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6학기 재학 중인 컴공과 학생입니다. 이번 학기에 학부 연구생으로 자대 랩실에 들어와서 혼자 머신러닝, 딥러닝 공부하고있는데요 일단 교수님이 뭘 시키진 않으셔서 혼자 계속 이론 공부만 하는 중이라 어떤식으로 프로젝트? 연구?를 해봐야겠지 모르겠어서 일단 CNN 기본 개념까지 공부하고 그 이후로 방향성을 잃었는데 방향성에 대해 조언을 얻을 수 있을까요? 그리고 프로젝트나 연구를 진행하면 밑단부터 구현하는게 아니고 거의 대부분 사전 훈련된 모델을 가져다 쓰는거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2023.11.08
별 사람은 아니고, 대학원 입학 기다리는 예비 졸업생으로서, 그 과정을 겪은 사람으로서 저는 어떻게 했냐하면
cs231n 이론 + 그 수업에서 주어지는 과제 하면서 기본개념 익히고
동시에 저는 컴퓨터비전 랩실에 다녔기 때문에 resnet, googlenet 등 기본 모델 아키텍쳐 논문들이랑 detection, segmentation 논문 등 스터디를 통해 리뷰했고
여기서 맘에 들었던 분야 중 모델 하나 잡아서 깃허브 레포지토리를 랩실 서버에서 reproduce 해보고 수정도 해보면서 어떤식으로 코드를 짜는지 구조나 느낌을 좀 살펴봤습니다. 관심 분야 논문 꾸준히 읽어감은 물론이구요.
그리고 이쯤 됐을때 분야 확실히 하나 잡고 연구 시작해볼 능력이 된거 같아요.
대댓글 3개
2023.11.08
감사합니다!! 머신러닝, 밑시딥 책읽고 계속해서 이론 공부하고 CS231n 보면서 이론 공부하고있는데 어떻게쓰일지 고민이고 교수님이 일단은 혼자 공부하라고 하셔서 제가 과연 나중에 잘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들어 너무 고민이 많았네요..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해서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그리고 혹시 관심 분야라는데 detection, segmentation 이런 기법을 말하는건지 아니면 자율주행, 의료영상 이런 쪽을 의미하는건지 여쭤봐도 될까요?
2023.11.08
만약 작성자분께서 자율주행에 관심이 있으시면 거기에 사용될 수 있는 기법이 뭔지 살펴보셔서 필요한 기법이 뭐 depth estimation, detection, segmentation이 있다 하면 그쪽 기법 위주로 먼저 공부해 볼 수도 있는 것이고, 반대로 관심 분야를 아직 잘 모르겠으시면 기법마다 중요한 논문들이 몇가지씩 있는데 (예를들면 detection은 RCNN, fast RCNN, faster RCNN, YOLO 같은) 이런거 쭉 보시면서 흥미로운 기법 찾으면 최신 논문들 팔로우업 하시면서 세부적으로 어떻게 연구할지, 이 기법이 사용되는 분야가 뭔지 찾는다던지 할 수도 있는 거고요.
저는 랩실에서 교수님이든 선배님이든 어느정도 케어해주셨는데 혼자서 하시기 힘드시겠어요. 논문 혼자 리뷰하기 힘들 수도 있는데 커뮤니티에서 논문 스터디 같은거 모집해서 동기부여 찾는 것도 좋은 방법인 것 같아요.
참고로 논문들 레포지토리 실행해보는 것도 중요한게 논문에 자세히 언급되지 않은부분 코드에서 찾을 수도 있고, 이해되지 않았던게 코드로 보면 이해되는 경우들이 종종있어서 코드도 실행해보고 해석해보면 좋은 것 같아요.
궁금하신거 있음 계속 여쭤보십쇼. 저도 아직 예비 대학원생 나부랭이로 많이 부족하지만 도움이 되었음 좋겠네요.
2023.11.08
대댓글 3개
2023.11.08
2023.11.08
2023.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