedrich Gauss*

2020.06.20

어딜가나 여러 부류의 사람이 있는거니깐

2020.06.20

ㅇㄱㄹㅇ
Michael Servetus*

2020.06.20

ㅋㅋㅋㅋ 웃긴게 열정과 호기심 넘치는 사람들은 대학 전에 다 걸러짐. 교수님한테 교수님도 잘모르는 질문하거나 교수님한테는 쓸데없어 보이는 질문해서 학점 불이익 받고 대학원까지 올라오기도 힘들어짐. 대학원을 순전히 열정과 호기심 때문에 가려면 초중고부터도 순수하게 열정과 호기심만 가지고도 버틸 수 있도록 지원해줬어야지 ㅋㅋ 세상이 만만하지 않은데 어쩌겠음

2020.06.20

어떤학교에서 쓸데없는 질문이라는 이유로 감점을...??;;:

2020.06.20

그래도 포기하지 않으면 됨. 그저 그 위치에서 할 수 있는 걸 해야지. 나도 어릴때 부터 과학자가 되고자 했다.

그러나 나는 다른 사람이 열정이 없고 학문의 순수성이 부족하고 취업이 목표인 사람들이 많다고 하여 자신감을 얻지 않는다. 남과 비교해서 얻는 자신감은 앞서 말한 자신과 비슷하면서도 뛰어난 부류나 순수하지 않은 이들보다 못할 때 금방 그 자신감을 식을 것이다.

진정한 자신감은 비교애서 오는 기 아닌 순수히 자신이 자신에 대한 믿음으로 이루어진 게 제일이라 생각함.

2020.06.20

나 전에 조교가 잘못된 식을 알려줘서 결과 개판으로 나오니까 구글링해서 식 다시 유도하니까 결과 잘 나오더라. 근데 조원년들은 잘못된 정보 그대로 내자고 해서 내가 설득이 안 되니까 조교한테 결과 따로 보고해도 되냐고 하니까 협조성 최하점 받음. 물론 식 잘 못된 거 자신도 알더군. 가산점은 주지 못할 망정.

2020.06.20

결국 대다수의 사람들이 원하는건 세상의 인정과 세상사람들의 우러러보는 존경심과 그들자신이 남들보다 뛰어나다는 자기만족임.. 학문에대한열정 그런거 갖고있는사람 거의 없음.

2020.06.20

쓸데없는거 질문해서 불이익받는거는 오버일수있어도,

적어도 족보를 보는걸 싫어한다거나, 족보위주의 공부를 혐오해서 진짜 공부만하다가 시험 기껏해야 B, B+받고 이런사람들은 애초에 대학원 가기힘들어지긴하지
Oribasius*

2020.06.20

열정이랑 능력이랑 상관없음... 열정 없어도 난놈이 성공함

2020.06.20

열정 초심 잃지말고 끝까지 화이팅해라!
Michael Servetus*

2020.06.20

ㄴ ㅇㅇ 불이익 주는 교수보다는 그런 사례가 많을 것 같네. 나는 학부 때 질문 많이하는 편이었는데 어쩌다가 실수로 교수님 모르는거 질문해서 어그로 끌리고 하면 그 수업은 끝이 안좋았다... 한 학기에 그런 교수 한명씩은 만났는데 시험 진짜 잘보고 수업 안빠지고 그랬는데도 플러스 안달아주고 그랬음. 그게 뭐 수업태도에 대한 평가도 반영된거다 하면 할말 없는데 어쨌든 갈수록 열심히 주도적으로 살기보다는 조용히 성적 잘받는게 현명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음.. ㅅㅂ

2020.06.20

어쨌거나 나도 글쓴이 생각에 동의한다.
말로는 연구하러 공부하러 대학원간다고하고
실제로는
1. 학벌 컴플렉스
2. 남보다 더 뛰어남을 인정받고싶어하는 매개체
3. 미래에 더 나은 보상

3가지안에 99프로의 사람들이 걸릴거다

대댓글 1개

2023.02.11

ㅇㄱㅁㄷ
Michael Servetus*

2020.06.20

ㄴ 근데 그런거라도 없으면 진짜 대학원 오는 사람은 손에 꼽지 ㅋㅋ 뭐 어쩌겠냐

2020.06.20

ㅇㅇ맞아 씁쓸하면서도 현실이지..
최대한 순수성을 유지해보자 너랑 나랑은 ㅎㅎ

2020.06.20

여튼 그런 평가가 옳은지 아닌지 모르지만 대학원왔으니까 실적으로 콧대를 눌러주자고 아 근데 연구도 잘 안 되네 ㅎㅎㅎㅎㅎㅎㅠ 파면팔수록 심오한 세계란말이지 재미는 있는데 학위기간 생각하면 조바심도 나고 ㅎㅎ
Oribasius*

2020.06.20

웬 말도안되는 헛소리를 하고있냐 열정넘치는 애들이 불이익받고 걸러진다니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상위권애들이 질문을 많이할거같음 엎어져서 쳐자는 하위권애들이 질문을 많이 할 것 같음?
지 머리 빡대가리인걸 남탓하고있냐 ㅋㅋㅋㅋ
Michael Servetus*

2020.06.20

열정 넘치고 주체적으로 사는 학생이 최상위 학점은 받기 어렵다는 말이 이해가 안되는거야? 하위권은 말도 안했어. 하위권은 성적 잘 받던가 말던가 알바 아니고 기본적으로 학점 4점 넘겼을 때 얘기하는거지. 너 학부는 성적부여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는데 우리는 + 다는건 완전히 교수재량이었다. A권 안에 들었으면 그때부터는 교수 입맛에 맞는 질문만 하거나 조용히 닥치고 눈에 안띄어야 플러스 받던데?
Michael Servetus*

2020.06.20

그냥 성적순으로 짤라서 + 주는 교수님들도 많긴 했는데 어쨌든 남들보다 열정과 호기심을 많이 가지면 불이익받는 구조 아니냐?
Oribasius*

2020.06.20

자다가 봉창두들기는 질문을 했나보지.
유의미한 질문을 적극적으로 하면 교수가 눈여겨보고 이뻐하지 대체 왜 붛이익을 주냐

2020.06.20

그렇구나 나는 학부때 교수님들 귀찮은 질문도 많이하고 연구실 따라가서 개인 공부하면서 궁금해진것들도 물어봤었는데 교수님들은 항상 좋아하셨음 운이 좋았던 케이스였나보네
Michael Servetus*

2020.06.20

ㄴ ㅇㅇ 교바교이긴 한데 어쨌든 수업 6개 들으면 한분씩 그런 분 있더라고
Ralph H. Fowler*

2020.06.20

ㅇㅈ 솔직히 호기심 없으면 중간에 다 때려침

2023.12.02

정말 연구에 열정이 있고 즐거운 사람들은 여기 잘 안 들어오자 않을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