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돈만 내면 붙는 저널
2. 교수가 실적 필요해서 쓰는 저널
3. 쓰레기 저널
라고 생각 할 것 같습니다.
믿고 안믿고를 떠나 학생한테 별 생각 없을 것 같습니다.
정말로 학부생이 ieee aceess나 mdpi 1저자 썼다고 하면 안 믿어 주시나요?
24 - 신임교수는 단점이 더 크지 ㅋ
올챙이적 기억 못하고 못된 것만 배워서ㅋ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34 - 한국 학생들 간 역량차이도 ㅈㄴ 크다
한국 교수들 간의 역량 격차 ㅈㄴ 큰거같지 않냐??
22 - 지원할 때 필요한건 오직 passion 메일 깔쌈하게 작성해서 보내세요. 공인영어성적은 준비하고 있다고 언급하면 되잖아요?
요즘 인턴들은 왜이러냐
12 - 저도 미국에 있지만 박사과정~포닥 저년차 까지는 대부분 지도교수가 교신가져갑니다. 간혹 박사고년차나 포닥이 혼자 시간 짬내고 아이디어 짜서 초안부터 다 작성해서 가져가면 교신을 주는 경우는 있죠(교수는 라스트만 가져감). 연구실 프로젝트나, 연구실 연구 기반으로 교수가 사사 책임으로 들어가는 연구면 지도교수가 교신 가져가죠.
프로젝트 관련 연구라 논문이 문제가 생기거나 질문이 왔을 때, 과제 책임자인 교수가 대응하는게 맞고,
그리고 아무도 학생이 논문 초안 작성에 실험까지, 그리고 아이디어도 본인이 제공했는데 왜 교신 안주냐 불만가진 이런 학생 한 명도 못 봤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공저자는 몰라도 주저자는 그 사람이 빠지면 논문이 안된다고 생각하는 기여도를 가진다고 봅니다.
솔직히 교수의 연구 지원과 첨삭 없이, 그리고 자기 연구실 소속 빼고, 혼자 단독저자로 투고하면 피어리뷰까지라도 갈꺼라 생각하나요.
무슨 인프라 구축, 그리고 소속있는 박사과정이라는 지위를 제공받는게 굉장히 쉬운것처럼 말하는데..
글쓴이가 "열린문화"라고 말하는것도 우습고.. 연구윤리와 어서쉽을 제대로 공부하시길;
교신이 가지는 책임감을 너무 가볍게들 보십니다.
박사과정생이 지도교수님께 공동교신저자 등록을 여쭤보는 것에 대해 의견을 여쭤보고 싶습니다.
9 - 나중에 박사하시면 그 실적 지우고 싶으실겁니다
정말로 학부생이 ieee aceess나 mdpi 1저자 썼다고 하면 안 믿어 주시나요?
8 - 아이디어 및 실험이본인이한거고
글받아서 다시 수정하면 본인꺼죠
저 gpt로 논문쓴거임??
14 - 챗봇없던 시절에 교정맡겨서 그대로 내면 교정한사람꺼가 되는건 아니잖아요
저 gpt로 논문쓴거임??
15 - 그렇게 쓰면 안되긴 함 글의 논리와 흐름은 본인 머리에서 나와야하고 영어 교정만 gpt로 해야죠 윗 사람들 큰일날 소리하네...
저 gpt로 논문쓴거임??
23 - 초안은 내가 쓰고 영문 교정을 맡기는거랑, 초안을 써달라고 하는거랑은 많이 다르긴 합니다
저 gpt로 논문쓴거임??
11 - 이미 기분이 좀 나쁘시군요. 듣고 싶은 말도 있으신 것 같고. 유감스럽게도 연구에 사용되는 지식을 교과서 수준의 내용으로 부터 설명하는 것은 이공계열 어디서나 중요하고, 특히 자연대 이론 연구실 이라면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그런건 지엽적인 꼬리질문이 아니라 기초적인 상식이라 해야겠지요. '중요하지도 않는 내용을 이렇게 꼬치꼬치 캐묻는게 무슨 의미냐' 라는 생각을 하시는 것 같은데요. 그런 기본기가 부족하면 아주 오래 공들여 한 연구가 리뷰어 코멘트 하나에 신기루처럼 사라지는 경험을 하게 되실겁니다.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15 - 적당히 넘어가는 법 없이 제대로 진국이신 것 같은데요? 지도교수로 손색이 없습니다.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11 - 이런 애는 걍 대학원 안 갔으면 좋겠음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13
MIT/Stanford에서 석사논문 쓰는법
2023.10.13

이거 대학교간 협약으로 가는건가요 아니면 교수님끼리 커넥션만 있으면 되나요?
* 기관 간 석사 파트너십(교환학생 제도 등)은 없는 상황입니다.
* 현 지도교수님이 이곳 임용 전 해당 대학 대가의 대형랩에 Director Deputy로 계셧고, 해당 대가교수님은 곧 은퇴라 학생 받지 않고 계십니다. 하지만 현 지도교수님이 해당 연구실에 계실 때 박사 학생들이 지금 해당 대학에서 몇 분 교수로 계십니다.
