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 s대 인기랩(저널수와 퀄높고 h index 80이상)인 연구실로 석사 진학하는 학생입니다. 원래는 미국유학도 생각 있었지만 skp 인기랩에 운좋게 들어갈 수 있어서 여기서 박사해도 괜찮지 않을까 싶은 생각도 들어서요. 보통 s대 인기랩 나오고서는 어느정도 미국대학 연구실로 진학 희망하는지 궁금해서요. 또한 유명해외대학이지만 연구실 실적이 s대 연구실 실적보다 못하다해도 해외유명대학 진학이 더 나은지 아니면 탑스쿨 탑연구실로 진학하려고 하는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3.12.09
한국에서 살면서 느낄수 있는 안정감 또한 무시 못하기 때문에 저는 그런 상황이면 S대 추천합니다
2023.12.09
저는 SKP 평균레벨로는 미국 TOP30(최대 50) 정도로 봅니다. 아시다시피 대학원은 연구실 편차가 더 커서 설대 인기랩이면 TOP10 보통랩 이상이어야 안갈 것 같습니다. 추가로 타지생활에 대한 부담도 있구요.
대댓글 3개
2023.12.09
카이스트 학석박으로 학과내 탑 인기랩에서 박사받고 미국포닥후 현직인데 상당히 우물안 개구리가 하는말 같습니다.. ㅎㅎㅎ 저는 모교도 좋아하고 자부심도 있지만, 전세계 무대에서 볼때는 사실 작은나라의 한 학교일 뿐입니다. 저도 학교에잇을때 매번 qs몇등 이런것만 보면서 자신감뿜뿜이였는데, 미국나와보시면 세계넓다는걸 금방아실것같네요..
2023.12.09
저는 주변에 간 사람 얘기듣고 제 느낌을 적은건데 틀린것 같습니다... 혹시 그럼 skp는 대략적으로 미국 top 몇 정도로 생각하시는가요? 저는 top30부터는 미국으로 갈만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2023.12.09
top20은 spk 인기랩과 비교할수없을 정도로 기회가 많아요. 어떤 지표로 보시는지 모르겠지만, 저는 US garduate ranking 을 보는편인데, 20위권이면 명실상부 탑대학들+이공계 대학원이 센 몇개의 학교들+아이비리그중 공대괜찮은 학교들 이렇게가 들어옵니다. 20~30위권 중에서도 괜찮은 학교들도 많고요. 무엇보다 학교를 넘어서서 전세계에서 잘하는 교수진들이 미국에 많이 있는게 훨씬 큰이점이라 생각합니다. 미국에서 잡구할 생각이시면 top50위라해도 당연히 미국가는게 유리하고, 한국교수로 리턴생각해도 예전만큼 모든 미국대학들을 무조건 좋게보는건 사라졌다해도, top30위권이면 수월하게 임용시장 통과할거라 생각합니다. 물론 top30위권이라해도 분야마다 상이하고, 미국유학/포닥경험 없는사람들한테는 생소한 대학들도 좀 있긴하지만요. 저도 단순히 출신학교보다 제 출신 연구실에 더 자부심이 강한편이고 실적도 전세계적으로 비교해도 잘내는곳이긴한데, 여튼 미국에서 고생하면서 경험해보면 시야가 확실히 넓어질수있습니다. QS랭킹으로 뭐 20몇등이다 뭐다 이런거 하루종일 학과계시판에 붙여놔도, 솔직히 교수진조차 그걸 믿는사람 매우 적어요. 한국 학교들 잘하고, 학생들도 성실하고 똘망똘망하지만, 전세계 무대는 생각보다 꽤나 크죠..
허기진 찰스 다윈*
2023.12.09
흔히 하는 실수가 단순 논문 갯수 세보고 국내가 실적이 좋다고 판단하는건데 논문 갯수만 세지 말고 무슨 주제를 연구하는지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미국 탑스쿨들은 논문 갯수 크게 연연안하고 하나라도 정말 novel한 연구하기위해 노력하는 랩들이 많습니다.
대댓글 1개
2023.12.17
동감
2023.12.09
미국 탑스쿨나가는거랑 spk머무는거랑 정말 달라요..여간되면 무조건 미국가세요. 오느 교수님들이랑 상담해도 똑같은 말 하실겁니다.
2023.12.09
어차피 컴백할거면 서울일것 같긴한데, 조금이라도 넓게 공부하고싶다면 닥 미국일것 같아요 포닥은 어차피 해외 많이 간다생각해서요. 현 정치권이 언제 지원 다시 제대로 할지도 모르고요
2023.12.09
S에서 학석박하고 미국 top10 포닥 후 SKP 중에 하나 현직인데요 미국에 남으려면 닥 미국이지만 한국 리턴 계획(특히 학계로) 있으면 한국 남는게 낫지 않나 싶네요. 저희 분야에서는 S탑그룹이면 미국 top10에 갖다놓으면 중간정도는 갑니다. 20대에 가족이랑 떨어지고 타지에 머물면서 청춘 갈아 넣어 연구하는게 생각만큼 쉽지 않아요. 남자면 군대도 해결해야하고 여자면 결혼 풀도 확 줄구요. 최근 학계 임용 선호도도 미박에 대가랩에서 본지 썼다고 무조건 뽑기보다는 (이런경우 한국에서 교신으로 본지는 커녕 근처도 못가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오히려 한국에서 survive 할 수 있는 사람들을 좋아하는 경우가 늘었어요.
2023.12.09
2023.12.09
대댓글 3개
2023.12.09
2023.12.09
2023.12.09
2023.12.09
대댓글 1개
2023.12.17
2023.12.09
2023.12.09
2023.12.09
2023.12.10
대댓글 1개
2023.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