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Stanford MIT AI대학원 입시
13 - 왜 쫓아냈어요 ㅠㅠ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30 - 현명한 학생 아닐까요 아닌 랩 오래 다니다가 그만두는 것보다 훨씬 서로에게 좋음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16 - 어그로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2 - 진짜 세탁하려면 하버드 mit 이런데를 가세요..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2 - K대학원은 잡대 학부도 다오는데 무슨 세탁?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1 - 현직 교수입니다. 공감합니다..ㅋㅋㅋ
미국 포닥들 삐대는거 참 가소롭다...ㅋㅋㅋ
11 - 1.인정. 서울대 학석박인데 실적없는 물박사들 너무 많음. 그냥 서울대 쩌리들이 갈 곳 없어서 대학원 가는 느낌. 실적좋은 비서울대 학부 선호.
2.인정. 테뉴어 받으시고 꾸준하게 연구지도 하는 교수님들은 그냥 무조건 리스펙. 보통일이 아닌데 열정이상의 노력이 필요.
3.다 인정하는데 마지막문장만 인정X. 과탑했으니 SKP에 가는것은 본인만의 특권입니다. SKP에서 만나는 인맥과 연구시스템은 매우 훌륭합니다. 교수님때문에 자퇴를 한다면 어쩔수 없지만 SKP는 충분히 도전할만한 학교이고 경험해볼만한 학교입니다.
4.인정. 한국학생들의 고질적인 병이 수동적인 태도입니다. 무조건 떠먹여주실 바라는건 대학원생이 아니죠. 실패하더라도 하나씩 부딪쳐보고 해결해나가고 배우는 과정의 연속이라 생각.
5.최근에 임용되신 조교수님들 찾아가서 상담을 받는것은 무조건 추천. 엄청난 실력자임과 동시에 제가 본 대부분의 분들도 매우 훌륭한 트레이닝을 받고 인성도 좋으신분들임 (물론 나중에 테뉴어를 받으면 착취형 교수로 돌변하겠지만 ㅋ)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13 - 이런 이야기는 본인 실적 까고 하는 겁니다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3 - 글이나 제대로 쓰세요ㅋㅋ실적 없어서 과제 떨어지고 추하게 커뮤에 글 쓰는 걸로 밖에 안 보여요. 실적만이 증명된 연구자인지 알 수 있는 유일한 척도인데요? 실적은 없이 제안서 글 싸지른걸로 뽑자는게 더 어이가 없네요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2
대학원 가능성 질문
2023.11.08

저는 물리학과 재학중인 학부생입니다.
현재 자대 반도체 연구하는 랩에서 학부연구생으로 있는데요!
제가 응집물질물리 말고 핵물리학에도 관심이 많습니다.
응집물질물리는 우리가 사는 세상에서 가장 응용력이 좋은 학문이라고 생각되어 관심이 있고
핵물리는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에 대한 근본적인 것을 연구하는 느낌이라 관심이 있습니다
그래서 질문 드리고자 하는 내용은 상위권 타대 대학원 가능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현재 생각 중인 대학원은
연세대학교 응집물질, 핵물리 / 고려대학교 응집물질, 핵물리
이렇게 네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이제 올해 겨울방학에 제대로 응집물질, 핵물리 둘 중 확실하게 정할 것이고 동시에
어떤 교수님의 연구실에 지원해야 할지도 결정할 것입니다.
현재로서 궁금한 내용은 제가 학부가 그리 높지 않다 보니
해당 연세대, 고려대 대학원 (응집물질, 핵물리) 지원했을 때
가능성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현재 학점은 4.3/4.5 입니다.
또한 저희 학교에 핵물리 수업이 없기에 핵물리학 강의를 듣지 못하고 졸업할 터인데 이러한 상황과
추가로 현재 반도체 관련 학부연구생 중인데 핵물리로 가는건 불가능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새싹에게 조언 한 번씩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서울대 대학원 김GPT 4 13 11987-
6 12 1474
경희대 대학원 갈수있을까요? 김GPT 2 10 3018
지거국 대학원 김GPT 0 5 8453
대학원 진학 어디까지 가능할까요? 김GPT 3 4 7320-
6 10 2233
편입생 대학원 김GPT 2 5 5842-
0 16 5292
3.5 김GPT 1 2 858
이사할때 청소시키는 교수 신고해도됨? 명예의전당 89 70 50154
대학원생 장시간 근무에 대한 생각 명예의전당 210 56 64446-
95 32 57530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2023.11.08
대댓글 3개
2023.11.08
대댓글 1개
2023.11.08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