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그래서 전 걍 석박 박았습니다
29살 석사 진학 늦나요?
12 - 제가 29살 석사 입학해서 31살 졸업 후에 1년 취준해서 32살 대기업 입사했습니다.
지거국 공대에 SKP 석사 했구요.
운이 좋아 올해 37살의 나이에 회사 학술연수에 합격해서 지금 애기 있는 상황에서 박사 과정을 시작했습니다.
인생은 답이 정해지지 않았어요.
할까말까 하는 선택은 하는게 맞습니다.
분명 하길 잘 했다 라고 생각하는 순간이 올겁니다.
하지만 늦은 나이에 후회도 올거구요.
멘탈 관리 잘 하시며 본인 인생의 우상향을 위해 좋은 선택 하시길 바랍니다.
29살 석사 진학 늦나요?
24 - 내년에 30살 석사 입학 늦나요? 질문 적을거 같으면 걍 입학하삼
29살 석사 진학 늦나요?
17 - 꾸준 열폭글 ㅋㅋㅋ 인생 최대 업적이 군필이지? 알만하다
한국에서 돈 벌지 말라고 하면 아쉬운건 한국 수학계지 허준이 교수가 아님. 그냥 프린스턴에서 잘 살면 되는데.
S대 허준이씨.. 군대가기 싫어서 미국국적 선택..
35 - 그런데도 남는 지거국 교수님들 보면 그 지역 연고가 있는 경우가 많더라
런할 교수님들은 딱 보이긴하는듯ㅋㅋ
15 - 지도 교수님이 시키는 대로 하세요.
왜 상관의 지시를 불이행하는지 이해가 안되네요.
당신 같은 사람은 회사가서 더 큰 문제를 일으키는 사람이 될 잠재력이 아주 높다고 판단됩니다.
교수님과 저널 관련 의견차이 조언 부탁드려요
32 - 상위 저널이라는게 뭔가요? IF 높은거? 저널의 실제 퀄리티는 IF와 무관한 경우가 많습니다.
교수님과 저널 관련 의견차이 조언 부탁드려요
14 - 이 질문이 얼마나 진지하셨을지, 답변이 얼마나 간절하셨을지 모르지만, 저는 진지하게 답변을 드려볼게요.
저는 10살때부터 소위 말하는 엘리트 운동선수를 하면서, 제가 마지막으로 기억하는 수학 공부는 분수 계산이었습니다. 그렇게 운동을 하면서 프로 생활까지 하다가 27살에 군대 문제로 은퇴해서 군대에 가고 그때부터 덧셈, 뺼셈부터 시작해 수능 공부 1년 반, 편입 공부 1년 해서 아주대 공대 졸업하고 만 33세 나이로 올해 3월에 이차전지 분야에 석사 입학해서 2학기째 다니고 있습니다. 주위 다른 또래 친구들 보면 결혼하고 애 낳고 돈도 모으면서 살아가지만, 아직 저는 그런 삶은 생각도 못해봅니다. 하지만, 제가 배움이 즐겁고 원해서 연구하는 것을 즐기며(시간에 쫓겨 스트레스는 받지만,,,)
만족하면서 연구중입니다. 제가 그동안 남과 비교하면서 누가 빠르네 늦네 하면서 살았으면 지금 여기 이 자리에 있지 못했겠죠.
기분 나쁘실지 모르겠지만, 사견 한마디 드리자면 본인이 생각할 때는 늦은 나이지만, 연구자로 진학하는 것이 내가 정말 원하는가 한번 생각하는 시간 가져보시길 추천해 드려요. 그리고 나이가 걱정된다면, 저처럼 나이 많은 사람도 연구하는구나 하면서 한번 떠올리시고 힘을 얻으시길 바랄게요.
화이팅입니다.
노래는 윤종신의 지친하루 한번 들으세요.
29살 석사 진학 늦나요?
12 - 요즘 다 그 루트임.
다이렉트 서울 입성은 극소수...
그게 당연한거임
런할 교수님들은 딱 보이긴하는듯ㅋㅋ
10 - 1) 어떠한 지원도 받지 않았으면 모를까 조금이라도 지원을 받았다면 연구 책임자의 의견이 최우선입니다.
2) 의견 정도는 제시해볼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한번 거절하였다면 그냥 하라는 대로 하는 편이 좋습니다.
