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가는 주제(가속기)와 랩실까지 봐두긴 했는데... 연구가 나랑 맞을까? 라는 질문에 답을 못하겠더라구요 김박사넷 눈팅하다보면 연구가 안맞아서 힘들었다던가 하는 글들도 많이 보이던데...
여러분은 연구가 본인이랑 맞다고 언제 느끼셨나요? 대학원 진학하지 않고 알수 있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4.01.03
해봐야 알죠 전 직장에서 보조 연구원으로 있어보니깐 알겠어서 지원했는데 석사만이라 그런지 얼추 비슷하더라고요 취업 후에도 비슷할거 같고
2024.01.03
학부 때 프로젝트 같은거 족보 잘 안 보고 스스로 고민해가면서 해본 경험이 있었나요? 막 버그 잡고 스스로 설계해보고 그러느라 밤 새고 이런거? 이게 재미있으면 가속기 같은 쪽은 연구가 맞을꺼고요, 그런게 싫었다면... 연구는 프로젝트 이백배라서 잘 맞지 않을 것 같네요
대댓글 1개
2024.01.04
밤 샐 정도까진 아니었지만.. 그런 고민을 하고 디버깅하고 그러는 것 자체는 재밌어하는것 같습니다... 근데 또 정말 너무너무 어렵게 느껴져서 저의 무지의 벽이 느껴지면 그걸 넘어서려는 노력보단 도망쳤던 경험도 있어서...ㅜ
IF : 1
2024.01.03
저도 yk출신이고 박사는 미국에서 땄고요. 연구와 공부는 다르다 연구가 맞을지 안맞을지도 모르는데 무슨 유학이냐 이런핀잔 정말 많이 들었습니다. 저도 학점이 안좋은 편이고요. 근데 제가보기엔 그냥 공부를 조금더 깊이 하는게 연구입니다. 그냥 적당히 공부하고 넘어가지 않고 내가완전히 알고 이해하고 내가 창조해내는 단계까지 가면 그게연구에요. 논문을 보면서 그렇지 하고 넘어가는게 아니라 이부분은 좀 이해가 안되는데 또는 좀 이상한데 하면서 파고들수 있으면 그게 연구입니다. 그러려면 어느정도 공부를 즐기는 성향이 있어야 할수있는데 공부와 연구가 완전히 다른건 아니에요. 특이 케이스 제외하고 걍 공부잘했던 애들이 연구도 잘합니다. 여튼 제가하고픈 말은 너무 겁내지말고 하고싶으면 하세요.
대댓글 1개
2024.01.04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2024.01.03
이상하게 들리실 수도 있으나.. 잘 하고 싶어서 하다보면 맞아지곤 합니다. 의지가 제일 중요해요.
다르게 표현하면 연구는 나한테 안 맞춰줘요. 내가 연구에 맞춰야지.
대댓글 1개
2024.01.04
이게 맞는 것 같네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2024.01.04
가속기에 관심있다 하니 반갑습니다. 가속기도 세부 분야가 있는데 어디에 관심이 있는지에 따라 조언이 좀 다를 것 같습니다. 크게 RF 가속기하고 레이저 플라즈마 가속기로 분류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만, RF쪽이 졸업 후 진로가 무난합니다. 언급하신 대학을 봤을 때 RF를 할 것 같아 보이는데, 아마 회사하고 비슷한 느낌일 수도 있습니다. 교수님들 지시하에 가속기 컴포넌트 업그레이드하고 제작하고 시운전하는 등의 일을 수행하게 되리라 예상되는데 타 분야에 비해 학문적 느낌은 덜 할겁니다. 그리고 학생이 탑급 저널 논문쓰기가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오퍼레이팅하는 가속기를 보유한 곳에 급이 되는 자리에 있으면 가속기 데이터로 탑급 저널 논문 쓰는게 가능하지만 학생은 힘들죠. 본인이 야망이 크지 않고 적당히 먹고 살면서 사이언스에 몸담고 싶으면 하시고 아니라면 다른 길을 찾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4.01.04
제가 말한 가속기는 cs의 가속기였어요...!! 그래도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2024.01.05
성적이 별로라고 했는데. 전체적으로 다 별로 였으면 연구도 잘 안맞을 수 있구요. 만약에 특정 분야 과목 들은 매우 잘한게 있다면 잘할 가능성이 있죠. 수학 특정 분야라던가 과학 한두분야.
학사랑 같은 취급 받는 석사는 능력없는 석사입니다. 대부분 우리나라 회사 수준은 궂이 박사 까지 필요 없는 석사한후 자신분야 경험 제대로 싸으면 비슷한 일이 99프로 입니다.
2024.01.05
컴구조 vlsi 성적이 높았다면 가능
대댓글 1개
2024.01.07
그나마 컴퓨터 구조 운영체제를 가장 재미있게 공부했고 학교에서 vlsi 수업은 안들었지만 현재 직무가 하루종일 RTL 들여다보고 있는 일이고 디버깅하고 하는게 나름 재미있어서... 고민이 되네요ㅎㅎ
2024.01.03
2024.01.03
대댓글 1개
2024.01.04
2024.01.03
대댓글 1개
2024.01.04
2024.01.03
대댓글 1개
2024.01.04
2024.01.04
대댓글 1개
2024.01.04
2024.01.05
2024.01.05
대댓글 1개
2024.01.07