* 가정사정으로 학위 시작할 때부터 현 지도교수님께 박사는 그곳으로 지원한다고 말씀드렸고 흔쾌히 지도해주고 계십니다.
* 하지만 역시나 최고대학의 최고 인기랩들답게 박사과정 학생들은 전원이 석사를 해당랩에서 햇거나, 최소 논문을 그곳에서 썻습니다.
* 그래서 현 지도교수님께 상담하여 원래 졸업시기에 석사논문 완성은 시켜놓고, 논문학점은 일부러 남겨놓은 다음, 해당 랩에서 석사 논문 마무리 명목으로 visiting scholar로 가서 교수님께 얼굴도장 찍고 박사지원 하는 걸 생각했습니다.
* 그래서 혹시 이게 말도 안되는 개소리라 말도 안꺼내는게 좋은지, 아니면 현재 학교 행정과 상대 학교 행정에 물어보고 교수님꼐 상담해도 되는 계획인지 알고싶었습니다.
* 현지인과 결혼하여 비자는 문제없는 상황입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
83 9 7759
논문 실적 안좋은 mit, 칼텍 박사 김GPT 3 17 17921-
7 7 1547
교수한테 김GPT 6 6 6955-
7 6 2436 -
13 8 3568
교수님께 직접 질문하면 안되는건가요? 김GPT 6 8 3424
한 학교 랩에 가기로 했는데 김GPT 7 11 1716
컨택에서 입학확정이라는게 뭔가요? 김GPT 0 3 1105
박사과정 밟으면서 점점 드는 생각들 명예의전당 265 43 43001
학계를 떠나며 명예의전당 165 25 76169
대학원생 장시간 근무에 대한 생각 명예의전당 235 57 71040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진짜 기쁘다
87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426 - 옛날엔 ChatGPT없이 논문을 어떻게 썼을까...
20 - ChatGPT에게 이거 먹이면 팩폭당함
15 -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70 - KIST -> 수도권 대학 교수 이직 하신 분들께 궁금합니다.
6 -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6 - SCI논문이 어셉됬습니다!!
43 - 교수가 문제일지 학생이 못하는건지..
13 - 요즘 인턴들은 왜이러냐
26 - 열심히 해야한다는 강박을 가지고 있는 대학원생들에게
5 - 낙태충이지만 셀소합니다
9 - 교수님한테 링크드인 1촌 걸어도 괜찮나요?
7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서로 다른 랩실 pi 두분에게 공동교신 부탁하기?
37 - 한국 교수들 간의 역량 격차 ㅈㄴ 큰거같지 않냐??
27 -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23 - 미국학부 vs 영국학부 (엔지니어링)
16 - 중경외시 기준으로 학점이 어느 정도여야 skp 가능할까요?
10 - 저 gpt로 논문쓴거임??
17 - 건동홍 cs 미국대학원 가능세계 궁금합니다
12 -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16 - AI 교수 임용 목표 취직 vs. 포닥?
17 - 자대 대학원 가서 졸업 1년 단축하기 vs KAIST 가기
8 - 이정도 연구실이면 어느정도 수준이에요....?
7 - 왜 랩 cc가 생겨나가는지 알 거 같음
5 - 경제적인 여건이 안 되면 유학은 정말 포기해야 하는 건가요?
6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진짜 기쁘다
87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426 - 옛날엔 ChatGPT없이 논문을 어떻게 썼을까...
20 - ChatGPT에게 이거 먹이면 팩폭당함
15 -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70 - KIST -> 수도권 대학 교수 이직 하신 분들께 궁금합니다.
6 -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6 - SCI논문이 어셉됬습니다!!
43 - 교수가 문제일지 학생이 못하는건지..
13 - 요즘 인턴들은 왜이러냐
26 - 열심히 해야한다는 강박을 가지고 있는 대학원생들에게
5 - 낙태충이지만 셀소합니다
9 - 교수님한테 링크드인 1촌 걸어도 괜찮나요?
7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트럼프 시대, 미국 석박사 유학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생존 전략
71 - 미국 박사 합격 후기 웨비나 | TOP 5 대학교 풀펀딩 박사과정 합격자 초청
11 - 미국 컴공 석사 관련 질문
10 - STEM분야 미박 탑스쿨 가능성 냉정히 평가 부탁드립니다.
18 -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23 - 중경외시 기준으로 학점이 어느 정도여야 skp 가능할까요?
10 - 저 gpt로 논문쓴거임??
17 - 건동홍 cs 미국대학원 가능세계 궁금합니다
12 -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16 - AI 교수 임용 목표 취직 vs. 포닥?
17 - 자대 대학원 가서 졸업 1년 단축하기 vs KAIST 가기
8 - 이정도 연구실이면 어느정도 수준이에요....?
7 - 경제적인 여건이 안 되면 유학은 정말 포기해야 하는 건가요?
6
2023.10.13
대댓글 11개
2023.10.14
대댓글 1개
2023.10.14
대댓글 3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