3) 개인적으론 그거 한편만 쓸 건가 싶기도 하고 if도 중요하지만 길게 보면 교수님 말씀이 맞다는 입장입니다.
교수님과 저널 관련 의견차이 조언 부탁드려요
19 - 실제 저널의 평판은 IF 만으로 평가하지 않습니다.
그런 점에서 PI도 IF가 높은 쪽이 더 좋은 저널이라고 생각하시는 건가요?
아니면 그건 아니라고 생각해서 IF는 낮지만 전통적으로 평판이 더 좋은 저널에 내려는 건가요?
얼마나 많은 학교들이 아직도 임용 서류 낼 때 IF 하나 하나 적어 내게 하는지 모르겠지만 상위 2%냐, 15%냐 그렇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이런 문제는 어지간하면 PI 판단이 맞습니다.
교수님과 저널 관련 의견차이 조언 부탁드려요
13 - 1. 교신저자, 지도교수가 논문의 책임자고 투고를 하는 사람이므로 저널은 그 사람이 최종 결정하는게 맞음
2. 전통있는 저널, 그리고 님 논문 수준에 맞는 저널은 교수가 제일 잘 앎. 님이 학위받고 나중에 교수 임용 도전할 때 님 실적을 심사하는게 님 지도교수님 같은 교수님들임. 그분들은 IF에만 목매지 않음(정량 말고 정성평가에서)
3. 학계에 수십년 몸담은 사람들의 안목이 몇년 논문도 안써본 애송이들보다 안목이 좋을 확률이 높음. 물론 지도교수가 무조건 맞다는건 아님.
4. 특히 최근, 요즘은 IF에 너무 목매달면 안됨. IF 뻥튀기 방법들이 많아져서 중국계, 신생 저널들이 전세계 학자들 픽(그 분야에서)이 아닌데도 IF만 높은 경우가 꽤 많음
교수님과 저널 관련 의견차이 조언 부탁드려요
13 - "근무"라는 말이 참 모호함. 연구와 근무의 경계가 모호하고, 근무/업무라고 할 체계가 있는게 아님. 연구실에 상주하는게 근무도 아니고, 그렇다고 근무를 평가하거나 진행할 체계가 대학원에 있지도 않음.
그래서 과제 인건비를 없애고, 대학원생이 직접 펠로우쉽을 국가에 신청해서 들어오는 형태로 바뀌어야 함. 정원 TO도 국가가 해야함. 그러면 학생이 교수를 선택할 수 있고, 지금처럼 허접하게 아무나 대학원생으로 다 받아주는 구조도 바뀔수 있음.
근데 대학원생 인건비는 편리주의적 행정의 폐해인 듯
11
아직 모르는 것이 많지만 조언 부탁드려요...
2020.06.21

안녕하세요?
아직 졸업(혹은 입학)도 하지 않은 미천한 학부생이지만
제 주변에 이공계 분야에서 일을 하시는 분이 안 계셔서 저의 진로 문제에 대해 정확한 조언을 얻기 힘들기에 이 자리를 빌려 몇가지 여쭙고 싶습니다...
일단 제 상황 설명부터 해드려야 할 것 같은데요.
저는 현재 22세(만20세)로 sky중 하나에서 공대
를 2학년까지 다니다가
여러가지 이유로 학부유학을 결심하게 되어 1년 휴학을 내고 국제 공인시험(toefl, SAT등등)을 보고 외국대학에 지원했습니다.
짧은 시간동안 이게 가능할까 반신반의 하긴 했지만
감사하게도 하늘이 도왔는지 지원한 홍콩 3대 대학(홍콩대, 홍콩과기대, 홍콩 중문대) 모두에서 합격과 장학금 오퍼를 받았고
추가적으로 NUS(싱가포르 국립대학)에서도 합격과 장학금 오퍼를 받게되었습니다.
진학을 하게되면 NUS로 가거나 4년 장학금을 주는 홍콩과기대로 갈꺼 같습니다.
주변에서 보면 자연과학은 힘들다 그런 말들이 많긴 하지만 어쨌든 저는 자연과학을 공부하고 싶어서 모두 자연과학 학부로 지원을 했고 세부적으로는 화학과로 진학할 생각입니다.
저의 경우 어떤 직업이 됐든 연구하는 직종을 하고 싶었고 그를 위해 대학원도 진학할 생각입니다만
병역의 경우 석전연이 그것이 좋은 쪽으로든 나쁜 쪽으로든 사회경험도 해볼 수 있고 운이 좋아 기회가 된다면 연구 경력도 쌓을 수 있어 그 쪽으로 병역을 해결할 생각입니다.
제 질문은...
- 현재 외국 학부4년->석사(자대or 영국)->석전연(3년)->미박(약 5년)을 계획하고 있는데 현실성 있는 계획인가요?
- 석전연에서 회사에 지원할 때 제가 sky,카포 학부가 아닌 외국 학부라는 이유로 손해를 볼까요?
- 석전연이 없어질수도 있고 to가 많이 줄어들을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 어느정도 동감합니다. -> 이 경우 교수사관을생각하고 있습니다만 2번 질문과 같이 외국 학부라 손해를 볼까요?(정 안되면 석사를 마친 후 현역이라도 입대할생각입니다.)
- 제 계획에 대해 제가 인지하고 있지 못한 고비나 어려움에 대해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한국대학에서 화공과를 다녔을때도 열심히 공부하여 성적을 계속 상위권을 유지했고 지금까지 뭐든 죽이 되든 밥이 되든열심히 해왔고 열심히 할 자신 있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요. 석박사님들, 교수님들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나는 포항살이 대만족 명예의전당 143 79 55863
박사논문 쓰는 엄마 계신가요? 명예의전당 85 15 6418
대학원생 장시간 근무에 대한 생각 명예의전당 237 57 73286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초심자들을 위한 논문 쓰는 팁
791 - 하이닉스 초봉 뉴스뜨는거 보니까 웰케 현타오지
42 - 학위 과정을 그만두는게 맞을까요?
7 - 2025 대한민국 대학원 순위 (IST 포함)_최종
61 - 대학원순위_진짜최최종 정리
93 - 대학원생도 인력시장 개념으로 뽑으면 좋을듯
22 - 대학원도 쿠팡처럼 추노하네
22 - S대 허준이씨.. 군대가기 싫어서 미국국적 선택..
47 - 런할 교수님들은 딱 보이긴하는듯ㅋㅋ
18 - 지방사립대 학생이 대학원 가는 이유?
9 - 주저리 주저리 신세한탄
13 - 유럽인들보면 세셰대전 참전하고도 노벨상 필즈상받던데
5 - 진짜 뿌린만큼 거두네
6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초심자들을 위한 논문 쓰는 팁
791 - 하이닉스 초봉 뉴스뜨는거 보니까 웰케 현타오지
42 - 학위 과정을 그만두는게 맞을까요?
7 - 2025 대한민국 대학원 순위 (IST 포함)_최종
61 - 대학원순위_진짜최최종 정리
93 - 대학원생도 인력시장 개념으로 뽑으면 좋을듯
22 - 대학원도 쿠팡처럼 추노하네
22 - S대 허준이씨.. 군대가기 싫어서 미국국적 선택..
47 - 런할 교수님들은 딱 보이긴하는듯ㅋㅋ
18 - 지방사립대 학생이 대학원 가는 이유?
9 - 주저리 주저리 신세한탄
13 - 유럽인들보면 세셰대전 참전하고도 노벨상 필즈상받던데
5 - 진짜 뿌린만큼 거두네
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글로벌 연구자 인사이트 - UCLA 교수 무료 세미나
100 - 김박사넷 | 2026 미국 대학원 SOP 실전 워크숍 – 합격 사례 분석 & 전문가 피드백
29 - 29살 석사 진학 늦나요?
17 - AI대학원도 설카포가 마지노선인가요?
24 - 교수님과 저널 관련 의견차이 조언 부탁드려요
17 - 그냥 김박사넷도 하나의 디시네요 ㅋㅋㅋ
29 - 개인적으로 요즘 llm 탑 교수는
8 - 실력좋은 사람한테 업혀서 잘되는 사람
13 - 근데 대학원생 인건비는 편리주의적 행정의 폐해인 듯
14 - 선배 하나 없이 오로지 나 혼자 해야하는 연구실
17 - 고등학생 현 고2 대학 진학
8 - AAAI 리젝 됐네요
21 - Ai대학원 정리
11
2020.06.21
2020.06.21
2020.06.21
2020.06.21
2020.06.21
2020.06.21
2020.06.21
2020.06.21
2020.06.21
2020.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